$\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광역시 해안사구의 식물다양성과 식생 특성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and Plant Diversity of Coastal Sand Dune in Busan Metropolitan City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2 no.2, 2020년, pp.66 - 72  

박지원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승연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응필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의주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박재훈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정민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민주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노재영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한동욱 (사단법인 에코코리아) ,  유영한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안사구는 해양생태계와 내륙생태계의 전이대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풍부한 생물다양성을 내재하고 있지만, 간척, 매립, 관광객 증가 등의 서식처 교란으로 인해 고유생태계가 크게 훼손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의 7개 해수욕장에서 식물상, 식생을 조사하고 경관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산시 해안사구의 관속식물상은 57과 140속 162종 15변종 1품종의 17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7개 해수욕장 중 4개(57%)에서 자연식생이 전혀 발견되지 않을 정도로 식생경관이 훼손되어 있었다. 해안사구식생은 좀보리사초군락, 통보리사초군락이 우점하였다. 염생식물귀화식물은 각각 18분류군(전체 출현종 10%), 40분류군(전체의 22%)이었다. 가장 넓은 면적을 이루는 식생은 염습지의 갈대군락이었고, 염생식물 종수는 습지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것은 이 지역의 고유한 식물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염습지의 유지와 관리가 중요함을 뜻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astal sand dunes hav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marine and inland ecosystems, and they have abundant biodiversity. This study investigated flora and vegetation and analyzed the landscape structure at seven beach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the vascular species of the coas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7개의 해수욕장에 대해서 식물종 다양성 및 경관생태학적 분석 연구를 통하여 부산지역 해수욕장의 생태적인 특성과 종 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2017년 3월부터 8월까지 부산지역 해수욕장 일대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안사구는 어떤 성격을 가지고 있는가? 해안사구는 해양생태계와 내륙생태계의 전이대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풍부한 생물다양성을 내재하고 있지만, 간척, 매립, 관광객 증가 등의 서식처 교란으로 인해 고유생태계가 크게 훼손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의 7개 해수욕장에서 식물상, 식생을 조사하고 경관구조를 분석하였다.
부산지역 해수욕장 일대에서 출현한 식물의 종류와 숫자는? 조사 결과, 출현한 식물상은 57과 140속 162종 15변종 1품종, 178분류군이 확인 되었으며, 전체 출현종 중 10.1%가 염생식물로 확인 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40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가시상추, 양미역취 등 생태계 교란종 식물이 출현하였다. 7곳의 해수욕장의 경관분포 면적은 나지사구>인공지역>식재지>자연식생>수역>인공초지 순으로 낮았으며, 다대포해수욕장, 일광해수욕장, 그리고 임랑해수욕장을 제외하고는 자연식생군락은 분포하지 않았다.
해안사구의 역할은? , 2005) 해안지역의 특성과 내륙지역의 특성이 공통으로 나타나는 생태적 전이대(ecotone)이다(Kim and Hong, 2009). 이러한 해안사구는 태풍과 해일 등에 의해 유실된 모래를 사빈으로부터 공급받고 모래를 다시 사빈으로 공급함으로써 해안선과 배후지역을 보호하며(ME, 2002), 해안사구의식생군락은 태풍과 해일로부터 해안선과 배후 농경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Kutiel et al.,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ndersen U, V (1995). Resistance of Danish coastal vegetation types to human trampling, Biol Conserv, 71(3), pp. 223-230. [DOI : https://doi.org/10.1016/0006-3207(94)00031-K] 

  2. Beever, E, A, Swihart, R,K, and Bestelmeyer, B,T (2006). Linking the concept of scale to studies of biological diversity : evolving approaches and tools, Diversity and Distributions, 12(3), pp. 229-235. [DOI : https://doi.org/10.1111/j.1366-9516.2006.00260.x] 

  3. Beon, MS, and Park JM(2002). A study on flora and biotope conservation of the sand dune in Ui-Island, Korea, J. of Korean. Ins. For. Rec., 6(4), pp. 93-101. [Korean Lirerature] 

  4. Carboni, M, Carranza, M,L, and Acosta, A (2009). Assessing conservation status on coastal dune : A multiscale approach,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1(1), pp. 17-25. [DOI :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8.11.004] 

  5. Cheong, JH, Chae, JH, Lee, SH, and Kim, BH(2013). Halophyte flora and vegetation of four seashore sites in Jejudo, J. of Korean Island, 25(3), pp. 91-106. [Korean Lirerature] 

  6. Cho, YE(2019). A study on the species compositional changes of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by invasive species : In five coastal sand dunes on Jin-do Island, on Wan-do Island, and in Haenam-gun. J. of Korean Island, 31(4), pp. 394-416. [Korean Lirerature] 

  7. Choi, CH, Seo, BS, Park, WJ, and Park, SH(2006). The flora of coastal dune area in Shinduri, Korea, Korean J. of Plant Res, 19(2), pp. 209-217. [Korean Lirerature] 

  8. Farris, E, Pisanu, S, Ceccherelli, G, and Filigheddu, R (2013). Human trampling effects on Mediterranean coastal dune plants, Plant Biosyst, 147(4), pp. 1043-1051. [DOI : https://doi.org/10.1080/11263504.2013.861540] 

  9. Fenu, G, Cogoni, D, Ulian, T, and Bacchetta, G (2013). The impact of human trampling on a threatened coastal Mediterranean plant : the case of Anchusa littorea Moris (Boraginaceae), Flora - Morphology, Distribution, Functional Ecology of Plants, 208(2), pp. 104-110. [DOI : https://doi.org/10.1016/j.flora.2013.02.003] 

  10. Grunewald, R.(2006). Assessment of damages from recreational activites on coastal dunes of the southern Baltic Sea, J. of coastal research, 22(5), pp. 1145-1157. [DOI : https://doi.org/10.2112/05-0464.1] 

  11. Ishikawa, S,I, Furukawa, A, Okuda, T, and Oikawa, T (1993). Germination requirements in Carex Kobomugi(Sea Isle), J. of Plant Research, 106, pp. 240-244. [DOI : https://doi.org/10.1007/BF02344592] 

  12. Ihm, BS, Lee, JS, Kim, HS, Kim, JW, and Lee, SH(1999). Studies on the vegetation distribution and standing biomass at the coastal sand dune of Pusan. Bulletin of Institute of Littoral Environment, 16(1), pp. 23-30. [Korean Lirerature] 

  13. Jang, HG, Gong, JT, Kong, BW, Han, SH, Ra, DG, and Cheong, CJ(2013). Distribution pattern of halophytes and its soil environment of the saltmarsh in the Sucheon Bay, J.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Technolog, 14(6), pp. 399-410. [Korean Lirerature] 

  14. Jones, M,L,M, Wallace, H,L, Norris, D, Britain, S,A, Haria, S, Jones, R,E, Rhind, P,M, Reynolds, B,R, and Emmett, B,A (2004). Changes in vegeta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in coastal sand dunes along a gradient of atmospheric nitorgen deposition, Plant Biology, 6(5), pp. 598-605. [DOI : https://doi.org/10.1055/s-2004-821004] 

  15. Kerbiriou, C, Leviol, I, Jiguet, F, and Julliard, R(2008). The impact of human frequentation on coastal vegetation in a biosphere reserve, J. of Environ Manag, 88(4) : 715-728. [DOI : https://doi.org/10.1016/j.jenvman.2007.03.034] 

  16. Kim, CH and Ihm, BS(1988). A study on vegetation in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J. of Ecology and Environment. 11(4), pp. 175-192. [Korean Lirerature] 

  17. Kim, CH, Choi, JH, and Lee, NS(2015). A study on the flora and life form of the south coast main reclaimed land, Korea, J. of Korean Island, 27(2), pp. 175-190. [Korean Lirerature] 

  18. Kim, EK(2013). Halophytes of Korea. Nature and Ecology. Seoul, Korea. 

  19. Kim, JE and Hong, SK(2009). Landscape ecological analysis of coastal sand dune ecosystem in Korea, J. of Korean Env. Res. Tech. 12(3), pp. 21-32. [Korean Lirerature] 

  20. Kim, KS, and Kim, KH(2006). Review of principal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in korea.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06(10), pp. 2674-2677. 

  21.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8). http://www.kma.go.kr/index.jsp. 

  22. Kutiel, P, Zhevelev, H, and Harrison, R(1999). The effect of recreational impacts on soil and vegetation of stabilised coastal dunes in the Sharon Park, Israel. Ocean & Coastal Manage, 42(12), pp. 1041-1060. [DOI : https://doi.org/10.1016/S0964-5691(99)00060-5] 

  23. Lee, KS, and Kim, SH(2000). East Sea vegetation from an ecological point of view, 2000 International Symposium, 2000(1), pp. 13-45 

  24. Lee, MS, Kim, SH, and Jung, HI(2019). Distribution patterns of halophytes in the coastal area in Korea. J. of Korean Soc. Oceanogr, 24(1) : 139-159. [Korean Lirerature] 

  25. Lee, SH, Lee, JS, Ihm, BS, and Chae, JH(2014) Halophytes biological introduction using small fences and water channels at the estuary marsh of Gojan, J. of Korean Environmrntal Dredgin Society, 4(1) : 12-20. [Korean Lirerature] 

  26. Lee, TB(2003). Coloured flora of Korea I,II, Hyangmunsa, Seoul. Korea 

  27. Lee, WT and Yim, YJ(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of Plant Taxonomy, 8(Appendix), pp. 1-33. [Korean Lirerature] 

  28. Lee, YM, Park, SH, Jung, SY, Oh, SH, and Yang, JC(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of Plant Taxonomy, 41(1), pp. 87-101. [Korean Lirerature] 

  29. Lemauviel, S. Roze, F (2003). Response of three plant communities to trampling in a sand dune system in Brittany (France), Environ Manag, 31(2), pp. 227-235. [DOI : https://doi.org/10.1007/s00267-002-2813-5] 

  30. Min, BM(2004). Growth propeties of Carex komugi Ohwi. Korean J. Ecol, 27(1), pp. 49-55. 

  31.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2002). A guide to the Coastal Dun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Gwacheon. 

  32. Nige, G, Yocoz, J,D,N. and Boulinier, T (2001). Monitoring of biological diversity in space and time, Trands in Ecology &Evolution, 16(8), pp. 446-453. [https://doi.org/10.1016/S0169-5347(01)02205-4] 

  33. Nobuhara, H, and Miyazaki, H (1974). Observations on the dune vegetation of the coast of Kuju-Kuri, Sand Dune Resarch, 20(2), pp. 28-35. 

  34. Nobuhara, H (1967). The influence of the cool temperature on the dune formation of Carex kobomugi. Observation of the growth form on coasts and dunes, Sand Dune Resarch, 13(2), pp. 23-26. 

  35. Oh, HK, Kim, YH, Beon, MS, and Park, JM(2005). A study on flora of the Shindoo-ri coastal dune, J. of Korean Inst. For. Rec, 9(1), pp. 37-48. [Korean Lirerature] 

  36. Park, SY(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37. Roy, P,S, and Tomar, S (2000). Biodiversity characterization at landscape level using geospatial modelling technique, Biological Conservation, 95(1), pp. 95-109. [DOI : https://doi.org/10.1016/S0006-3207(99)00151-2] 

  38. Ryu, TB(2012), Ecological classification of naturalized plant species in South Korea.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39. Santoro, R, Jucker, T, Prisco, I, Carboni, M, Battisti, C, and Acosta, A,T,R (2012). Effects of trampling limitation on coastal dune plant communities, Environmental Management, 49, pp. 534-542. [DOI : https://doi.org/10.1007/s00267-012-9809-6] 

  40. Sasaki, Y (1987). Relationship between wind drift and vegetation in a coastal sand dune, with special concern on Carex kobomugi, Masters Thesis, Tottori University, Japan. 

  41. Shim, HB, Cho, WB and Choi, BH(2009), Distribution of halophytes in coastal salt marsh and on sand dunes in Korea. Korean J. of Plant. Taxon, 39(4), pp. 264-276. [Korean Lirerature] 

  42. Van der Maare, E (1971) Plant and species diversity in relation to managemnet. In the Scientific Management of Animal and Plant Communities for Conservation. E. Duffey and A.S. Watt (eds.),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 Oxford. 45-63pp. 

  43. Williams, A,T, Alveirinho-Dias, J, Novo, F.G., Garcia-Mora, M,R, Curr, R, and Pereirae, A (2001). Intergrated coastal dune managemnet : checklists, Cont. Shelf. Res, 21(18-19), pp. 1937-1960. [DOI : https://doi.org/10.1016/S0278-4343(01)00036-X] 

  44. Wilson, E,O (1988). Biodiversity.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pp. 5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