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업 남성의 잦은 외식과 아침결식이 체질량지수 및 영양소 섭취에 미치는 영향 -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분석
Effects of Frequent Eating-out and Breakfast Skipping on Body Mass Index and Nutrients Intake of Working Male Adults: Analysis of 200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4 no.6, 2009년, pp.789 - 797  

이정원 (충남대학교 소비자생활정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requent eating-out and breakfast skipping of working men on body mass index and nutrients intake status, working male adults aged 20 or over were selected (n = 1883) from the data of 200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직업 남성의 외식빈도와 아침식사여부가 BMI 및 영양섭취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흥미롭고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외식과 아침결식이라는 2가지 주된 영양적 위험요소가 함께 영양 상태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파악하고 그에 적합한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 영양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침 결식이 야기하는 부정적 영향은? 4%였다. 아침 결식은 열량 및 영양소 섭취의 불균형, 불규칙적인 식사로 인한 폭식, 과식 및 잦은 간식, 비만 위험도 증가, 오전 중의 인지능력 감소 등의 문제를 야기시킬 수있다고 보고되었다(Lee 등 1996; Pollitt & Mathews 1998; MHW & KHIDI 2003; Affenito 등 2005; Yeoh 등 2008; Yeoh 등 2009).
한국 성인의 점심식사를 장소별로 영양적 질을 평가한 결과 알 수 있었던 것은? Mo(1986)는 외식 소비자의 간편성과 레져 추구 경향, 그에 따른 외식기업의 경제성과 관능적 가치에 초점을 맞춘 경영 등에 기인한 외식 메뉴의 영양적 문제를 우려하였다. 실제로 Chung 등(2006)이 2001년도 국민영양조사 자료를 분석 하여 한국 성인의 점심식사를 장소별로 영양적 질을 평가한바 지방의 에너지 구성비가 상업적 외식에서 가정식이나 단체급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외국의 여러 연구에서 외식메뉴가 열량, 지질, 콜레스테롤, 나트륨 등의 함량이 영양섭취기준 이상이거나 가정식보다 높으며(Clemens 등 1999; French 등 2000; Nielsen 등 2002; Paeratakul 2003; Thompson 등 2004; Burton 등 2006), 외식 섭취의 증가가 비만율 증가와 관련이 높다고 보고하고 있다(Binkeley 2000; Nestle & Jacobson 2000; Young & Nestle 2002; Duerksen 2007).
직업을가진 남성의 식생활 문제는? 한편 직장 남성은 과중한 업무에 따른 심각한 스트레스, 음주 및 흡연과 함께 잦은 외식 등으로 인해 영양 섭취의 불균형을 비롯한 식생활과 건강상 위험에 많이 노출되어 있다 (Lee 2004). 2007년 국민영양조사에 따르면 직장인의 경우 하루 1회 이상 외식하는 비율이 매우 높아 사무직 종사자는 52.3%, 기능직 종사자는 57.4%나 되었다(MHW & KCDCP 2009). 또한 직장인들은 시간에 쫒기기 쉬운 아침 시간과 전날 과중한 업무 및 복잡한 인간관계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성 식욕부진 때문에 아침식사를 중요하지 않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Hwang & Lee 1999). 사무직 종사자와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의 경우 아침 결식율이 각각 33.4%, 31.2%로서 국민 평균 아침 결식율인 21.4%보다 높았다 (MHW & KCDCP 2009).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동 및 청소년 대상의 외식 및 아침결식에 대한 영양이나 건강문제에 대한 연구들은 있으나 직업을가진 남성을 대상으로 한 외식과 아침결식의 영양문제에 대한 연구보고는 활발하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ffenito SG, Thompson DR, Barton BA, Franko DL, Daniels SR, Obarzanek E, Schreiber GB, Striegel-Moore RH (2005): Breakfast consumption by African-American and White adolescent girls correlates positively with calcium and fiber intake and negatively with body mass index. J Am Diet Assoc 105(6): 938-945 

  2. Binkely JK, Eales J,Jekanowski M (2000): The relation between dietary change and rising US obesity. Intl J Obes 24(8): 1032-1039 

  3. Burton S, Creyer EH, Kees J, Huggins K (2006): Attacking the obesity epidemic: The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providing nutrition information in restaurants. Am J Public Health 96(9): 1669-1675 

  4. Cho MS (2005): Health and nutrition implications of food away from home-current trends for marketing restaurants. Korean J Food Culture 20(6): 767-776 

  5. Cho SH, Jang JH, Ha TY, Lee KS, Kim MK, S JS (2004): A survey on breakfast of workers in Daeg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9(6): 673-682 

  6. Chung SJ, Kang SH, Song SM, Ryu SH, Yoon J (2006): Nutritional quality of Korean adults' consumption of lunch prepared at home, commercial places, and institutions: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39(8): 841-849 

  7. Clemens LH, Slawson DL, Klesges RC (1999): The effect of eating out on quality of diet in premenopausal women. J Am Diet Assoc 99(4): 442-444 

  8. Duerksen SC, Elder JP, Arredondo EM, Ayala GX, Slymen DJ, Campbell NR, Baquero B (2007): Family restaurant choices are associated with child and adult overweight status in Mexican- American families. J Am Diet Assoc 107(5): 849-853 

  9. French SA, Harnack L, Jeffery RW (2000): Fast food restaurant use among women in the pound of prevention study: dietary, behavioral and demographic correlates. Int J Obesity 24: 1353-1359 

  10. Guthrie JF, Lin BH, Frazao E (2002): Role of food prepared away from home in the American diet, 1977-78 versus 1994-96: changes and consequences. J Nutr Educ Behav 34: 140-150 

  11. Hong K, Joung H (2009): Restaurateur's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healthy restaurant program in Seoul. Korean J Nutr 42(3):268-277 

  12. Hong KE, Kang YW, Joung H (2008): An analysis of consumers' needs and practice willingness for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in restaurant industry among Seoul residents. Korean J Nutr41(4): 365-373 

  13. Kim SY, Kim JU (2002): Restaurant food choice and preferences of salaried employees in Jinju classified by age and gender. Korean J Nutr 35(9): 996-1006 

  14.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9): 2008 Urban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http://www.kostat.go.kr 

  15. Lee MS (2004): Relationship of the relative risks of the metabolic syndrome and dietary habits of middle-aged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9(6): 695-705 

  16. Lee JW, Lee MS, Kim JH, Son SM, Lee BS (2007): Nutritional assessments, 2nd ed, Kyomunsa, Seoul 

  17. Lee SH, Shim JS, Kim JY, Moon HA (1996): The effect of breakfast regularity on eating habits,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in adults. Korean J Nutr 29(5): 533-546 

  18. Lim YH, Na MI (2008): A survey on dining-out behaviors and food habits of housewives in Daejon. Korean J Food Culture 23(1):1-9 

  19. Lee YM, Lee K, Chang HK (1996): Eating out behaviors and attitude toward Korean foods in adult. Korean J Dietary Culture11(3): 317-326 

  20. Lyu ES, Kwak TK (1989): Consumer opinions on fast foods and food-service - II. Noodle chain restaurants. Korean J Dietary Culture 4(3): 237-243 

  21. Ma Y, Bertone ER, Stanek EJ, Reed GW, Hebert JR, Cohen NL, Merriam PA, Ockene IS (2003): Association between eating patterns and obesity in a free-living US adult population. Am J Epidemiol 158(1): 85-92 

  22. McCrory MA, Fuss PJ, Hays NP, Vinken AG, Greenberg AS, Roberts SB (1999): Overeating in America: association between restaurant food consumption and body fatness in healthy adult men and women ages 19 to 80. Obes Res 7: 564-571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2): Reports of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Survey - Nutrition Survey I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Mid-term Report on 2007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Nutrition Survey. http://knhanes.cdc.go.kr 

  25. Mo S (1986): Effects of food-service industry development on nutrition and dietary life of Korean people. Korean J Nutr 19(2):120-128 

  26. Nielsen SJ, Siega-Riz AM, Popkin BM (2002): Trends in food locations and sources among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Pre Med 35(2): 107-113 

  27. Nestle M, Jacobson MF (2000): Halting the Obesity Epidemic: a public health policy approach. Public Health Reports 115: 12-24 

  28. Paeratakul S, Ferdinand DP, Champagne CM, Ryan DH, Bray GA (2003): Fast-food consumption among US adults and children: dietary and nutrient intake profile. J Am Diet Assoc 103(10):1332-1338 

  29. Pollitt E, Mathews R (1998): Breakfast and cognition: an integrative summary. Am J Clin Nutr 67(4): 804S-813S 

  30. Thompson OM, Ballew C, Resnicow K, Must A, Bandini LG, Cyr H, Dietz WH (2004): Food purchased away from home as a predictor of change in BMI z-score among girls, Int J Obesity 28: 282-289 

  31. Yeoh YJ, Yoon J, Shim JE (2009): Relation of breakfast intake to diet quality in Korean school-aged children: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14(1): 1-11 

  32. Yeoh YJ, Yoon J, Shim JE, Chung SJ (2008) : Factors associated with skipping breakfast in Korean children : Analysis of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13(1): 62-68 

  33. Young LR, Nestle M (2002): The contribution of expanding portion sizes to the US obesity epidemic. Am J Public Health 92(2):246-2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