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나타난 아침식사유형에 따른 식사의 질과 건강상태

Breakfast Consumption Pattern, Diet Quality and Health Outcomes in Adults from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0 no.5, 2007년, pp.451 - 462  

심재은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백희영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문현경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아침식사유형과 주식유형에 따른 식사의 질과 건강상태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자료는 2001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중 $30{\sim}49$세 남자 1,641명, 여자 1,765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대상자들의 아침 섭취여부 및 아침식사의 유형에 따라 사회인구학적 특성, 영양소 및 식품섭취, 대사증후군 관련 건강상태지표를 분석하였다. 아침식사의 유형은 섭취하는 주식에 따라 'RICE' (밥식), 'BREAD' (빵식), 'NOODLE' (면식), 'OTHERS' (기타식)로 분류하였고 그 밖의 혼합유형은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분석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침식사를 거를 때, 영양소의 충분한 섭취라는 측면에서 하루 식사의 질이 아침식사를 섭취하는 것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침식사를 거를 때와 섭취할 때 건강지표상의 의미 있는 차이는 찾을 수 없었으며, 아침식사를 섭취하는 경우 주식을 중심으로 섭취하는 식사의 구성에 따라 몇 가지 의미 있는 차이를 관찰하였다. 첫째, 아침식사유형이 빵식인 대상자들의 월 가구소득이 높았으며, 특히 여자대상자에서는 아침식사의 유형이 면식인 대상자의 평균 월 가구소득이 가장 낮았다. 둘째, 아침식사유형 간 만성질환 유병율의 분포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각 건강지표의 평균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남자 대상자에서는 아침식사유형이 빵식일 때 혈중 총 콜레스테롤이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여자대상자에서는 이러한 특징이 관찰되지 않았고 아침식사유형이 면식인 대상자의 HDL수준이 낮고 공복 시 혈당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남녀대상자 모두에서 빵식인 아침식사는 지방 에너지의 비중이 높았으며 미량 영양소의 밀도는 낮은 수준이었다. 하루 중 다른 끼니의 섭취를 통해 부족한 미량영양소의 섭취는 보충되었으나 이와 함께 총 에너지 섭취가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하였고, 지방의 에너지 비율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었다. 여자대상자에서는 아침식사유형이 면식일 때 아침식사의 에너지 섭취수준이 낮았고 아침식사를 거르는 경우를 제외하고 미량영양소의 섭취가 부족할 가능성이 가장 높았다. 넷째, 식사유형별 식품섭취 양상에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밥식인 경우 다른 주식유형에 비해 섭취하는 식품의 구성이 다양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는 주식의 종류 및 함께 섭취하는 식품의 구성과 그 다양성에 따라 영양섭취결과와 건강상태 지표상에 차이가 있으며, 성호르몬에 따른 성별 차이의 영향을 간과할 수 없음을 보여주었고, 나아가 주식의 선택과 식사의 구성에 미치는 사회경제적 수준의 영향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같은 유형의 주식을 중심으로 식사를 구성하더라도 식품의 선호도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므로 궁극적으로는 건강한 식단에 대한 연구와 이에 대한 영양교육이 중요하며, 이때 생활환경과 성별에 따른 차이가 고려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breakfast consumption pattern in relation to diet quality and health outcomes of Korean adults. Data are from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ietary information of 3406 adults aged $30{\sim}49$ years and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아침식사유형과 주식유형에 따른 식사의 질과 건강상태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자료는 20이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중 30~49 세 남자 1, 641명, 여자 1, 765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 16-21) 그러나 아침식사를 섭취하고 있는 대다수에 대해 이들의 아침식사유형에 따른 식사의 질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은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규모의 조사 자료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첫째, 아침 식사의 섭취 여부 및 주식 유형을 중심으로 아침식사의 섭취내용을 분석하고, 둘째, 이러한 아침식사의 유형에 따른 하루 식사의 질과 건강 상태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식생활의 변화와 건강지표의 변화를 모두 관찰할 수 있는 30 - 40대의 성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가설 설정

  • Type Ⅲ SS of breakfast status was significant in each ANCOVA mod시 including age as covariate (s: p < 0.05, ss: p < 0.0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Rampersaud GC, Pereira MA, Girard BL, Adams J, Metzl JD. Breakfast habits, nutritional status, Body weight, and academic performa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Am Diet Assoc 2005; 105: 743-760 

  2. Cho S, Dietrich M, Brown CJP, Clark CA, Block G. The effect of breakfast type on total daily energy intake and body mass index: result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tudy (NHANES III). J Am Coll Nutr 2003; 22: 296-302 

  3. Kim SH. Children's growth and school performance in relation to breakfast.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999; 5 (2): 215-224 

  4. Siega-riz AM, Popkin BM, Carson T. Differences in food patterns at breakfast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mo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s sample of adults in the United States. Prev Med 2000; 30: 415-424 

  5. Lloyd HM, Rogers PJ, Hedderley DI. Acute effects on mood and cognitive performance of breakfasts differing in fat and carbohydrate content. Appetite 1996; 27: 151-164 

  6. Mahoney CR, Taylor HA, Kanarek RB, Samuel P. Effect of breakfast composition on cognitive processe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Physiol Behav 2006; 85: 635-645 

  7. Barton BA, Eldridge AL, Thompson D, Affenito SG, Striegel- Moore RH, Franko DL, Albertson AM, Crockett SJ. The relationship of breakfast and cereal consumption to nutrient intake and body mass index: 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growth and health study. J Am Diet Assoc 2005; 105: 1383-1389 

  8. Song WO, Chun OK, Obayashi S, Cho S, Chung CE. Is conumption of breakfast associated with body mass index in US adults. J Am Diet Assoc 2005; 105: 133-1382 

  9. Shim JE, Paik HY, Moon HK, Kim YO. Compara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dietary intakes of Koreans by age group: (5) meal patterns. Jouran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04; 42(8): 169-185 

  10. Hwang H, Lee J. A study onf teachers' breakfast behavior and ideal breakfast typ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999; 4 (4): 575-586 

  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dustry (KHIDI).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 nutrition survey (I). MOHW; 2006 

  12. Shim JE, Paik HY, Moon HK, Kim YO. Compara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dietary intakes of Koreans by age group: (1) nutrient intakes. Korean J Nutr 2001; 34(5): 554-567 

  13. Shim JE, Paik HY, Moon HK, Kim YO. Compara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dietary intakes of Koreans by age group: (2) food and food group intakes. Korean J Nutr 2001; 34(5): 568- 579 

  14. Shim JE, Kim J, Nam G, Paik HY, Moon HK, Kim YO. Compara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dietary intakes of Koreans by age group: (3) risk factors for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Korean J Nutr 2002; 35(1): 78-89 

  15. Shim JE, Paik HY, Lee SY, Moon HK, Kim YO. Compara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dietary intakes of Koreans by age group: (4) the Korean diet quality index. Korean J Nutr 2002; 35(5): 558-570 

  16. Chang NS. Trends in breakfast consumption patterns of Korean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997; 3(2): 216-222 

  17. Yu HH, Nam JE, Kim IS. A study of the nutritional intake and health condi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as related to their frequency of eating breakfast.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3; 8(6): 964-976 

  18. Yi BS, Yang IS. An exploratory study for identifying factors related to breakfast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6; 11(1): 25-38 

  19. Cho SH, Jang JH, Ha TY, Lee KS, Kim MK, Seo JS. A survey on breakfast of workers in Daeg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4; 9(6): 673-682 

  20. Choi MY, Park DY, Rhie SG. Rice preference differences in subjects taking breakfast regularly and skipping breakfast in Kyeonggi-do residenc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3; 8 (4): 547-555 

  21. Hyun WJ, Lee JW, Kwak CS, Song KH. Energy value of breakfast and its relation to total daily nutrients intake and serum lipid in Korean urb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998; 3 (3): 368-379 

  22. Affenito SG, Thompson DR, Barton BA, Franko DL, Daniels SR, Obarzanek E, Schreiber GB, Striegel-Moore RH. Breakfast consumption by African-American and white adolescent girls correlates positively with calcium and fiber intake and negatively with body mass index. J Am Diet Assoc 2005; 105: 938-945 

  23. Crespo CJ, Sempos CT, Smit E, Anderson RE, Snelling A. Hormone replacement therapy and its relationship to lipid and glucose metabolism in diabetic and nondiabetic postmenopausal women. Diabetes Care 2002; 25: 1675-1680 

  24. Oh KW. Estrogen and cardiovascular disease. J Kor Soc Endocrinol 2004; 19(6): 573-582 

  25. Sosa C, Abecia JA, Forcada F, Vinoles C, Tasende C, Valares JA, Palacin I, Martin GB, Meikle A. Effect of undernutrition on uterine progesterone and oestrogen receptors and on endocrine profiles during the ovine oestrous cycle. Reprod Fertil Dev 2006; 18(4): 447-4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