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성인에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침 결식률과 아침결식자의 결식 원인 및 식행동에 관한 조사
A Survey on the Breakfast Skipping Rate of Korean Adults Relative to Their Lifestyle and Breakfast Skipping Reasons and Dietary Behavior of Breakfast Skipper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5 no.2, 2010년, pp.191 - 205  

윤선주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혜련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현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ates and reasons for breakfast skipping according to gender, age, and lifestyle related factors in Korean adults.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and the subjects included 1148 male and female adults aged 19-64. The rate of breakfast skipping (frequency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주 4회 이하 섭취(3회 이상 결식)하는 군을 아침결식군으로 분류한 이유는 결과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아침결식을 주 1회 이상의 결식과 같이 지나치게 엄격 하게 평가할 경우 아침결식의 빈도가 높은 대상자의 특성을 구분해 내기 어려울 수 있고, Cho & Vranas (2004)의 연구와 같이 아침 결식을 지나치게 관대한 기준을 가지고 평가할 경우 주 50% 이상의 결식자가 아침식사섭취자로 분류될 수 있기 때문에 본 기준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 주 4회 이하 섭취(3회 이상 결식)하는 대상자를 아침 결식군으로, 주 5회 이상 아침식사를 섭취하는 대상자를 아침식사군으로 분류하였다. 아침결식을 주 1회 이상의 결식과 같이 지나치게 엄격하게 평가할 경우 아침결식의 빈도가 높은 대상자의 특성을 구분해 내기 어렵고, 아침 결식을 지나치게 관대한 기준을 가지고 평가하게 되면 주 50% 이상을 결식하는 대상자가 아침식사섭취자로 분류될 수 있기 때문에 본 기준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기준으로 평가시 전체 대상자의 41.
  • 때문에 일부에서는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아침식사의 메뉴를 제안하기 위한 연구 들이 시도되고 있다(Lee 2003).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성별, 연령과 지역, 결혼 여부, 거주 형태, 월 평균수입, 직업과 같은 라이프스타일 관련 요인에 따른 아침식사 결식률과 결식 원인을 조사하고 아침결식자들의 식행동 특성을 파악하여 대상자들의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따른 아침결식 예방을 위한 대책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전체 대상자의 평균 아침 결식률은 몇 %인가? 아침식사의 섭취는 하루 식사의 영양적 균형유지와 함께 혈당의 유지, 인지능력의 향상, 과식 방지, 체중 조절, 기타 여러 질병 발생의 예방효과 등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Lee 등 1996; Lee 1998; Kim 1999; Ma 등 2003).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에 발표된 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MOHWFA]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P]2008)에서 전체 대상자의 평균 아침 결식률은 21.7%로 점심 결식률(5.9%)과 저녁 결식률(4.
생활양식의 변화에는 어떤 요인들이 작용하는가? 아침 결식률의 증가는 현대사회의 빠른 산업화와 이로 인한 생활양식의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Heo & Kim 1999). 생활양식 즉 라이프스타일은 직장, 경제상황, 결혼여부, 거주형태, 거주지역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다. 여성의 사회진출로 인한 맞벌이 가구는 현재 기혼가구의 28.
아침식사의 섭취는 어떤 효능이 있는가? 아침식사의 섭취는 하루 식사의 영양적 균형유지와 함께 혈당의 유지, 인지능력의 향상, 과식 방지, 체중 조절, 기타 여러 질병 발생의 예방효과 등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Lee 등 1996; Lee 1998; Kim 1999; Ma 등 2003).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에 발표된 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MOHWFA]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P]2008)에서 전체 대상자의 평균 아침 결식률은 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e YJ, Lee JC, Kim MH (2007):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quality of college students by residing types in Samcheok. J Korean Diet Assoc 13(4): 311-330 

  2. Cason KL (2006): Family mealtimes: more than just eating together. J Am Diet Assoc 106(4): 532-533 

  3. Chang NS (1997): Trends in breakfast consumption patterns of Korean adults. J Korean Diet Assoc 3(2): 216-222 

  4. Cho SH, Jang JH, Ha TY, Lee KS, Kim MK, Seo JS (2004): A survey on breakfast of workers in Dague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9(6): 673-682 

  5. Choi MK, Kim MH (2007): A study on bone mineral density,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status of adult women in the three age groups. Korean J Food Culture 22(6): 833-840 

  6. Choi MY, Park DY, Rhie SG (2003): Rice preference difference in subjects taking breakfast regularly and skipping breakfast in Kyeonggi-do residence. Korean J Community Nutr 8(4): 547-555 

  7. Cueto S (2001): Breakfast and performance. Public Health Nutr (6A): 1429-1431 

  8. Dialektakou KD, Vranas PB (2008): Breakfast skipping and body mass index among adolescents in Greece: whether an association exists depends on how breakfast skipping is defined. J Am Diet Assoc 108(9): 1517-1525 

  9. Heo IJ, Kim DH (1999): A study on breakfast related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 J Korean Soc Health Education Promotion 16(2): 29-36 

  10. Joo YS (2009): Wild geese of Korea. Available from: http:// www.datanews.co.kr/site/datanews/DTWork.asp?itemIDT1002910&aID 20090513155653780. Accessed May 13, 2009 

  11. Keski-Rahkonen A, Kaprio J, Rissanen A, Virkkunen M, Rose RJ (2003): Breakfast skipping and health-compromising behaviors in adolescents and adults. Eur J Clin Nutr 57(7): 842-853 

  12. Kim MH, Lee JC, Bae YJ (2009): The evaluation study on eating behavior and dietary quality of elderly people residing in Samcheok according to age group. Korean J Community Nutr 14(5): 495-508 

  13. Kim SH (1999): Children's growth and school performance in relation to breakfast. J Food Sci Nutr 5(2): 215-224 

  14. Kim SH, Joung KH, Chae BS (2007): Dietary life and eating-out style related to breakfast frequency of male students in culinary college. Korean J Community Nutr 12(1): 13-24 

  15.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2008 Social Indicators in Korea. p. 92 

  16. Kwon SJ (2001): Development of rice-based prepared meals. Korean J Community Nutr 6(5): 516-526 

  17. Larson NI, Neumark-Sztainer D, Hannan PJ, Story M (2007): Family meals during adolescence are associated with higher diet quality and healthful meal patterns during young adulthood. J Am Diet Assoc 107(9): 1502-1510 

  18. Lee HY (1998): A survey on breakfast of commuting local students and suggestions for desirable breakfast menu. Korean J Food & Nutr 11(3): 323-328 

  19. Lee JS (2003): A study of female college students' behavior and ideal breakfast types-II. Dining-out behavior of breakfast and preference on breakfast menu. Korean J Food Culture 18(5): 466-474 

  20. Lee JS, Chung HJ (2001): A Study of female college student's breakfast behavior and ideal breakfast type. Korean J Dietary Culture 16(4): 378-387 

  21. Lee SH, Shim JS, Kim JY, Moon HA (1996): The effect of breakfast regularity on eating habits,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in adults. Korean J Nutr 29(5): 533-546 

  22. Lee YJ, Choi SH, Han JS (2003): A study on the actual state of food allergy and food behavior in adul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3): 167-175 

  23. Ma Y, Bertone ER, Stanek EJ 3rd, Reed GW, Hebert JR, Cohen NL, Merriam PA, Ockene IS (2003): Association between eating patterns and obesity in a free-living US adult population. Am J Epidemiol 158(1): 85-92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2006):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e Survey (KNHANES III), 2005- Nutrition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25.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P] (2008): 2007 National Health Statistics- The 4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first year (2007).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eoul 

  26. Pollitt E, Mathews R (1998): Breakfast and cognition: an integrative summary. Am J Clin Nutr 67(4): 804-813 

  27. Real Estate Institute of the Kookmin Bank Team (2008): Survey on Demand for Housing Finance 

  28. Shin KH, Chae KY, Yoo YJ (2002): A study on the breakfast habits of salaried people in Seoul.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1): 119-128 

  29. Song WO, Chun OK, Obayashi S, Cho S, Chung CE (2005): Is consumption of breakfast associated with body mass index in US adults? J Am Diet Assoc 105(9): 1373-1382 

  30. Yeon JY, Bae YJ, Kim MH, Jo HK, Kim EY, Lee JS, Kim MH (2009):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and bone status of female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calorie consumption from coffee containing beverage. Korean J Food & Nutr 22(3): 430-442 

  31. Yu HH, Nam JE, Kim IS (2003): A study of the nutritional intake and health condi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related to their frequency of eating breakfast. Korean H Community Nutr 8(6): 964-9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