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전.충남지역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of Dietitians(Nutrition Teachers) of School Foodservice in Daejeon/Chungnam Province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4 no.6, 2009년, pp.798 - 806  

신왕미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  한장일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김성애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o improve job satisfaction for dietitians and nutrition teachers by identifying influencing factors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 South Korea.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and nutrition teachers from selected pri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전·충남지역의 학교급식소의 영양교사와 일반 영양사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업무수행도(Work performance), 업무만족도(Work satisfaction) 및 직무만족도(Job satisfaction)를 조사하고, 요인분석을 통해 학교 급식소 영양(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냄으로써 학교급식소 영양(교)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고 학교급식의 질적 양적 향상에 기여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2003년 영양교사제가 법제화 된 이후 대전·충남지역 학교급식소의 일반 영양사와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함으로써 직무 환경의 향상 방안들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학교 영양(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대전·충남지역 초·중·고등학교급식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사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하는 것은 어떤 효과를 가져오는가? 즉 영양사의 질적 근무여건을 향상시키면 급식 생산성을 통한 효율화가 극대화되며 높은 직무긍지를 갖게 되어 이에 따라 영양사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된다. 이러한 효과는 직접적으로 학생들에게 좋은 급식의 제공으로 연결되므로 영양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Jeong 2007). 영양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Yang & Ham 1993; Han 등 1999; Park 1999; Shin 등 1999; Ko 2002; Lee 2002; Jang & Kim 2003; Choo 등 2005; Hwang 2005; Kim 2006; Cha & Seo 2006; Jeong 2007)는 학교급식의 확대와 더불어 활발히 수행되고 있는 편이다.
영양사의 질적 근무여건을 향상시키는 것은 무슨 효과를 가져오는가? 학교급식의 역할이 강조, 증대됨에 따라 급식의 생산관리에서 영양교육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영양사는 직업윤리에 사명감이 있는 전문인으로 급식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문적 능력과 자질을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며, 이와 같은 자격을 갖춘 영양사가 좋은 직무 환경에서 긍지와 자부심을 가지며 직무에 만족할 때,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학교급식의 질도 향상된다(Park 1999). 즉 영양사의 질적 근무여건을 향상시키면 급식 생산성을 통한 효율화가 극대화되며 높은 직무긍지를 갖게 되어 이에 따라 영양사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된다. 이러한 효과는 직접적으로 학생들에게 좋은 급식의 제공으로 연결되므로 영양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Jeong 2007).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학교급식의 질도 향상되는 때는 언제인가? 학교급식의 역할이 강조, 증대됨에 따라 급식의 생산관리에서 영양교육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영양사는 직업윤리에 사명감이 있는 전문인으로 급식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문적 능력과 자질을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며, 이와 같은 자격을 갖춘 영양사가 좋은 직무 환경에서 긍지와 자부심을 가지며 직무에 만족할 때,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학교급식의 질도 향상된다(Park 1999). 즉 영양사의 질적 근무여건을 향상시키면 급식 생산성을 통한 효율화가 극대화되며 높은 직무긍지를 갖게 되어 이에 따라 영양사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ffenito SG, Thompson DR, Barton BA, Franko DL, Daniels SR, Obarzanek E, Schreiber GB, Striegel-Moore RH (2005): Breakfast consumption by African-American and White adolescent girls correlates positively with calcium and fiber intake and negatively with body mass index. J Am Diet Assoc105(6): 938-945 

  2. Binkely JK, Eales J,Jekanowski M (2000): The relation between dietary change and rising US obesity. Intl J Obes 24(8): 1032-1039 

  3. Burton S, Creyer EH, Kees J, Huggins K (2006): Attacking the obesity epidemic: The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providing nutrition information in restaurants. Am J Public Health 96(9):1669-1675 

  4. Cho MS (2005): Health and nutrition implications of food away from home-current trends for marketing restaurants. Korean J FoodCulture 20(6): 767-776 

  5. Cho SH, Jang JH, Ha TY, Lee KS, Kim MK, S JS (2004): A survey on breakfast of workers in Daeg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9(6): 673-682 

  6. Chung SJ, Kang SH, Song SM, Ryu SH, Yoon J (2006): Nutritional quality of Korean adults' consumption of lunch prepared at home, commercial places, and institutions: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39(8): 841-849 

  7. Clemens LH, Slawson DL, Klesges RC (1999): The effect of eating out on quality of diet in premenopausal women. J Am Diet Assoc 99(4): 442-444 

  8. Duerksen SC, Elder JP, Arredondo EM, Ayala GX, Slymen DJ, Campbell NR, Baquero B (2007): Family restaurant choices are associated with child and adult overweight status in Mexican- American families. J Am Diet Assoc 107(5): 849-853 

  9. French SA, Harnack L, Jeffery RW (2000): Fast food restaurant use among women in the pound of prevention study: dietary, behavioral and demographic correlates. Int J Obesity 24: 1353-1359 

  10. Guthrie JF, Lin BH, Frazao E (2002): Role of food prepared away from home in the American diet, 1977-78 versus 1994-96: changes and consequences. J Nutr Educ Behav 34: 140-150 

  11. Hong K, Joung H (2009): Restaurateur's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healthy restaurant program in Seoul. Korean J Nutr 42(3): 268-277 

  12. Hong KE, Kang YW, Joung H (2008): An analysis of consumers' needs and practice willingness for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in restaurant industry among Seoul residents. Korean J Nutr41(4): 365-373 

  13. Kim SY, Kim JU (2002): Restaurant food choice and preferences of salaried employees in Jinju classified by age and gender. Korean J Nutr 35(9): 996-1006 

  14.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9): 2008 Urban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http://www.kostat.go.kr 

  15. Lee MS (2004): Relationship of the relative risks of the metabolic syndrome and dietary habits of middle-aged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9(6): 695-705 

  16. Lee JW, Lee MS, Kim JH, Son SM, Lee BS (2007): Nutritional assessments, 2nd ed, Kyomunsa, Seoul 

  17. Lee SH, Shim JS, Kim JY, Moon HA (1996): The effect of breakfast regularity on eating habits,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in adults. Korean J Nutr 29(5): 533-546 

  18. Lim YH, Na MI (2008): A survey on dining-out behaviors and food habits of housewives in Daejon. Korean J Food Culture 23(1):1-9 

  19. Lee YM, Lee K, Chang HK (1996): Eating out behaviors and attitude toward Korean foods in adult. Korean J Dietary Culture 11(3): 317-326 

  20. Lyu ES, Kwak TK (1989): Consumer opinions on fast foods and food-service - II. Noodle chain restaurants. Korean J Dietary Culture 4(3): 237-243 

  21. Ma Y, Bertone ER, Stanek EJ, Reed GW, Hebert JR, Cohen NL, Merriam PA, Ockene IS (2003): Association between eating patterns and obesity in a free-living US adult population. Am J Epidemiol 158(1): 85-92 

  22. McCrory MA, Fuss PJ, Hays NP, Vinken AG, Greenberg AS, Roberts SB (1999): Overeating in America: association between restaurant food consumption and body fatness in healthy adult men and women ages 19 to 80. Obes Res 7: 564-571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2): Reports of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Survey - Nutrition Survey I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Mid-term Report on 2007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Nutrition Survey. http://knhanes.cdc.go.kr 

  25. Mo S (1986): Effects of food-service industry development on nutrition and dietary life of Korean people. Korean J Nutr 19(2):120-128 

  26. Nielsen SJ, Siega-Riz AM, Popkin BM (2002): Trends in food locations and sources among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Pre Med 35(2): 107-113 

  27. Nestle M, Jacobson MF (2000): Halting the Obesity Epidemic: a public health policy approach. Public Health Reports 115: 12-24 

  28. Paeratakul S, Ferdinand DP, Champagne CM, Ryan DH, Bray GA(2003): Fast-food consumption among US adults and children: dietary and nutrient intake profile. J Am Diet Assoc 103(10):1332-1338 

  29. Pollitt E, Mathews R (1998): Breakfast and cognition: an integrative summary. Am J Clin Nutr 67(4): 804S-813S 

  30. Thompson OM, Ballew C, Resnicow K, Must A, Bandini LG, Cyr H, Dietz WH (2004): Food purchased away from home as a predictor of change in BMI z-score among girls, Int J Obesity 28: 282-289 

  31. Yeoh YJ, Yoon J, Shim JE (2009): Relation of breakfast intake todiet quality in Korean school-aged children: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14(1): 1-11 

  32. Yeoh YJ, Yoon J, Shim JE, Chung SJ (2008) : Factors associated with skipping breakfast in Korean children : Analysis of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13(1): 62-68 

  33. Young LR, Nestle M (2002): The contribution of expanding portion sizes to the US obesity epidemic. Am J Public Health 92(2):246-24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