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지역 산업체 급식소 고객의 급식 나트륨 저감화 운영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
Customers' Perceptions of Operational Status of and Needs for Sodium Reduction in the Industry Foodservice in Seoul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5 no.1, 2020년, pp.21 - 31  

이나영 (대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customers' perceptions of the need for a low-sodium diet and sodium-reduced operations in the industry foodservice by age. The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concerns and perceptions of the need for sodium-reduced operations and low-sodium diets in the industr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지금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나트륨 관련 인식조사 연구는 초등학생[18], 여대생[19] 및 성인[20], 노인[21], 초등학교 교사[22]를 대상으로 진행되었고, 급식 이용 성인을 대상으로 한 나트륨 저감 급식에 대한 인식조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체 급식소 고객이 인지하는 나트륨 저감 급식소 운영현황, 나트륨 저감 급식 운영 필요성 인식, 저나트륨 식단 인식, 건강관심도를 조사하고, 고객의 건강관심도가 나트륨 저감 급식 운영 필요성 인식과 저나트륨 식단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서울지역 산업체 급식소 이용 고객 340명을 대상으로 건강관심도, 나트륨 저감 급식 운영 필요성, 저나트륨 식단 인식을 조사하여 연령별로 비교하고, 고객의 건강관심도가 나트륨 저감 급식 운영 필요성 인식과 저나트륨 식단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응답자는 20대, 30대, 40대, 50대가 각각 25%로 구성되어 있고, 사무실 근무자가 77.
  • 서울시에서는 ‘서울시 나트륨 섭취 저감화 종합대책 2020’[11]을 수립하여 시민들의 나트륨 인식 제고와 나트륨 섭취량을 감소시키고 조리종사자들의 나트륨 줄이기 필요성 인식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양한 나트륨 저감화 정책과 사업의 예시는? 국가마다 만성질환 감소를 위한 전략의 하나로 다양한 나트륨 저감화 정책과 사업을 펼치고 있다. 많은 국가들은 식품산업에서 나트륨 함량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나트륨 저감화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교육 매체와 도구를 개발하여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9-11]. 유럽, 미국, 캐나다 등은 다양한 매체와 캠페인을 통해 소비자의 행동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각종 분야에서 지원을 구축하고 있다[9, 10, 12, 13]. 우리나라에서는 제3차 국민건강진흥종합계획[14]에서 나트륨 저감화 정책이 제시되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나트륨 줄이기 국민운동본부’를 출범시켜 가공식품회사와 급식 및 외식산업 분야에서 나트륨 저감화를 실천할 수 있도록 하고 교육·홍보와 캠페인을 통해 국민의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15]. 서울시에서는 ‘서울시 나트륨 섭취 저감화 종합대책 2020’[11]을 수립하여 시민들의 나트륨 인식 제고와 나트륨 섭취량을 감소시키고 조리종사자들의 나트륨 줄이기 필요성 인식을 높이고자 하였다.
나트륨의 과잉섭취의 원인이 되는 질환은? 나트륨의 과잉섭취는 고혈압, 뇌졸중, 심근경색, 심장질환, 그 외 당뇨병, 비만과 같은 만성질환의 원인이 된다[1-4]. 우리나라 고혈압 환자는 604만명으로 연평균 2.
2015 한국인영양소섭취기준 나트륨 하루 목표섭취량은? 다양한 나트륨 저감화 정책과 사업은 심혈관계 질환 환자의 비율을 감소시켜 의료비 대비 경제적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6]. 2015 한국인영양소섭취기준[7]의 나트륨 하루 목표섭취량은 2,000 mg이고, 세계보건기구(WHO)[8]에서도 나트륨을 하루 2,000 mg 이하로 섭취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5]에 의하면 나트륨 섭취는 2010년 이후 점차 감소하고 있지만 2017년 1인 1일 평균 섭취량은 3,4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Intersalt Cooperative Research Group. Intersalt: an international study of electrolyte excretion and blood pressure. Results for 24 hour urinary sodium and potassium excretion. BMJ 1988; 297 (6644): 319-328. 

  2. Elliott P, Stamler J, Nichols R, Dyer AR, Stamler R, Kesteloot H et al. Intersalt revisited: further analyses of 24 hour sodium excretion and blood pressure within and across populations. BMJ 1996; 312(7041): 1249-1253. 

  3. Sacks FM, Svetkey LP, Vollmer WM, Appel LJ, Bray GA, Harsha D et al. Effects on blood pressure of reduced dietary sodium and the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DASH) diet. N Engl J Med 2001; 344(1): 3-10. 

  4. He FJ, MacGregor GA. Effect of modest salt reduction on blood pressur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trials. Implications for public health. J Hum Hypertens 2002; 16(11): 761-770.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2).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6. Lee CH, Kim DI, Hong JL, Koh EU, Kang BW, Kim JW. Costbenefit analysis of sodium intake reduction policy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3): 341-352. 

  7.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p. 645. 

  8. World Health Organization. Salt reduction [internet]. 2016 [cited 2019 Jan 12].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salt-reduction. 

  9. He FJ, Jenner KH, Macgregor GA. WASH-world action on salt and health. Kidney Int 2010; 78(8): 745-753. 

  10. Federal Food Safety and Veterinary Office (CH). Salt strategy for 2013-2016: paper on a strategy for reducing salt consumption. Bern: Federal Food Safety and Veterinary Office; 2013. 

  11.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Division of Food Safety (KR). Comprehensive plan of reducing sodium intake in Seoul 2020.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3. 

  12. Henney JE, Taylor CL, Boon CS. Strategies to reduce sodium intake in the United State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010. p.153-154. 

  13. Yun SM. Analysis trend for new sodium reduction strategy in U.S.A. Health Welf Policy Forum 2014; 209: 106-114. 

  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The 3rd health plan 2020 (2011-2015).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15. Lim AH, Hwang JY, Kim KR. Evaluation of the sodium intake reduction plan for a local government and evidence-based reestablishment of objectives: Case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J Nutr Health 2017; 50(6): 664-678. 

  16. Jung JE. Policy trends of sodium reduction. Food Sci and Ind 2016; 49(2): 2-7. 

  17. Park SY, Lee KA. Study on the salt and sodium content of middle school lunch meals in Gyeonsangbuk-do area: Focus on application of 'SamSam Foodserv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6; 45(5): 757-764. 

  18. Lee DH, Kim SY, Bae IO, Lee HG.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sodium intak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J Korean Living Sci Res 2010; 30(2): 16-22. 

  19. Shim E, Yang YJ, Yang YK. Relationship between thresholds and self-assessed preference for saltiness and sodium intake in young women. J Nutr Health 2016; 49(2): 88-98. 

  20. Rho JO, Kim HA. A study on the knowledge, dietary behavior related to sodium, attitudes towards a low-salt diet of adults in the Jeonbuk area. Korean J Hum Ecol 2013; 22(4): 693-705. 

  21. Jang JY, Kim MJ, Han JS. A study on food frequency,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elderly who intake high sodi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9; 38(10): 1362-1372. 

  22. Moon HO, Rho JO. Correlation analysis of sodium-related knowledge, dietary behavior, attitudes towards a low-salt diet and meal attitude guidanc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Jeonbuk area. J Nutr Health 2017; 50(2): 180-191. 

  23. Lee JH. Awareness and practice of sodium reduction by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dietitians in Gyeonggi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12; 22(6): 734-743. 

  24. Ahn SH, Kwon JS, Kim KM, Yoon JS, Kim HK. Evaluation of consumer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o reduce sodium intake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Korean J Community Nutr 2015; 20(6): 433-466. 

  25. Ahn Y, Kim KW, Kim KM, Pyun JW, Yeo IH, Nam KS. Nutrition knowledge, eating attitudes, nutrition behavior, selfefficacy of childcare center foodservice employees by stages of behavioral change in reducing sodium intake. J Nutr Health 2015; 48(5): 429-440. 

  26. Baek JY, Yi HY, Hwang JY, Kim KR.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for low sodium consumption among housewives living in certain regions of Seou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7; 46(10): 1243-1252. 

  27. Yoon SJ, Kang KO. Status of recognition, effort, and satisfaction of customers on low-sodium diet in industry foodservice.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7; 27(2): 168-175. 

  28. Kim SH, Jeong YJ.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ends in sodium reduction and practice. Food Sci and Ind 2016; 49(2): 25-33. 

  29. Lee KS. Use of salimeters and sodium reduction education in school foodservice in the Gyeonggi area. J Korean Diet Assoc 2013; 19(2): 173-181. 

  30. Shin JH. Perception of dietitians for reduced sodium intake in food service and development of sodium-restricted recipes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2010. 

  31. Mattes RD. The taste for salt in humans. Am J Clin Nutr 1997; 65(S2): 692S-697S. 

  32. Song DY, Park JE, Shim JE, Lee JE. Trends in the major dish groups and food groups contributing to sodium intake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2010. Korean J Nutr 2013; 46(1): 72-85. 

  33. Yon M, Lee Y, Kim D, Lee J, Koh E, Nam E et al. Major sources of sodium intake of the Korean population at prepared dish level: based on the KNHANES 2008 & 2009.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4): 473-487. 

  34. Yu KW, Hwang JH.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low-sodium Kimchi prepared with salt replacement. Korean J Food Nutr 2011; 24(4): 753-760. 

  35. Heo YR, Oh HY, Ro HK.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dietary behavior and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for sodium reduction according to the stages of behavioral change in sodium reduction of male adult subjects in Gwangju Jeonnam regions. J Nutr Health 2017; 50(5): 472-482. 

  36. Ahn SH.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o reduce sodium intake for consumers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and stage of behavior change mode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13. 

  37. Son SM, Huh GY, Lee H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validity of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DFQ) and short DFQ using Na index for estimation of habitual sodium intake.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5): 677-692. 

  38. Shin EK, Lee HJ, Jun SY, Jung YY, Park EJ, Ahn MY, Lee YK.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sodium reduction in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2): 216-227. 

  39. Chung YS. Salt intake and dietary factors associated with salt intake in Korea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2006. 

  40. Son SM, Lee KH, Kim KW, Lee YK. Practice of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ling: Focus on child and adolescent. Seoul: Life Science; 2007. p. 1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