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보자기의 장식성 연구
Korean Wrapping Cloths as a Decorative Art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3 no.12, 2009년, pp.1883 - 1896  

김순영 (Dept. of History of Design, Royal College of Art)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은 조선후기 보자기에 적용된 다양한 장식 특성을 연구한 것이다. 보자기는 물건을 싸거나 음식을 덮는 등 일차적으로는 실생활에 활용하기 위한 실용적 목적으로 제작되었지만, 보자기 제작은 전래된 상징적 문양의 표현을 통한 현세적 기원의 행위이기도 했으며, 또한 조선의 엄격한 유교 윤리 하에서 여성의 창작 욕구가 자유롭게 발현된 생활 속 여흥의 일부이기도 했다. 한국의 보자기에는 조각 잇기, 자수, 회염, 인염, 오려내기 세공 등 다양한 장식 기법이 활용되었다. 조각 잇기 기법이 활용된 조각보에서는 조선 여인들의 절약습관이 돋보이는데 이는 특히 자원의 재활용을 중시하는 오늘날의 가치와도 일맥상통하는 바가 있다. 자수가 놓인 수보에서는 상징적 문양의 표현을 통한 여인들의 소박한 바램이 읽혀진다. 한국 보자기는 회염이나 인염으로 장식되기도 했는데, 이들은 한국 복식 유물에서는 보기 어려운 장식 기법들이다. 농담을 조절한 다양한 색채의 당채 기법이나 단일색의 먹물 채색, 여러 종류의 도안이 새겨진 목판을 이용한 인염 기법 등이 이용되었다. 음식물이 묻지 않게 하기 위해 때로는 기름 종이로 보자기를 만들기도 했는데, 이러한 식지보에는 오려내기 세공이 장식 기법으로 활용되었다. 오려내기 기법의 원리는 스텐실 염색과 비슷하여 이를 또한 섬유제품 디자인에 활용할 수도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explores the use of Korean wrapping cloths (bojagi) in the late Joseon period and the types of decorations applied to them. Korean wrapping cloths called bojagi are pieces of cloths used by households of all social classes for practical purposes such as wrapping presents and covering food...

주제어

참고문헌 (28)

  1. Berliner, N. Z. (1986). Chinese folk art. Boston: Little, Brown and Company 

  2. Burnard, J. (1994). Chintz and cotton. Kenthurst: Kangaroo Press 

  3. Dictionary of Korean myths and symbols. (2006). Seoul:Doosan Donga 

  4. Gilfoy, P. S. (1987). Patterns of life. Washington, DC: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5. Huh, D. H. (1988). The wonder cloth. Seoul: The Museum of Korean Embroidery 

  6. Huh, D. H. (2001). The world of colorful delight. Seoul: The Museum of Korean Embroidery 

  7. Huh, D. H. (2003). History and art in traditional wrapping cloths. In J. M. White & D. H. Huh (Eds.), Wrapping of happiness (pp. 20-24). Hawaii: Honolulu Academy of Arts 

  8. Huh, D. H., & Park, Y. S. (1988). Crafts of the inner court. Seoul: The Museum of Korean Embroidery 

  9. Hyen, S. J. (1997). A study on the woman's artistic consciousness in Chosun dynasty.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0. Irwin, J., & Brett, K. (1970). Origins of chintz. London: H. M. O. S 

  11. Kang, J. C. (1997). A study on the symbols of the folks appeared in the passing rituals. Danguk University Kukmunhak Nonchong, 15, 53-107 

  12. Kim, H. N. (2007). A study on the color harmony for development of cultural goods.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13. Kim, K. P. (2003). Profusion of color. In J. M. White & D. H. Huh (Eds.), Wrapping of happiness (pp. 10-19). Hawaii: Honolulu Academy of Arts 

  14. Kim, O. K. (1998). Study on the expressional techniques in Yi-dynasty's Pojagi. Hanguk Gongye Nonchong, 1, 61-86 

  15. Kim, S. Y. (2005). The associational meaning of purpleserious color names in the clothing of Joseon dynasty peri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5(3), 1-18 

  16. Kim, S. D. (1997). Joseon Jaebong Jeonseo (Joseon Sewing Encyclopedia) (Minsokwon, Reprint). Seoul: Minsokwon. (Original work published 1925) 

  17. King Seongjong. (1985). Geongguk Daejeon (The National Code of Joseon dynasty) (Hanguk Jeongsin Munhwa Yeonguwon, Reprint). Seongnam: Hanguk Jeongsin Munhwa Yeonguwon. (Original work published 1485) 

  18. Korea Culture and Content Agency, Jds infotech, Ltd, & Chungang University. (2004). Kisan Pungsokdo Digital Hwacheop (Digital Catalogue of the Folk Paintings by Kisan). Culture Content. Retrieved February 1, 2009, from http://kisan.culturecontent.com 

  19. Lee, K. E. (2003). Wrapping cloths and the life of women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focusing on patchwork wrapping cloth.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 Lee, K. S. (1999). Korean wrapping clothes. Hongik Faculty Journal, 31, 3-18 

  21. McKillop, B. (1992). Korean art and design. London: Victoria & Albert Museum 

  22. National Museum of History. (2000). Costumes and accessories of Chinese minorities. Taibei: National Museum of History 

  23. National Museum of Korea. (1988). Hangukui Mi (Beauty of Korea). Seoul: National Museum of Korea 

  24. Noh, E. H. (2006). A measurement study on color distribution and combination of bojagi in Joseon perio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25. Sim, Y. O. (2002). 5000 years of Korean textiles. Seoul:Institute for Studies of Ancient Textiles 

  26.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1999). Korean cultural properties of the Guimet national museum of Asian art, France. Seoul: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27. Yi, N. H. (1986). Joseon Yeosokko (Joseon women's customs) (Minsokwon, Reprint). Seoul: Minsokwon. (Original work published 1927) 

  28. Yi, S. M. (2003). Women in Korean history and art. In J. M. White & D. H. Huh (Eds.), Wrapping of happiness (pp. 25-37). Hawaii: Honolulu Academy of Art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