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만여성의 의복치수체계 연구
A Study of Apparel Sizing System for Korean Obese Women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3 no.12, 2009년, pp.1979 - 1990  

이경화 (가톨릭대학교 의류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세 이상 비만여성을 위한 의류치수체계를 제안하기 위한 것으로, 2003~2004년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사업의 원시자료 중 선행연구에 의해 의류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비만판정지수 및 비만판정용 측정치 7개 항목(Rohrer지수, Vervaeck지수, BMI, 상대체중, 허리둘레, WHR, 젖가슴둘레) 중 5개 이상의 비만판정도구에서 비만으로 판정된 49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치수체계 제안에 앞서 2,212명의 성인여성 전체의 인체치수와 499명의 비만여성의 기초통계치수를 제시한 결과, 키 등의 높이항목 전체와 키와 상관관계가 높은 몇몇 길이항목을 제외한 대부분의 치수항목 즉, 둘레항 목, 두께 및 너비항목 등에서의 인체측정치가 크고, 비만판정지수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의류의 치수체계 제안을 위해 젖가슴둘레, 엉덩이둘레, 키가 기본신체부위로 선정되었으며, 하의류의 치수체계 제안을 위해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가 기본신체부위로 선정되었다. 치수체계 제안을 위한 교차분석표에서 젖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등 둘레항목은 3cm 간격과 5cm 간격을 비교하여 제시하였으나 키는 5cm 간격으로만 한정하였다. 두 치수간격 중 보다 높은 커버율과 커버효율을 보이는 치수간격을 선택하고, 사용자의 분포율도 전체 비만여성의 1% 이상, 2% 이상 및 3% 이상으로 나누어 각각의 분포율별로 커버율과 커버효율이 높은 치수구간을 선정하였다. 상의류와 하의류 치수체계 모두에서 3% 이상의 사용자 분포율을 보이는 5cm 치수간격이 가장 높은 커버효율을 나타냈으므로, 이 결과를 바탕으로 상의류를 위한 치수호칭으로 10개, 하의류를 위한 치수호칭으로 9개를 제안하였으며, 각 호칭별로 기본신체부위의 평균 인체측정치와 참고신체부위의 평균 인체측정치를 제공하여 호칭별 의류제품의 설계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ggests apparel sizing systems for obese women in their twenties to fifties. Size Korea body measurement data were used for sampling the obese subjects by obesity judgment indices. A total of 7 obesity judgment indices frequently used in the clothing field were inspected and the measur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If one's coverage efficiency were higher than others in size charts with same coverage rates, the side with higher coverage efficiency would satisfy custom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size charts with the highest coverage efficiencies. Coverage & coverage efficiency of outerwear covering the upper body was given in [Table 7].
  •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make suggestions for apparel size chart for obese women. Recently, it is remarkable to note the growing tendency of obesity in female adults in Kore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Ha, H. (2008). An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 of sizing system and fitting on formal pants of the on-line shopping mall for plus-siz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8(1), 133-150 

  2. Ha, H. (2009). An analysis of the fitting of plus-sized women's formal jackets in on-line shopping malls. The Research Journal of Costume Culture, 17(2), 203-215 

  3. Hubert, H. B., Feinleip, M., MeNamara, P. M., & Castelli, W. P. (1983). Obesity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 26-year follow-up of participants in the Framingham heart study. Circulation, 63, 968-977 

  4. Jeon, J., & Sung, S. (2004). Body fat correlation on phyiscal measurement of women in age group between 20S and 3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6(5), 641-647 

  5. Kim, H. (2007a). A study on body shapes using 3D measurements and torso pattern of obese women.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6. Kim, H. (2007b). Apparel sizing system for women with obese figure-Focusing on the formal dress for 20s and 30s women-.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7. Kim, J., & Lee, J. (2008). A study on the somatotype of women in their twenties by degree of obesity and classification of silhouett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19(3), 419-429 

  8.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 Standards. (2004a). KS K 0055 sizing systems for elderly women's garments. Seoul: KSA 

  9.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 Standards. (2004b). KS K 0051 sizing systems for female adult's garments. Seoul: KSA 

  10.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 Standards. (2004c). KS K 7003 garment construction and anthropometric surveys-body dimensions. Seoul: KSA 

  11.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 Standards. (2004d). The 5th Size Korea Survey final report. Seoul: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 Standards 

  12.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09). 2007 report of Korean health and nutrition survey. Seoul: NHIC 

  13. Seok, H., & Kim, I. (2003a). A study on the fit preference tendency for ready-to-wear by the age and obesity level of adult women. Journal of KHEA, 41(8), 63-77 

  14. Seok, H., & Kim, I. (2003b). A study on the fit preference tendency for ready-to-wear by the age and obesity level of adult women. Journal of KHEA, 41(9), 17-29 

  15. Sung, M., & Kim, H. (2001). Classification of the somatotype by obesity indexes and body cogni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3(3), 227-234 

  16. Yi, K. (2009). A comparative study on establishing obesity judgment criteria for body characteristics analysis in Korean obese women. 2009 Fall KSCT proceedings, 250 

  17. Yi, K., & Kim, H. (2008). A suggestion of sizing system for developing taekwondo protect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9), 1397-1406 

  18. Yoon, J. (2007). Apparel sizing system for obese men in the 20s-Focusing on casual wear-.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