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대 비만 남성을 위한 의복 사이즈 체계에 관한 연구
Apparel Sizing System for Obese Men in There 20s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19 no.3, 2011년, pp.449 - 459  

윤지원 (한양 대학교 의류학과) ,  서미아 (한양 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 the feature of the body shape of obese males and to propose a new apparel sizing system considering the body size of obese men through an the analysis of the body measurement of obese men in their twenties as reported in the 'Fifth Korean National Physical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키 구간 출현율 10% 이상이 나타난 165~180cm 범위 내에서 상의는 가슴둘레, 하위는 배꼽수준허리둘레의 출현율 10% 이상을 보인 구간을 진한 음영으로 표시하였다. 그리고 국내 캐주얼 브랜드 치수조사 자료를 참고하여 의복 구입시 잘 맞는 치수의 제품이 적어서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슴둘레 105cm 이상, 배꼽수준 허리둘레 90cm 이상의 분포를 보이는 대상자들도 옅은 음영으로 표시하여 의류 치수 체계 연구에 포함시켜, 비만 남성의 의류 치수 체계를 제안하고자 하는 연구목적에 부합하도록 모색하였다.
  • 분포가 분산되어 있거나 밀집되어 있는 경우는 커버율을 감안하여 치수의 개수를 늘려서 제안하였다. 그리고 출현율은 높지 않지만 둘레항목이 큰 분포 범위를 치수 제안 시 포함시켜 본 연구의 목적인 비만 남성의 치수 체계 제안의 적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측정자료 중 20대 비만 남성의 인체측정치 분석을 통해, 비만 남성 체형의 구체적인 인체치수를 반영한 새로운 치수 체계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측정자료 중 20대 비만 남성의 인체측정치 분석을 통해, 비만 남성 체형의 구체적인 인체치수를 반영한 새로운 치수 체계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를 통해 비만 남성의 의류 치수 체계에 대한 기초 자료가 미흡한 현 실정에서, 20대 비만 남성들의 인체측정치를 기초로 한 의류 치수 체계를 제안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5년 기준 20세 이상 한국인의 비만 인구는 얼마나 되는가? 기성복 생산 업체는 재고 부담과 생산성 어려움 등의 이유로 체형의 다양성을 수용하지 못하고 보통 체형 위주의 생산을 하고 있어 비만, 수척, 특이 체형 등의 소비자들은 기성복 시장에서는 소외되어 기성복 구입에 어려움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특히 한국인의 비만 인구는 2005년 보건복지부의 조사에 따르면 20세 이상의 비만 인구가 전체의 31.7%로 나타났으며, 이는 98년 조사와 비교하여 6% 증가한 수치이며, 특히 남자의 경우 여자에 비해 7%나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1) 이에 최근 몇 년 동안에 빅사이즈 전문몰이 생겨나 틈새시장 공략으로 많은 매출을 올리고 있으나, 체계적인 기성복 브랜드는 아직 없는 실정이며, 이미 기존에 형성되어 있는 기성복에서 단순히 치수 체계만을 확대하여 일률적으로 그레이딩 편차를 주어 생산되고 있는 현실로 비만 체형의 부위별 치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비만, 수척, 특이 체형 등의 소비자들이 기성복 구입에 어려움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기성복 생산 업체는 재고 부담과 생산성 어려움 등의 이유로 체형의 다양성을 수용하지 못하고 보통 체형 위주의 생산을 하고 있어 비만, 수척, 특이 체형 등의 소비자들은 기성복 시장에서는 소외되어 기성복 구입에 어려움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특히 한국인의 비만 인구는 2005년 보건복지부의 조사에 따르면 20세 이상의 비만 인구가 전체의 31.
비만집단을 위한 체계적인 치수 체계 설정은 어떠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가? 2) 19~54세 남성 중 19~27세 집단이 의복종류별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고, 체형별로는 점퍼의 경우 목둘레와 어깨넓이에서 마른 체형과 비만 체형이 다른 체형에 비해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 이와 같이 보통 체형에 비해 기성복 구입에 어려움이 많고, 사이즈 불만족이 많은 비만 체형을 위하여 체계적인 치수 체계 설정은 소비자의 맞음새 만족에 부응하고 업체의 매출 신장을 위하여 필수적이다. 지금까지의 치수 체계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정장류를 중심으로 연구되어 있고, 정장류에 비해 피트성이 중요하지 않았던 캐주얼 의류의 경우 세부 치수 적용이 잘 되고 있지 않을 뿐 아니라 사이즈 편차도 넓어 맞음새 부적합으로 인한 구입의 어려움이 많이 따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김우경 (2006). "성인여성의 비만기준설정을 위한 예측모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보건복지부 (2006년 6월 [2006년 11월 21일 검색]). "우리나라 비만인구 증가추세";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www.mohw.go.kr 

  3. 안성원 (2001). "성인 남성의 신체 만족도와 기성복 사이즈 만족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윤지원 (2007). "20대 비만 남성을 위한 의복 치수체계에 관한 연구 -캐주얼 의류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이선희, 서미아 (1997). "남성 기성복의 적합성에 대한 소비자 실태조사." 한국생활과학연구 15권.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