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SC를 활용한 Data Warehouse 기반의 건설 프로젝트 성과관리
Construction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Using BSC and Data Warehouse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0 no.2 = no.48, 2009년, pp.14 - 25  

박문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김남호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이현수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안창범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이규성 (울산대학교 건축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많은 기업들은 그들의 기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업의 성과를 관리한다. 그 중 BSC의 개념을 적용한 성과측정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고, 현재 건설 산업에서는 BSC 기반의 프로젝트 성과관리가 균형적인 성과 평가를 위해 도입되고 있다. 많은 건설 기업들은 BSC를 적용하는 단계에 있고 성과를 측정하는 데 많은 부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측정된 성과 결과에 대한 분석과 활용이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기업에서 성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성과관리 모델을 제시하고 시스템 구축을 최종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분석 및 활용을 고려한 성과관리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이에 따라 프로세스의 각 단계에 따른 방법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성과관리의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하고 시스템 구축을 가능하게 하는 모델을 수립하고 그 기대효과를 검토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건설 산업의 성과관리 시스템과 건설 애플리케이션의 가치를 높이는 기회를 제공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y companies have managed their business performance in order to achieve their enterprise purpose. Performance management which applied concept of BSC (Balanced Scorecard) is widely used all over the worl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BSC-based performance management is currently introduced wi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성과관리 프로세스를 기준으로 각 단계를 구성 하는 방법들을 개선하여 프로젝트 내에서 적용성이 높은 성과관리 모델을 제시하였고 시스템으로 구축하였다. 그리고 프로젝트 차원에서 성과관리의 기대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 이를 종합해보면, 현재의 성과관리 시스템은 측정된 성과에 대해 단편적인 분석을 거쳐 얻어진 결과들을 일회성으로 활용하는데 국한되어 있어 다방면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프로젝트 차원에서의 성과관리 모델을 제안하고 성과를 측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에게 적합한 분석 및 활용방법을 고려하여 성과관리의 기능성과 활용성을 강조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의된 프로세스에 따라 건설 프로젝트 성과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한다. 연구의 방법 및 절차는 그림 2와 같다.
  • 본 연구에서는 BSC를 활용하여 건설 프로젝트의 균형적인 성과를 측정하고 이를 분석 가능한 형태로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저장하여 프로젝트의 성과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또한 성과를 관리하는데 일어나는 모든 활동들(입력, 저장, 분석 및 활용)이 프로젝트 블로그 내에서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는 다양한 계층의 관리자들이 프로젝트 내에서 필요한 여러 조건들에 맞게 성과를 관리할 수 있도록 사용성과 적용성이 향상된 시스템의 도입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성과측정은 미리 설정된 성과의 목표 수준과 실제 수준을 비교하는 것으로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전략계획과 연결되어야 한다. 반면에 성과관리는 필수적으로 성과측정 정보를 사용하여 성과를 개선하고 달성해야 하는 것을 검토한다.(PBM SIG, 2001)
  •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스템은 프로젝트 내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통해 프로젝트의 성과를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하나의 프로젝트를 기준으로 성과 달성도를 관리하며 나아가 각 프로젝트 간의 성과를 비교하는데 활용한다.
  • 본 연구에서는 BSC를 활용하여 건설 프로젝트의 균형적인 성과를 측정하고 이를 분석 가능한 형태로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저장하여 프로젝트의 성과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또한 성과를 관리하는데 일어나는 모든 활동들(입력, 저장, 분석 및 활용)이 프로젝트 블로그 내에서 가능하도록 하였다.
  • 따라서 프로젝트 성과의 여러 영향요인을 고려하여 기존 시스템과는 다르게 다양한 분석을 고려한 데이터베이스의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활용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다차원 분석이 가능하도록 데이터 모델링을 통해 프로젝트의 성과와 관련 차원들과의 관계를 정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성과관리 프로세스를 기준으로 각 단계를 구성 하는 방법들을 개선하여 프로젝트 내에서 적용성이 높은 성과관리 모델을 제시하였고 시스템으로 구축하였다. 그리고 프로젝트 차원에서 성과관리의 기대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 성과관리에 있어 분석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전처리 방법으로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재무, 고객, 프로세스, 학습과 같은 주요 주제들을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며 프로젝트 구성원 모두가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데이터의 구체화 정도에 따른 설계를 하였다.
  • 웹 리포팅에서는 데이터 웨어하우스와 큐브를 통해 얻어진 데이터를 가지고 현장 내 관리자나 협력업체 사람들에게 활용이 가능한 자료를 제공하게 된다. 이들은 전반적인 성과관리 현황과 각 지표들의 달성도 화면, BSC를 기준으로 설정된 목표들 간의 인과관계 및 전략맵 화면, 시계열적인 분석을 통해 현재의 성과 흐름을 바탕으로 한 성과 예측 화면, 임시로 보고서를 생성하거나 OLAP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화면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기존의 시스템에 가진 한계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erformance-Based Management Special Interest Group(2001)에서 PDCA(Plan-Do-Check-Act) 사이클에 따라성과관리의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성과를 개선하는 시스템적인 접근이란? 첫 단계는 조직의 목표를 정의하고 전략적인 성과 목적을 수립한다. 다음은 전략 계획 단계의 산출물에 기반을 두어 성과를 측정한다. 세 번째 단계는 일을 진행하고 그에 따른 성과 데이터를 수집, 분석, 검토한 후 그 데이터를 보고한다. 마지막 단계는 관리에 있어 성과를 개선하기 위해 보고된 데이터를 활용한다. 이러한 사항들이 결정되면 사이클은 처음부터 다시 진행된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기존 성과관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분석과 활용에 대한 부분을 강화한 재구성된 프로세스를 제시하였고 측정, 저장, 분석, 보고, 활용 (Measure, Store, Analysis, Report, Use)의 5단계로 구성하였다.
건설 산업에서 프로젝트 차원의 성과관리의 현실은? 건설 산업에서 프로젝트 차원의 성과관리는 여러 연구를 바탕으로 각각의 측정방법에 의해 측정이 이루어지고 기본적인 수준의 분석을 통해 결과를 보여주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프로젝트 내에서 측정된 성과를 분석하고 활용하는 것은 프로젝트의 성과 개선 및 목표 설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데 현재는 그 활용도가 낮다.
현재의 성과관리 시스템의 한계는? 이를 종합해보면, 현재의 성과관리 시스템은 측정된 성과에 대해 단편적인 분석을 거쳐 얻어진 결과들을 일회성으로 활용하는데 국한되어 있어 다방면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프로젝트 차원에서의 성과관리 모델을 제안하고 성과를 측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에게 적합한 분석 및 활용방법을 고려하여 성과관리의 기능성과 활용성을 강조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의된 프로세스에 따라 건설 프로젝트 성과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n, C. (2007) Project-based knowledge management system using blog, ISARC 2007, Vol.24, 313-318 

  2. A. Neely and C. Adams. (2001) The performance prism perspective, Journal of Cost Management Vol.15, No.1, 7-15 

  3. Armstrong. M, and Baron. A. (2004) Managing performance: performance management in action, London: Chartered Institute of Personnel and Development 

  4. Bititci, U. S., Carrie, A. S., and McDevitt, L. (1997) Integrated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A development guide, International Journal of Operations and Production Management Vol.17, No.5, 522-534 

  5. D. Amaratunga, D. Baldry. (2002) Moving from performance measurement to performance management, Facilities Vol.20, No.5-6, 217-223 

  6. Evalgelidisz. K. (1992) Performance measured performance gained, The Treasurer, No.February, 45-47 

  7. H. A. Bassioni, A. D. F. Price, and T. M. Hassan. (2004) Performance measurement in construction, Journal of Management in Engineering, ASCE, Vol.20, No.2, 42-50 

  8. Kagioglou, M., Cooper, R., and Aouad, G. (2001) Performance management in construction: a conceptual framework, Construction Manage-ment & Economics, Vol. 19, No.1, 85-95 

  9. Kaplan, R. S., and Norton, D.P. (1992) The balanced scorecard - 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Review, Vol.70, No.1, 71-79 

  10. Kimball, R. et al. (1996) The data warehouse toolkit, John Wiley & Sons 

  11. M. Lebas. (1995) Performance measurement and performance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Vol.41, 23-25 

  12. N.G.Olve, J.Roy, and M. Wetter. (1999) Performance drivers, John Wiley & Sons 

  13. Performance-Based Management Special Interest Group(PBM SIG). (2001) The performance-based management handbook 

  14. Procurement Executives' Association. (1999) Guide to a balanced scorecard performance management 

  15. P. Smith, and M. Goddard. (2002) Performance management and operational research: a marriage made in heaven?, Journal of the Operational Research Society, Vol.53, No.3, 247-255 

  16. T. Mills. (2007) Wiki-based Construction Knowledge Sharing, The ASC Annual Conference 

  17. U.K. DTI: 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 (2005) Construction products industry key performance indicators handbook 

  18. U.K. DETR: Department of environment, transport and the regions. (2000) KPI report for the minister for construction 

  19. U.S. NIST. (2001) Impacts of Design/Information Technology on Building and Industrial Projects 

  20. W. H. Inmon (1996) Building the data warehouse, John Wiley & Sons 

  21. Yu, I. (2004) A Framework of the Comparable Performance Measuremen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5, No.5, 172-182 

  22. Yu, J. (2005) Development of Performance Analysis System for Construction Projects Using Data Warehousing Technology,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6, No.1, 89-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