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어린이도서관의 한국십진분류법 적용 현황 및 이용자 요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KDC) and Users' Needs in Libraries for Children in Korea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3 no.1, 2009년, pp.5 - 26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최윤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KDC 4판을 중심으로 국내 어린이도서관의 어린이 자료 분류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 국내 51개 어린이도서관의 KDC 적용 현황 조사와 부모 및 어린이 이용자의 요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현황과 이용자 요구 분석 결과를 토대로 KDC 개선 방안을 분류체계 부문과 배가 부문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우선, 분류체계 부문에서는 특정 기호에 집중되는 주제를 분산시키고, 어린이 자료의 다양한 유형과 특성, 다양한 어린이 문학 장르를 KDC 상에 반영해야 한다. 또한 학제적 주제에 대하여 상세한 주기 및 분류지침을 제공해야 한다. 배가 부문에서는 첫째, 이용자 친화적인 청구기호 구성과 배열 방법을 도입하고, 둘째, 이용자의 다양한 관심 분야를 반영한 컬렉션 구성과 어린이와 부모를 대상으로 이용교육을 실시하도록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lassification focused on KDC 4th edition for children's materials. For the study, literature study, KDC application and user survey in 51 libraries for children were performed. Based on the results, classification for children's materials is proposed to 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KDC 4판을 중심으로 국내 어린이도서관의 어린이 자료 분류의 개선 방안을 어떻게 제안하였는가? 국내 현황과 이용자 요구 분석 결과를 토대로 KDC 개선 방안을 분류체계 부문과 배가 부문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우선, 분류체계 부문에서는 특정 기호에 집중되는 주제를 분산시키고, 어린이 자료의 다양한 유형과 특성, 다양한 어린이 문학 장르를 KDC 상에 반영해야 한다. 또한 학제적 주제에 대하여 상세한 주기 및 분류지침을 제공해야 한다. 배가 부문에서는 첫째, 이용자 친화적인 청구기호 구성과 배열 방법을 도입하고, 둘째, 이용자의 다양한 관심 분야를 반영한 컬렉션 구성과 어린이와 부모를 대상으로 이용교육을 실시하도록 제언하였다.
도서관에서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자료를 이용할 때, 분류체계가 이용자의 자료 이용에 가장 중요한 접근점을 제공하게 되는 이유는? 이 때 분류체계는 이용자의 자료 이용에 가장 중요한 접근점을 제공하게 된다. 왜냐하면 분류체계가 자료를 모아주고 구분하는 논리적인 기준인 동시에, 서가의 위치와 배열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물리적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린이도서관에서 사용하는 분류체계는 개별 자료의 특성, 어린이 자료의 특성, 어린이도서관의 주된 이용자인 어린이나 부모의 요구를 적절히 반영해야할 것이다.
도서관의 가장 기본적인 서비스는 무엇인가? 어린이 자료의 출판량이 증가하고 독서 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어린이들의 풍부한 독서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어린이도서관이 매년 건립되고 있고, 공공도서관에서도 어린이를 위한 장서와 시설, 서비스 등을 확충시키고 있다. 그러나 도서관의 가장 기본적인 서비스는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자료를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 분류체계는 이용자의 자료 이용에 가장 중요한 접근점을 제공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堀川照代. 2007. 兒童サ?ビス論. 고향옥 옮김. 파주: 알마. 

  2. 김정현, 문지현. 2007. 국내 어린이도서관의 분류표 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2): 315-335. 

  3. 김천숙. 2005. 공공도서관의 그림책 분류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문헌정보학전공. 

  4. 김효정 외. 1997. 독서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5. 문지현. 2008. 어린이도서 분류법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전공. 

  6. 민경록, 성승경. 2005. 어린이 자료 분류를 위한 KDC의 수정 및 보완: 문학류(800)를 중심으로. 전국도서관대회 주제발표논문집, 43: 62-89. 

  7. 박경숙. 2005. 어린이도서관 분류표 현황과 과제. 어린이와 도서관, 1: 124-141. 

  8. 장지숙. 2006. 뉴베리수상작 주제 분석을 통한 어린이 독서자료 선정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1): 63-79. 

  9. 한국도서관협회. 2008. 2007 한국도서관연감. 

  10. 한국도서관협회 한국십진분류법해설편찬위원회. 1997. 개정 제4판 한국십진분류법 해설.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1. 한국도서관협회 분류위원회. 2008. 한국십진분류법(KDC) 제 5판 발간에 관한 공청회. 제45회 전국도서관대회, 2008년 10월 8일-10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12. Boyce, J. I., and Boyce, J. I. 2002. "A Reexamination of Shelf Organization for Children's Books [At West Baton Rouge Parish Library]." Public Libraries, 41 (5): 280-283. 

  13. Dumas, E. P. 2005. "Give em What They Want! Reorganizing Your Fiction Collection by Genre." Library Media Connection, 24(2): 20-22. 

  14. Fountain, J. F. 2006. Guidelines for standardized cataloging for children In Cataloging Correctly for kids, 4th edition,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ALA). 

  15. Intner, Sheila S., et. al. 2006. Cataloging correctly for kids: an introduction to the tools. IL : American Library Association(ALA). 

  16. Smith, R. V. 1999.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of folklore for children: searching for effective, user-friendly arrangements [at the Minuteman Library Network]." Technicalities, 19(8): 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