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도서 분류를 위한 KDC 6판 개선 및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Application of KDC 6th ed. for Classifying the Children's Books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50 no.1, 2019년, pp.105 - 124  

오영옥 (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  이미화 (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도서 분류를 위한 KDC 6판의 개선 및 적용 방안을 마련하고자 문헌연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어린이도서의 KDC 간략화 및 세분전개 방안으로 서울시교육청 20개 도서관 및 대표적인 C 도서관이 소장한 어린이도서 주제별 통계 분포를 바탕으로 중분류, 소분류로 간략화 할 분야를 제시하고, 세분화 전개가 필요한 항목은 도서관별 분류지침을 적용하여 확장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지식그림책과 동화는 내용과 주제에 따라 각 해당항목에 분류하고, 각 나라의 동화는 세목 추가 및 장르 구분을 추가하여 특정 기호에 편중된 자료를 분산시킬 것을 제시하였다. 셋째, 이용자를 위해 연령별, 독서수준별에 따른 배가 방안과 이를 위한 가이드라인의 배포, 분류와 관련한 이용자 교육 실시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KDC 6판 개정 시 어린이도서의 간략판 개발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improvement and the application of KDC 6 for classifying children's books by the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First, it was suggested to shorten the classification numbers by the divisions and subdivisions and to expand the classification numbers by sub-subdivisions ac...

주제어

참고문헌 (24)

  1.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Homepage. [cited 2019. 1. 15]. 

  2. Kwon, Dal-young. 2008. Study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Classifications of Children's Libraries. M. A. thesis, Chung-Ang University. 

  3. Kim, Jeong-Hyen and Yeon-Rye Kim. 2003. "A Study on the Revision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for School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7(3): 35-56. 

  4. Kim, Jeong-Hyen. 2004.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KDC for School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5(4): 171-191. 

  5. Kim, Jeong-Hyen. 200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bridged KDC for Elementary School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7(2): 5-23. 

  6. Kim, Jeong-Hyen and Ji-Hyun Moon. 2007.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chemes of Children's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2): 315-335. 

  7. Kim, Jeong-Hyen and Ji-Hyun Moon.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Abridged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3): 379-397. 

  8.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18. 2017 Korean Library Yearbook.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9. Mun, Ji-hyun.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Library Classifications, Ph. D, diss., Chonnam Nationial University. 

  10. Consolidated Library . Lifelong Learning Center Homepage. [cited 2019. 1. 18]. 

  11. Lee, Yoon Sun. 200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bridged Edition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for School Libraries. M. A.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2. Im, Gi-Su. 2012.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Picture Books in Children's Libraries. M. A.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13. Chung, Yeon-Kyoung. 2008. "Child Services Improvement Research Hearing." 45th KLA general Conference. October 8-10, 2008. [Gwangju:Kimdaejung Convention Center]. 

  14. Chung, Yeon-Kyoung and Mi-Hwa Lee. 2009. "A Study of Simplifying Call Numbers with Collection Codes at Children's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1): 23-38. 

  15. Chung, Yeon-Kyoung and Yoon-Kyung Choi. 2009.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KDC) and Users' Needs in Libraries for Children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1): 5-26. 

  16. Choi, In-sung. 2010. Problems of classification systems at school libraries and ways to improve. M. A. thesis, Keimyung University. 

  17. Korean Library Association. Classification Committee. 2013.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ed Index. 6th ed.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8. Korean Publishers Association. 2018. 2018 Korean Publishing Year Book. Seoul: Korean Publishers Association. 

  19. KOLASIII Public library standard data management system. [cited 2019. 1. 25]. 

  20. Boyce, J. I. and Bert R. Boyce. 2002. "A Reexamination of Shelf Organization for Children's Books." Public Libraries, 41(5): 280-283. 

  21. Houston, Cynthia R. 2008. "The Use of Reading Levels as Alternative Classification in School Librarie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5(4): 65-80. 

  22. IFLA Libraries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Section. Guidelines for Children's Libraries Services. [cited 2019. 1. 20]. 

  23. Satija, M. P. 2012. "Brief Communication: Abridged Dewey-15(2012) in Historical Perspectives." Knowledge Organization, 39(6): 466-468. 

  24. Sullivan, M. 2005. Fundamentals of Children's Services. Chicago: AL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