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2주간 걷기운동이 중년여성의 신체조성과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12 Weeks of Walking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in Middle Aged Women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3 no.1, 2009년, pp.61 - 68  

서동일 (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  김성기 (용인시 처인구보건소) ,  장혁기 (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walking exercis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in middle aged women. Method: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an obese walking exercise training group (n=21), a non-obese walking exercise training group (n=9), 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걷기 동호회에서 실시하고 있는 걷기운동프로그램이 신체조성과 건강 체력요소들의 개선에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제시하고 문제점들을 보완하도록 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규칙적인 단기간 주2회의 걷기 운동프로그램 참여가 중년여성의 비만여부에 따라서 신체조성과 체력요소에 어떠한 효과와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 해보았다. 특히, 운동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선행연구에서의 걷기프로그램들과 달리 본 연구에서 이용된 운동프로그램은 기존의 지역단위 걷기 동호회에서 실시하고 있는 운동방법으로 실시하여 12주 후 운동의 효과를 분석하여 그 효과와 보완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단기간의 걷기운동참여가 비만 여부에 따른 중년여성의 신체조성과 체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비만군과 정상군, 그리고 통제 군으로 나누어서 비만군과 정상군은 12주 동앤에 걷기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통제군은 일상적인 신체활동을 제외하고 특별한 운동을 실시하지 않도록 유도 하였다. 12주간의 걷기운동 전 .
  • 본 연구에서는 지역동호회에서 실시하고 있는 주 2회 걷기 운동프로그램의 비만유무에 따른 효과를 비교해보기 위해서 Y시에 거주하고 있는 중년여성 40명을 모집하여 비만운동그룹 21명, 정상운동그룹 9명, 통제그룹 10명으로 나누어 12주 동안의 걷기 운동프로그램참여 후 비만지표들과 건강체력 지표들을 분석 하여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지역단위 걷기 '동호회에서 실시하고 있는 건강증진을 위한 걷기운동프로그램이 신체조성과 체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특히, 운동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선행연구에서의 걷기프로그램들과 달리 본 연구에서 이용된 운동프로그램은 기존의 지역단위 걷기 동호회에서 실시하고 있는 운동방법으로 실시하여 12주 후 운동의 효과를 분석하여 그 효과와 보완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06). ACSM'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7th ed.). 216-219. 

  2. Choi, I. H., & Lee, M. I. (2008). The effects of a 12-week walking exercise program on the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in obese college women. J Korean Comm Health Nurs Acad Soc, 22(1), 74-83. 

  3. Chung, K. S., & Seo, D. I. (2007). Effect of walking exercise on bone mineral density and metabolic syndrome factors in obese middle age women. J Korea Sport Res, 18(4), 677-686. 

  4. Gappmaier, E., Lake, W., Nelson, A. G., & Fisher, A. G. (2006). Aerobic exercise in water versus walking on land: effects on indices of fat reduction and weight loss of obese women. J Sports Med Phys Fitness, 46(4), 564-9. 

  5. Kang, H. S., Lee, J. Y., Hong, H. R., Kang, K. H., & Jin, Y. S. (2006). Effect of weekly exercise volume on obesity and its metabolic syndrome in centrally obese mid-life women. Exer Sci, 15(4), 301-308. 

  6. Kim, B. Y. (2008). The effects of walking exercise during 12 weeks on the cardiorespiratory function and physical fitness in elderly women. J Sport Leis Stud, 33, 851-862. 

  7. Kim, H. S. (2003). Effects of unsupervised walking exercise program on serum lipid profiles in mildly obese women. Exerc Sci, 12(3), 483-494. 

  8. Kim, Y., Jung, H. S., Choi, S. J., & Lee, C. H. (2003). Affecting factors on self-efficacy of walking exercise in Working Men.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20(3), 255-267. 

  9. Kim, Y. H., & Yang, Y. O. (2005). Effects of walking exercise o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body composition in obese middle school girls. J Korean Acad Nurs, 35(5), 858-867. 

  10. Kumanyika, S., Jeffery, R. W., Morabia, A., Ritenbaugh, C., & Antipatis, V. J. (2002). Obesity prevention: the case for action. Public Health Approaches to the Prevention of Obesity (PHAPO) Working Group of the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IOTF).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6, 423- 436. 

  11. Lee, M. R., & Kim, W. S. (2006). The effects of brisk walking versus brisk walking plus diet on triglycerides and apolipoprotein B levels in middle-aged overweight/obese women with high triglyceride levels. J Korean Acad Nurs, 36(8), 1352-1358. 

  12. Lim, J. H., & Lee, J. O.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Change and Muscle Strength and Endurance Depending on Aging at the Senescence. J Korea Gerontol Soc, 21(2), 15-24. 

  13. Nam, S. M., Ha, E. H., Suh, Y. J., Park, H., Chang, M. H., Seo, J. H., & Kim, B. M. (2008). Effect of Obesity and Blood Lipid Profiles on Hyperlipidemia in Adults Aged Over 40 Years. J Korean Soc Study Obes, 17(1), 20-28. 

  14. Park, T. G. (2005). Effects of 12 weeks walking exercise on metabolic syndrome markers in obese middle school girls. Korean J Phys Educ, 44(6), 507-516. 

  15. Roussel, M., Garnier, S., Lemoine, S., Gaubert, I., Charbonnier, L., Auneau, G., & Maurieege, P. (2009). Influence of a walking program on the metabolic risk profile of obese postmenopausal women. Menopause, Feb 2. 

  16. Sarsan, A., Ardicc, F., Ozgen, M., Topuz, O., & Sermez, Y. (2006). The effects of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s in obese women. Clin Rehabil, 20(9), 773-82. 

  17. Seo, D. I.(2007).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training on metabolic syndrome factors, immunoglobulin and physical fitness in middle aged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J Korea Sport Res, 18(6), 81-88. 

  18. So, W. Y., & Choi, D. H. (2007). Effects of walking and resistnace training on the body composition, cardiorespiratory function, physical firness and blood profiles of middle-aged obese women. Exerc Sci, 16(2), 85-94. 

  19. Vaitkevicius, P. V., Ebersold, C., Shah, M. S., Gill, N. S., Katz, R. L., Narrett, M. J., Applebaum, G. E., Parrish, S. M., O'Connor, F. C., & Fleg, J. L. (2002). Effects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in communitybased subjects aged 80 and older: a pilot study. J Am Geriatr Soc, 50(12), 2089-91. 

  20. Wennberg, P., Lindahi, B., Hallmans, G., Messner, T., Weinihall, L., Johansson, L., Bomam, K., & Jansson, J. H. (2006). The effects of commuting activity and occupational and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on the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Eur J Cardiovasc Prev Rehabil, 27(3), 924-930. 

  21. Wild, S., Roglic, G., Green, A., Sicree, R., & King, H. (2004). Global prevalence of diabetes: Estimates for the year 2000 and projections for 2030. Diabetes Care, 27, 1047-10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