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우울, 걷기,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연구 -걷기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Walking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Focusing on the Moderation Effects of Walking-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8, 2016년, pp.515 - 525  

송희승 (단국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걷기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탐색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제6기 2차년도(2014)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65세 이상 노인 1,263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독립변수조절변수에 따른 살의 질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t-test,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 성별(t=8.26, p<.001), 나이(t=5.19, p<.001), 만성질환 수(F=37.88, p<.001), 우울(t=9.62, p<.001), 걷기(t=47.36, p<.001)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가 나타났다. 걷기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 걷기는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걷기 수준이 높아질수록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울한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걷기의 증진이 필요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걷기의 조절효과를 밝힘으로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구성의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how walking moderates the influence of depression on quality of life in elderly. Data of the study were analysed using the six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2014). The subjects were elderly aged 65 years or more and the number of the sam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Vagetti 등[23]은 노인의 신체활동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밝히기를 걷기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는 삶의 질의 일부 영역에서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하며 종적 연구와 중재 연구들이 필요함을 제언하였으며 국내에서는 일반노인을 대상으로 걷기와 삶의 질과의 관계를 알아본 연구가 드물어 연관성을 검증하기에 부족하고[24] 또한 우울과 삶의 질 간의 관계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들은 주로 우울과 삶의 질 간의 차이 비교[4], 우울과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25], 삶의 질의 영향요인으로서 우울[1, 13]을 보고 있으며 걷기를 조절변수로 하여 우울과 삶의 질 간의 관계를 파악한 연구가 아직 없는 상태이다. 변수들 간의 구조적 맥락을 깊게 고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효과를 탐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며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걷기의 조절하는 영향력을 확인함으로써 우울 감소를 위한 중재 개발 및 적용을 하는데 있어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삶의 질을 높이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걷기가 우울의 부정적인 영향을 조절하는지 여부를 탐색하기 위하여 제6기 2차년도(2014)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바탕으로 2차 분석을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제6기 2차년도(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걷기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총 1,586명의 노인 중 응답이 불충분한 대상자를 제외하고 연구에 포함된 노인의 수는 1,263명이었다.
  • 본 연구는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의 우울, 걷기, 삶의 질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걷기의 조절 효과 중심으로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2014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2차 분석하여 노인의 우울, 걷기, 삶의 질의 관계를 걷기의 조절 효과 중심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셋째, 노인의 우울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걷기의 조절 효과를 알아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0년 노인 인구는 전체 인구의 몇 %인가? 우리나라는 빠른 경제성장과 관련한 생활수준 향상, 의료기술의 발전 등으로 급속한 인구 고령화 현상을 보이며 가속화 상황에 놓여 있다[1]. 통계청에서는 우리나라 노인 인구를 2010년 기준 전체 인구의 약 11.3%로 보고하고[2] WHO에서는 2050년에 약 22%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3] 어떻게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지가 현안으로 떠올랐다.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노인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부정적 요인들을 예방 및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일반적인 노인의 특징 역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된다.
노인들의 특징은 무엇인가? 노인들의 특징으로 노화, 각종 건강문제, 은퇴와 함께 가정 및 사회에서의 역할의 변화[4], 경제적 어려움 등이 나타나는데[5] 노인에게 가장 심각한 것은 건강문제라고 하였다[5, 6]. 의료기술의 발전 등으로 인하여 노인의 평균수명이 증가하였으므로 질환치료도 중요하지만 남은 긴 여생을 건강하게 살고자 하는데 더 중점을 두며 삶의 질을 중요시 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건강설문조사 중 건강면접조사와 건강행태조사 항목은 어떤 형식으로 진행하는가? 가구조사는 가구 내에 속한 성인 1명에게 가구원수, 가구소득, 세대유형, 국적 등을 면접 형식으로 조사한다. 건강면접조사와 건강행태조사 항목은 대상자의 연령에 따라 차별화 되어 있고 건강면접조사는 신체활동, 교육과 경제활동, 활동제한, 이환, 의료이용 등을, 건강행태조사는 자기가 직접 기입하는 방법으로 조사하는 것으로 내용은 흡연, 정신건강, 음주, 구강건강, 안전의식 등이 포함된다. 건강설문조사는 이동검진센터 내에서 이루어졌고 본 연구에서는 건강설문조사 내용 중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걷기의 조절효과를 보는데 통제할 변수로서 성별, 나이, 만성질환 수를 알아보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H. Y. So, H. Kim, & K. Ju, “Prediction model of quality of life in elderly based on ICF model,” J Korean Acad Nurs, Vol. 41, No. 4, pp. 481-490, 2011. 

  2.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 p?vwcdMT_ZTITLE&parentIdA#SubCont 

  3.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Health and Ageing.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 

  4. K. B. Kim, Y. J. Lee, S. H. Sok, “A comparative study on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between the elderly living with family and the elderly living alon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0, No. 5, pp. 765-777, 2008. 

  5. D. H. Lee & S. O. Bin, “Structure relationships for diseased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1, No. 1, pp. 216-224, 2011. 

  6. C. M. Chang, "A study on relations between physical function, psychological status, falls,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people living at home," Korean Journal of Care Management, Vol. 3, pp. 71-89, 2009. 

  7. http://kosis.kr/wnsearch/totalSearch.jsp 

  8.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IV-,"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08. 

  9. National Academy on an Aging Society,"Depression : A treatable disease," National Academy on an Aging Society, No. 9, 2000. 

  10. B. H. Kim, Y .S. Kim & H. W. Jeon, “A study of the subjectivity of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ome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19, No. 5, pp. 775-786, 2007. 

  11. J. S. Park & Y. J. Oh, “A study health problem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the rural elderly,” Journal of Korea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14, No. 2, pp. 274-286, 2010. 

  12. N. Segulin & A. Deponte, “The evaluation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A modificat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 44, No. 2, pp. 105-112., 2007. 

  13. K. B. Kim & S. H. Sok, “Factor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0, No. 2, pp. 146-155, 2008. 

  14. J. W. Rowe & R. L. Kahn, “Human aging: Usual and Successful,” Science, Vol. 237, No. 4811, pp. 143-149, 1987. 

  15. J. T. Cha & Y. S. Jee, “The effects of regular exercise on cardiovascular function and depression in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43, No. 5, pp. 331-340, 2004. 

  16. ACSM,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6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0. 

  17. A. S. Nalin & A. F. Maria, “Exercise and depresssion in the older adult,” Nutr Clin Care, Vol. 3, No. 4, pp. 197-208, 2000. 

  18. E. S. Yi, "The life stress, depression and buffering effect of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 36, pp. 539-552, 2009. 

  19. R Peter, "Ageing and the brain," Postgrad. Med. J, Vol. 82, Vo. 964, pp. 84-88, 2007. 

  20. S. B. He, W. G. Tang, W. J. Tang, X. L. Kao, C. G. Zhang & X. T. Wong, "Exercise intervention may prevent depression," International Journal Sports Medicine, No. 13, pp. 234-245, 2012. 

  21. F. D. Legrand & C. M. Mille, "The effects of 60 minutes of supervised weekly walking (in a single vs. 3-5 session format)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women: findings from a pilot randomized trial," Mental Health Physical Activity, Vol. 2, Iss. 2, pp. 71-75, 2009. 

  22. M. Emile, A. Chalabaev, C. Pradier, C. Cleemen-Guillotin, C. Falzon, S. S. Colson & F. d'Arripe-Longueville, "Effects of supervised and individualized weekly walking on exercise stereotypes and quality of life in older sedentary females," Science & Sports, Vol. 29, Iss. 3, pp. 156-163, 2014. 

  23. G. C. Vagetti, V. C. Barbosa Filho, N. B. Moreira, V. Oliveira, O. Mazzardo & W. Campos1,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a systematic review, 2000-2012," Revista Brasileira de Psiquiatria, No. 36, pp. 76-88, 2014. 

  24. S. Y. Bae, D. S. Ko, J. S. Noh, B. H. Lee, H. S. Park & J. Park, “Rela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0, No. 10, pp. 255-566, 2010. 

  25. K. E. Park, M. H. Kwon & Y. E. Kwon, “Correlation among depression, death anxiety, and quality of life of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 27, No. 3, pp. 527-538, 2013. 

  26. M. H. Kim, Y. S. Cho, W. S. Uhm, S. H. Kim, & S. C. Bae,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Q-5D in patients with rheumatic diseases,” Qual Life Res, Vol. 14, No. 5, pp. 1401-1406, 2005. 

  27. E. G. Lee, J. H. Park, J. R. Park, J. Y. Park, “A study on OHIP-14 and EQ-5D of residents in some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 2, No. 2, pp. 197-211, 2011. 

  28. S. H. Lee, “Gender difference in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in community,”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12, pp. 523-535, 2013. 

  29. http://kosis.kr/wnsearch/totalSearch.jsp 

  30. S. G. Kwak, S. H. Park & E. K. Kim, “A study on the gendered perceptions and lived experiences of aged women, age, and number of pain type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Women's Studies, Vol. 24, No. 4, pp. 41-174, 2008. 

  31. H. J. Moon & I.. S. Lee, “Gender based comparison of physical activity levels of older Korean adults with chronic diseas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13, No. 2, pp. 120-130, 2011. 

  32. H. J. Lee & S. K. Kahng,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ing and depressive symptoms: Group comparison by gender,”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 42, No. 2, pp. 179-203, 2011. 

  33. C. S. Kim & S. E. Kim, “Perception of old age among aged men an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2, No. 1, pp. 103-114, 2012. 

  34. Y. H. Chung & Y. H. Cho, “Gender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after controlling for related factors among Korean young-old and old-old elderly,”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Vol. 39, No. 3, pp. 176-186, 2014. 

  35. L. J. Kang, “The effects of related factors on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 26, No. 5, pp. 129-142, 2008. 

  36. K. S. Park, D. W. Hahn & J. I. Lee, “Psychological determinants of physical health and subjective well-being of old people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9, No. 2, pp. 441-470, 2004. 

  37. World Health Organization, "Active ageing a policy framework," Noncommunicable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department, pp. 1-60, 2002. 

  38. Y. J. Lee, “A study on the effects of pain, Sleep pattern, life satisfaction on depression in elderly women with osteoarthriti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1, No. 2, pp. 211-222, 2011. 

  39. H. R. Kim, K. S. Oh, K. O. Oh, S. O. Lee, S. J. Lee, J. A. Kim, H. Y. Jun & J. H. Kang, “Quality of Life in Low Income Korean Aged,” J Korean Acad Nurs, Vol. 38, No. 5, pp. 694-703, 2008. 

  40. H. K. Lee, M. S. Sohn & M. K. Choi, “Factors affecting the mental health of the aged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2, No. 12, pp. 672-682, 2012. 

  41. M. J. Kwon,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cognition, depression and aggress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Iss. 6, pp. 171-176, 2015. 

  42. S. O. Yang, H. R. Cho & S. H. Lee, “A comparative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senior center by region: Focus on urban and rural area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1, pp. 501-510, 2014. 

  43. S. H. Lee, “Gender difference in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in community,”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12, pp. 523-535, 2013. 

  44. E. H. Kim & Y. C. Kwon,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of elders in urban region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7, pp. 225-235, 2013. 

  45. K. M. Kim & H. Y. Kim, "The systemic contemplation of sadness mediation program applied to internal senior citize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2, pp. 391-400, 2015. 

  46. J. S. Lee & S. Y. Lee, "Effects of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n anxiety in elderly people-Convergent approach,"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8, pp. 401-408, 2015. 

  47. E. Y. Ahn, “Geriatric depression and exercise,”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Vol. 8, No. 2, pp. 13-21, 2006. 

  48. J. T. Cha, Y. S. Jee, “The effects of regular exercise on cardiovascular function and depression in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43, No. 5, pp. 331-340, 2004. 

  49. J. E. Gaugler, A. Davey, L. L. Pearlin & S. H. Zant, “Modeling caregiver adaptation over time: the longitudinal impact of behavior problems,” Psychology and aging, Vol. 15, No. 3, pp. 437-487, 2000. 

  50. H. J. Choi & S. G. Back, "A study on depressive disposition by convergence approach of leisure history and family situation in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Iss. 5, pp. 295-302, 2015. 

  51. S. M. Kwon, “Effects of low-density exercise in the frail elderly,”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11, pp. 643-650, 2013. 

  52. K. O. Chang, D. Y. Bae, S. G. Park, “Effect of perceived health status, sleep and depression on quality of life of elderly school participants,” J Muscle Joint Health, Vol. 19, No. 3, pp. 329-339, 2012. 

  53. S. Zara & P. A. Briss, "The guide to community preventive services: What works to promote health?," New York: Oxford University, 2005. 

  54. B. D. Struck & K. M. Ross, “Health promotion in older adults: Prescribing exercise for the frail and home bound,” Geriatrics, Vol. 61, No. 5, pp. 22-27, 2006. 

  55. H. H. Paek, J. J. Kim,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ies of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21, No. 3, pp. 75-85,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