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GAMIT과 LGO를 사용한 방송궤도력과 정밀궤도력에 의한 GPS 자료 처리결과의 비교.분석
Analysis of GPS Data between Precise Ephemeris and Broadcast Ephemeris Using GAMIT and LGO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27 no.6, 2009년, pp.761 - 768  

주현승 ((주)동서GNI, 공간연구소) ,  한춘득 (관동대학교 토목공학과) ,  유연 ,  최승필 (관동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GPS 상시관측소 자료의 이용이 각종 정보산업분야에서 날로 급증하고 있다. GPS 위치 관측값 취득에 있어서도 사용 소프트웨어별, 정밀궤도력 이용 및 시간대별에 따른 성과의 신뢰성 및 허용오차 기준 마련이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로 논의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GPS 상시 관측소 자료를 이용하여 관측 시간대별, 사용 소프트웨어별, 위성궤도정보별로 분석하여 사용목적에 따른 정확도 허용한계 기준을 설정하고자 수행되었다. 장기선 GPS 관측망에서 연속관측시간대가 6시간까지는 정확도에 큰 변화의 차이가 없었으나 관측 시간대가 줄어듦에 따라 서서히 정확도가 저하되다가 3시간 연속 관측시간대부터는 정확도가 급격히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관측조건은 같으나 학술용과 상용 소프트웨어를 적용하였을 경우 학술용에서는 1cm 이내의 오차가 발견되었으나 상용 프로그램의 경우 3cm에서 최대 10cm 까지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위성궤도정보별 분석에서의 위치 관측값은 정밀궤도력과 방송궤도력에서 비슷한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결과가 위치 관측값의 요구정확도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준설정의 마련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PS data acquired at CORS are widely and rapidly used in many application such as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ies. In acquisition of GPS data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s of reliability and tolerance error range is necessary. This standards is regarded to contain the requirements of selection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GPS를 활용한 장기선 측량에서 위치정확도 확보를 위한 방법도출을 목표로 수행되었으며 전국에 분포 되어있는 43개소의 위성기준점 GPS 상시관측 자료를 4일 96시간 동안 취득하여 GPS 연속관측 시간을 24시간, 전반 12시간(0~12), 후반12시간(12~24), 6시간, 3시간의 6가지 유형으로 모형 자료를 구성하여 각각의 조건에 따른 정확도의 분석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MIT공대와 Scrips해양연구소가 학술연구용 소프트웨어로 공동 개발한 GPS 정밀기선해석과 3차원망조정의 GAMIT/GLOBK, 그리고 Leica 회사가 상용 소프트웨어로 개발한 LGO(Leica Geo Office)를 사용하여 국내 상시관측소(43개소)에서 관측된 GPS자료를 GPS연속관측시간대 및 기선거리, GPS위성궤도정보의 정밀궤도력과 방송궤도력, 그리고 각각의 학술연구용 및 상용소프트웨어 별로 좌표를 계산한 후에 성과변동량을 비교ㆍ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GPS Network구축, 관측방법, 소프트웨어 사용 등과 같은 기준점 위치 결정시의 체계성 확립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 변동량은 상기한 바와 같이 GPS상시 96시간 연속 자료를 IGS 최종 정밀궤도력으로 GAMIT/GLOBK 소프트웨어에 의해 결정된 좌표값(XYZ)을 기준하였으며, GPS 관측시간을 변화시키면서 학술용 및 상용 소프트웨어별 비교, 정밀궤도력 및 방송궤도력 위성궤도 정보별 비교 등 다양한 유형으로 각각 계산하여 변동 벡터값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 3가지 요소들이 GPS위치관측 정확도 확보와의 관계에서 그 영향성이 어느 정도 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범지구적 위치결정체계 규정이 적용된 시기는? 1990년대 중반 기준점측량에서 범지구적 위치결정체계 (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 규정이 적용되면서 국가기준점 및 공공기준점 등의 모든 기준점측량에서 GPS에 의한 관측 및 좌표계산방식으로 상용화되기 시작하였다. GPS는 전 세계를 통합 연결하는 VLBI(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 등과 같은 초장기선간섭계의 등장과 함께 지구타원체에 거대한 network를 형성하여 세계가 하나의 단일좌표계시대로 진입 하였다.
GPS를 활용한 장기선 측량에서 위치정확도 확보를 위한 방법도출 연구의 결과는? 1. 학술용 소프트웨어(GAMIT/GLOBK) 사용의 경우 24시간과 후반 12시간에서는 전체기준점이 2cm 미만의 변동량분포를 나타냈으나, 전반 12시간과 6시간, 3시간으로 GPS 관측 자료량이 반감되는데 따른 변동량은 점차 증가되었다. 특히 3시간대에서는 크게 5~6cm까지의 불규칙한 변동량 분포를 확인하였다. 상용소프트웨어(LGO)의 사용에서는 시간모형에 따른 전체 유형에서 오차분포가 큰 곳은 최대 10cm이상까지 불규칙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LGO는 연구범위 외곽지역에 4점의 고정점(기지점)을 두고 기선해석 및 망조정 계산을 수행한 경우에는 43점의 조정변동량이 3cm까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2. 상기한 결과에 따라 소요 정확도에 의한 GPS 수신 관측시간이 결정되어야 하며. 약 30km이상의 GPS 관측망이 구성되는 기준점 등의 측량에서는 최소한 6시간 이상의 GPS연속관측자료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GPS 장기선관측망계산에서 LGO의 사용이 불가피한 경우 작업지역을 감싸는 외곽에 정확도가 높은 다수의 고정점(기지점)을 배치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학술용 소프트웨어에 의한 결과값은 GPS관측시간이 12시간 이상이면 전체 조정변동량이 1cm이내로 발생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동일 자료를 상용소프트웨어로 기선해석·망조정 계산한 경우에는 시간대에 관계없이 43점 전체의 조정변동량이 크기가 불규칙한 분포로 발생하였으며, 그 크기는 약 3cm 정도에서 최대 10cm 이상의 값으로도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상용 소프트웨어가 학술용 소프트웨어와 비교하여 장기선 해석·처리 능력에서는 그 결과값의 정확도가 현저하게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용 소프트웨어 사용에서 전체 기선과 선택 기선 (삼각형도형) 적용에 대한 각각의 정확도 비교에서는 전체 기선이 약간 높은 정확도를 지니고 있는 것을 확인되었다. 4. 궤도정보의 정밀궤도력과 방송궤도력을 각기 적용하여 동일 GPS 관측조건에서 상용 소프트웨어로 처리한 결과 그 값의 비교에서 변동량이 거의 동일하게 나타나므로, 복수의 GPS 관측 장비를 동일 시간대로 관측하는 상대위치관측에서는 궤도정보 변경에 의한 관측점간 벡터값은 거의 일치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상용 소프트웨어 사용시 상대 위치관측방법에서는 정밀궤도력 또는 방송궤도력을 적용할 때 위치관측정확도 비교 차는 대등한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5. GPS에 의한 광역지구간의 장기선을 해석하고 위치 결정을 목표로 기선성분별 편차를 2cm 이내로 접근된 위치를 결정하는 경우, 본 연구에서 그 가능성을 실자료로 검증하고 분석한 결과 6시간 이상의 연속관측시간, 궤도정보의 정밀궤도력, 학술용 소프트웨어의 사용이 필수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6.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자료와 이에 의한 위치결정을 비교분석한 결과, 향후 GPS에 의한 장기선 처리, 기준점 등의 정밀측량 그리고 GPS 위치결정 등에서 본 연구결과가 작업규정 제·개정과 품셈 작성 등 다양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위성에 의한 지구관측은 언제 개발되었는가? 위성에 의한 지구관측은 1950년대에 개발되어 1967년 7월 최초로 미해군 항법위성체계 NAVY(Navigation Satellite System : NNSS)가 일반에 공개되어 m이내의 절대위치관측과 약 수m의 상대위치관측 정확성에 접근하였으며, 1973년 미해군의 TIMATION 프로그램과 미공군의 621B프로젝트가 미국방성 프로젝트로 통합되면서 NAVSTAR (NAVigation Satellite Timing And Ranging)로 명명된 GPS위성이 개발되어, 신호의 수신에 의한 위치추적시대로 진입하여 동시관측에서 0.1ppm 이내의 정확도로 측량이 가능한 시대로 접어들게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강준묵, 이용욱, 박정현 (2000), 궤도력에 따른 장기선 GPS이동측량의 정확도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18권, 제 2호, pp. 121-127 

  2. 김지운, 권재현, 이지선 (2008), Bernese와 TGO에 의한 국내 GPS상시관측소 자료처리 결과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6권, 제 6호, pp. 549-559 

  3. 박관동, 김혜인, 원지혜 (2007), 국토지리정보원 GPS 상시관측소 관측환경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5권, 제 4호, pp. 337-345 

  4. 박필호, 박종욱, 조정호, 전경수, 조성호 (1999), GPS의 변위검출능력에 대한 실험,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17권, 제 2호, pp. 161-166 

  5. 이영진, 이흥규, 권찬오, 차상헌 (2008), 2등 측지기준점 GPS 관측데이터의 기선벡터 추정,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6권, 제 2호, pp. 157-164 

  6. Alfred Leick (1990), GPS Satellites Surveying,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