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경재배 시 첨가매질이 관엽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pplied Substrates on Foliage Growth in Hydro-Culture 원문보기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v.18 no.4, 2009년, pp.460 - 467  

장혜숙 (고려대학교 대학원) ,  이상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문지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박천호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실내에 식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도입하고자 수경재배 시 첨가매질(게르마늄, 맥반석)이 관엽식물의 생장과 잎의 무기성분, 뿌리활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싱고니움(Syngonium podophyllum), 드라세나 산데리아나(Dracaena sanderiana), 스킨답서스(Epipremnum aureum) 및 아이비(Hedera helix)를 식물재료로 사용하였으며 토양(혼합된 상토: Sunshine Mix No. 2, USA), 수돗물, 수돗물에 게르마늄(300g), 수돗물에 맥반석(300g)을 첨가하여 정식하였다. 첨가매질에 따른 생육변화는 싱고니움의 경우 수돗물만 처리한 구에서 가장 저조하였고 게르마늄 첨가구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으며, 드라세나 산데리아나는 처리구에 따른 생장의 차이가 거의 없는 반면, 스킨답서스와 아이비의 생장도 게르마늄 첨가구에서 가장 좋았다. 특히 뿌리의 생장에서 커다란 차이를 보였는데 근장, 근수 및 근중이 게르마늄 첨가구에서 가장 좋았다. 뿌리활력은 10일 간격으로 분석하였는데 작물마다 처리구에 따라서 변화가 있었는데 싱고니움의 경우 10일째는 3처리구 다 뿌리활력이 낮아졌으나 차츰 좋아져 30일과 50일째에는 맥반석 첨가구에서 가장 좋았다. 드라세나의 경우 10일째부터 40일째까지 게르마늄 첨가구에서 가장 좋았으나 50일째부터 뿌리활력이 나빠졌다. 그러나 60일 후에는 처리구간 큰 차이가 없었다. 식물체 잎의 무기성분 분석 결과, 게르마늄의 Ca과 Mg 함량이 맥반석 보다 높았지만 잎의 무기성분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스킨답서스와 아이비는 배지재배보다 수경재배에서 생장이 좋았고, 수경재배시 수돗물에 게르마늄을 첨가하였을 때 생육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influence substrates addition such as germanium or Granite porphyry gravel have on the growth of foliage, on the inorganic compositions of leaves as well as on root activity, in order to discover effective means of introducing plant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인들이 쉽게 실내 식물을 도입하고 관리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해 보고자 4종류의 관엽식물을 대상으로 수경재배를 실시하였다. 더불어 심미성과 기능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경재배시 수돗물에 벼나 채소에 이용되고 있는 게르마늄과 맥반석을 실내 관엽식물에 도입하여, 두 가지 매질이 실내 관엽식물의 생육과 뿌리의 활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인들이 쉽게 실내 식물을 도입하고 관리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해 보고자 4종류의 관엽식물을 대상으로 수경재배를 실시하였다. 더불어 심미성과 기능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경재배시 수돗물에 벼나 채소에 이용되고 있는 게르마늄과 맥반석을 실내 관엽식물에 도입하여, 두 가지 매질이 실내 관엽식물의 생육과 뿌리의 활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실내에 식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도입하고자 수경재배 시 첨가매질(게르마늄, 맥반석)이 관엽식물의 생장과 잎의 무기성분, 뿌리활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싱고니움(Syngonium podophyllum), 드라세나 산데리아나(Dracaena sanderiana), 스킨답서스(Epipremnum aureum) 및 아이비 (Hedera helix)를 식물재료로 사용하였으며 토저양(혼합된 상토: Sunshine Mix No.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경재배 시 첨가 매질이 관엽식물의 생장과 잎의 무기 성분, 뿌리활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어떻게 나타났는가? 2, USA), 수돗물, 수돗물에 게르마늄(300g), 수돗물에 맥반석(300g)을 첨가하여 정식하였다. 첨가매질에 따른 생육변화는 싱고니움의 경우 수돗물만 처리한 구에서 가장 저조하였고 게르마늄 첨가구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으며, 드라세나 산 데리아나는 처리구에 따른 생장의 차이가 거의 없는 반면, 스킨답서스와 아이비의 생장도 게르마늄 첨가구에서 가장 좋았다. 특히 뿌리의 생장에서 커다란 차이를 보였는데 근장, 근수 및 근중이 게르마늄 첨가구에서 가장 좋았다. 뿌리활력은 10일 간격으로 분석하였는데 작물마다 처리구에 따라서 변화가 있었는데 싱고니움의 경우 10일째는 3처리구 다 뿌리활력이 낮아졌으나 차츰 좋아져 30일과 50일째에는 맥반석 첨가구에서 가장 좋았다. 드라세나의 경우 10일째부터 40일 째까지 게르마늄 첨가구에서 가장 좋았으나 50일째부터 뿌리활력이 나빠졌다. 그러나 60일 후에는 처리구간 큰 차이가 없었다. 식물체 잎의 무기성분 분석 결과, 게르마늄의 Ca과 Mg 함량이 맥반석 보다 높았지만 잎의 무기성분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스킨답서스와 아이비는 배지재배보다 수경재배에서 생장이 좋았고, 수경재배시 수돗물에 게르마늄을 첨가하였을 때 생육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에서 관엽식물 재배가 용이한 이유는? 실내에서 많이 재배되는 대부분의 관엽식물은 내음성과 내건성이 타 화훼 식물에 비해 비교적 강한 편이기 때문에 재배하기가 용이하다(Balse, 1995). 그러나 재배 환경 중에서 근권 환경은 관찰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식물의 피해 증상을 파악하기 어렵다.
수경재배 시 근권 환경의 인위적 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수경재배시 근권부의 관리가 중요하다. 수경재배의 근권환경은 지상부 환경의 영향을 받는 재배방식이므로 지상부 환경 뿐만 아니라 근권 환경의 인위적인 관리가 필요한데이것은 근권 환경에 의해 뿌리의 발달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Choi 등, 1994; Du와 Tachibana, 1994; Jang 등, 1992). 또한 투명용기를 이용한 수경재배는 실내 식물을 장식할 때 식물의 지상부 뿐만 아니라, 지하부도 감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Kim 등,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II) 16 edition. Arlington 

  2. Aso, H., T. Suzuki, Y. Yamaguchi, T. Hayashi, Ebina, and N. Ishida. 1985. Induction of interferon and activation of Nk Cells and macrophages in mice by oral administration of Ge-132, and organic germanium compound. Microbiol Immunol. 29(1):65-74 

  3. Balse, S.F. 1995. The kitchen garden: Raised beds and electric chairs. Hort. 73:34-39 

  4. Bang, G.H. 1999. Direction of home horticulturehydroponics for fostering of studies' emotion in primary school. J. Kor. Agri. Education 29:95-108 

  5. Baik, J.A., E.J. Jang, and C.H. Pak. 2003. Plant stresses of two araceae foliage plants cultured by hydroculture and plant activity compared with soil culture. Kor. J. Hort. Sci. Technol. 21(4):341-345 

  6. Choi, K.J., G.C. Chung, W.Y. Choi, K.P. Han, and S.K. Choi. 1994. Effect of roof zone temperatures on the mineral composition of xylem sap, photosynthetic activity and transpiration in cucumber plant. Acta Hort. 396:161-166 

  7. Du, Y.C. and S. Tachibana. 1994. Effect of supraoptimal root temperature on the growth, root respiration and sugar content of cucumber plants. Scientia Hort. 58:289-301 

  8. Hwang, J.Y. 1997. Characteristic and application of macbansuk and clay.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Symposium, pp.89-99 

  9. Howden, R. and C.S. Cobbett. 1992. Cadmium-sensitive mutants of Arabidopsis thaliana. Plant Physiol. 99:100-107 

  10. Hirata, K. 1990. A nutrition experiment of plant. Pakuoosa. Tokyo, pp. 52-55 

  11. Jang, B.C., Y.P. Hong, and J.C. Chun. 1992. Effect of root-zone temperature in hydroponics on plant growth and nutrient uptake in vegetable crops. J. Kor. Soc. Soil Sci. 25:242-248 

  12. Kim, D.K., S.U. Chon, S.Y. Jung, K.D. Lee, K.S. Kim, and Y.S. Rim. 2007. Effects of germanium (Ge) on growth, yield and Ge content of mungbean. Korean J. Crop Sci. 52(4): 380-386 

  13. Kim, J.H., H.J. Kim, and Y.S. Kim. 1996. Effect of ammonium phosphate on nutrient solution using tap water during hydroponic culture of crisp lettuce. J. Kor. Soc. Hort. Sci. 37:223-227 

  14. Kim, K.S. 1999. New Horticulture. Hyangmoonsa, Press. Seoul, pp. 262-374 

  15. Kim, E.J., K.I. Lee, and K.T. Park. 2002a. Effects of germanium treatment during cultivation of soybean sprou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615-620 

  16. Kim, E.J., K.I. Lee, and K.Y. Park. 2002b. Quantity analysis of nutrients in soybean sprouts cultured with germani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1150-1154 

  17. Kim, E.J., K.I. Lee, and K.Y. Park. 2004. Antimutagenicity of soybean sprouts cultured with germani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6):930-935 

  18. Lee, H.M. and Y. Chung. 1991. Effect of organic germanium on metallothionein induction in liver and kidney of cadmium and mercury intoxicated rats. Yakhak. Hoeji 35:99-110 

  19. Lee, H.D., Y.S. Lee, and K.T. Seo. 1996. Organisms in waterworks (pictures and interpretation). JinriwaTamgu Co., Seoul, p. 251 

  20. Lee, K.H. 2005.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adsorption of germanium for heavy met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8:213-218 

  21. Lee, S.T. 2004. Characteristics of growth response and germanium absorption of crops in soil treated germanium. phD Diss., Gyeongsang National Univ. of Education, Korea 

  22. Lee, S.T., Y.H. Lee, H.J. Lee, J.S. Cho, and J.S. Heo. 2005. Germanium contents of soil and crops in Gyeongnam province. Kor. J. Environ. Agr. 24:34-39 

  23. Lim, J.S., K.C. Seo, W.Y. Park, Y.S. Cheon, S.T. Lee, J.S. Cho, and J.S. Heo. 2008a. Effects of soil texture on germanium uptake and growth in rice plant by soil application with germanium. Kor. J. Environ. Agr. 27:245-252 

  24. Lim, J.S., K.C. Seo, W.Y. Park, Y.S. Cheon, S.K. Park, S.T. Lee, J.H. Park, S.D. Kim, J.S. Cho, and J.S. Heo. 2008b. The selection of optimum rice species and germanium application method for production of functional rice with germanium. Kor. J. Environ. Agr. 27: 373-381 

  25. Mochizuke, H. and T. Kada. 1982. Antimutagenic effect of Ge-132 on $\surd$ -ray-induced mutation in Escherichia Coli B/r WP2 trpp. Int. J Radiat. Biol. 42:653-659 

  26. Park, J.B. 2003. Removal effect of biostone and green tea on the heavy metal toxicity during seed germination of Arabidopsis thaliana. J.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2:1303-1308 

  27. Reed, D.W. 1996. Water, media, and nutrition for greenhouse crops. Ball publishing. Illinois, USA, pp. 110-111 

  28. Salt, D.E., R.C. Prince, I.J. Pickering, and I. Raskin. 1995. Mechanisms of cadmium mobility and accumulation in Indian mustard. Plant Physiol. 109:1427-1433 

  29. Suzuki, F., R.R. Brutkiewicz, and R.B. Pollard. 1986. Cooperation of lamphokine(s) and marcophages in expression of antitumor activity of carboxyethylgermanium sesqui-oxide (Ge-132). Antitumor Res. 2(2):177-182 

  30. Yang, W.M., Y.G. Jeong, J.G. Kang, and J.Y. Cho. 1991a. Basic study on a new soilless culture: I. Effect of oxygen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on the physio-ec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omato. J. Kor. Soc. Hort. Sci. 32:305-313 

  31. Yang, W.M. and S.Y. Yang. 1991b. Basic study on a new soilless culture: II. Effect of oxygen level in rhizosphere on the physio-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omato in aeroponics. J. Kor. Soc. Hort. Sci. 32:434-43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