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게르마늄의 엽면살포가 벼의 생육과 게르마늄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게르마늄을 엽면에 수준별로 처리하여 벼를 재배하였을 때 벼의 생육 특성 및 부위별 게르마늄 흡수량을 조사하였다. 벼에 엽면처리한 게르마늄($GeO_2$)액은 0(무처리), 10, 20, 40 및 $80mg\;L^{-1}$ (25, 50, 100 및 200 g $10a^{-1}$)되게 조제한 후 최고분얼기, 수잉기 및 출수기에 각각 50 mL씩 분무기로 분무하였다. 게르마늄 엽면처리 농도에 따른 벼의 생육시기별 초장 및 잎수는 $GeO_2$ 수준별로 큰 차이 없이 비슷하였다. 벼 부위별 게르마늄 흡수율은 전반적으로 잎과 줄기가 매우 높았고, 상대적으로 뿌리는 아주 낮았다. 게르마늄 흡수율은 게르마늄 엽면처리 농도가 증가 할수록 점점 증가 하였고, Ge $80mg\;L^{-1}$에서 게르마늄 흡수율은 잎과 줄기가 각각 5.75 및 4.52%로 가장 높았다. 쌀 부위별 게르마늄 흡수량은 Ge $80mg\;L^{-1}$으로 처리한 pot에서 쌀겨의 경우 $0.21mg\;pot^{-1}$이었으며, 현미 및 백미의 경우는 각각 0.04 및 $0.03mg\;pot^{-1}$으로 가장 많은 흡수량을 보였다. 또한 쌀 부위별 게르마늄 흡수율은 쌀겨 $\gg$ 현미 ${\geq}$ 백미 순이었으며, $20mg\;L^{-1}$으로 처리한 pot에서 가장 높은 흡수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의 미루어 볼 때 본 게르마늄 엽면처리 조건하에서 최적 엽면처리 농도는 게르마늄의 독성이 나타나지 않으면서 부위별로 게르마늄을 가장 많이 흡수한 $80mg\;L^{-1}$이었으나, 게르마늄 독성범위와 게르마늄의 이행성을 고려한 최적 엽면처리 농도는 추후에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agricultural utilization of germanium (Ge),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Ge absorption in rice plant were investigated under different Ge concentrations by foliar spray application. The Ge concentrations were treated with 0 (control), 10, 20, 40 and $80m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게르마늄의 엽면살포가 벼의 생육과 게르마늄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게르마늄을 엽면에 수준별로 처리하여 벼를 재배하였을 때 벼의 생육 특성 및 부위별 게르마늄 흡수량을 조사하였다. 벼에 엽면처리한 게르마늄(GeO2)액은 0(무처리), 10, 20, 40 및 80 mg L-1 (25, 50, 100 및 200 g 10a-1)되게 조제한 후 최고분얼기, 수잉기 및 출수기에 각각 50 mL씩 분무기로 분무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기게르마늄이 유발하는 문제점은? 또한 게르마늄은 이온 자체로 존재하기 보다는 대부분 sulfosalt 형태로 존재 한다 (Cheon, 2010). 게르마늄은 무기게르마늄과 유기게르마늄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무기게르마늄 (GeO2)은 인체내 유입시 빈혈, 신기능장해, 근육 장애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Obara et al., 1991), 유기게르마늄은 항종양 효과 (Jang et al.
게르마늄이란 무엇인가? 게르마늄(Germanium)은 1986년 Clemens Winkler가 argyrodite라는 광석에서 최초로 발견한 원소로 원소주기율표에 C, Si, Sn, Pb와 함께 4A족에 속하며 연성과 전성이 없는 비금속 물질로서 반도체, 컴퓨터 및 전기공학 분야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Merian, E., 1991; Bernstein, L, R.
GeO2를 유기게르마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은? 특히, 게르마늄 농자재의 경우 토양 중 게르마늄 함량이 낮기 때문에 식물체중 게르마늄 함량이 낮아 무기게르마늄을 농자재로 사용하여 유기게르마늄화 하기 위한 효과적인 농축의 수단으로 다양한 연구들이 그 동안 수행되었다. 무기 게르마늄을 유기게르마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미생물, 효모류 (Kehlbeck, 1983; Nobohiro et al., 1980; Wei, 1992) 및 규조류를 이용하기도 하였으며, 몇몇 연구자는 유기게르마늄함유 식물체를 개발하기 위하여 일당귀와 인삼 (Lee et al., 1995), 강활 (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so, H., F. Suzuki, T. Yamaguchi, Y. Hayashi, T. Ebina, and N. Ishida. 1985. Induction of interferone and activation of NK cells and macrophages in mice by oral administration of Ge-12, and organic germanium compound. Microbiol. Immunol. 29:65-74. 

  2. Bernstein, L.R. 1985. Germanium geochemisry and mineralogy. Geochim. Comochim. Acta 49:2409-2422. 

  3. Cheon, Y.S. 2010. Development of rice cultivation methods in paddy field for production of functional rice with germanium. Master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4. Dakley, W.M. and B.E. Volcani. 1969. Role of silicon in diatom metabolism. A silicon requirement for deoxyribonucleic remann and lewin. Exptl. Cell. Res. 58:334-339. 

  5. Dimartino, M.J. 1986. Antiarthritic and immunoregulatory activity of spirogermanium. J. Pharmacol. Exp. Ther. 236:103- 110. 

  6. Ho, C.C., Y.F. Cherm, and M.T. Lin. 1990. Effects of organogermanium compound 2-carboxyethylgermanium sesquioxide on cardiovascular function motor activity in rats. Pharmacology 41:286-291. 

  7. Hwang, S.H. 2008. Effect of organic and inorganic germanium on growth and its uptake of rice in paddy soil condition. Master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8. Jang, J,J., K.J. Cho, Y.S. Lee, and J.H. Bae. 1991. Modifying responses of allyl surfide, indole-3-carbinol and germanium in a rat multi-organ carcinogenesis model. Carcinogenesis 12:691-695. 

  9. Kang, S.W., D.C. Seo, W.T Jeon, S.J. Kang, S.T Lee, H.H. Sung, I.W. Choi, U.G. Kang, H.O. Kim, J.S. Heo, and J.S. Cho. 2011. Growth characteristics and germanium absorption of brasica juncea C. with different types of germanium compounds in hydroponic cultivation. Korean J. Soil Sci. Fert. 44:465-472. 

  10. Kang, Y.K. and Z.K. U. 1999. Nitrogen recovery of foliar applied urea by satsuma mandarins. Korean J. Soil Sci. Fert. 32:132-139. 

  11. Kehlbeck, H. 1983. New germanium containing yeast for medicinal and veterinary use. Deutsch Patent DE. 3345211. 

  12. Kim, J.J., J.N. Kim, J.S. Cho, J.S. Heo, and S.T. Yee. 2009. Oral single-dose toxicity studies on germanium-fortified lettuce, in mouse. Korean J. Environ. Agric. 28:59-68. 

  13. Lee, H.M. and Y. Chung. 1991. Effect of organic germanium on metallothionein induction in liver and kidney of cadmium and mercury intoxicated rats. Yakhak Hoeji. 35:99-110. 

  14. Lee, M.S., J.H. Lee, T.O. Kwon, and S.B. Namkoong. 1995. Increment of germanium of concents in Angelica Keiskei Koidz and Panax ginseng C.A Meyer by in vitro propagation. Korean J. Environ. Agric. 24:404-408. 

  15. Lee, S.T., Y.H. Lee, H.J. Lee, J.S. Cho, and J.S. Heo. 2005a. Germanium contents of soil and crops in gyeongnam province. Korean J. Environ. Agric. 24:34-39. 

  16. Lee, S.T., Y.H. Lee, Y.J. Choi, S.D. Lee, C.H. Lee, and J.S. Heo. 2005b. Growth characteristics and germanium absorptionin rice plant with different germanium concentrations in soil. Korean J. Environ. Agric. 24:40-44. 

  17. Lee, Y.H., Y.H. Shon, S.T. Lee, J.Y. Heo, M.K. Kim, E.S. Kim, W.D. Song, Y.S. Zhang, W.T. Jeon, and Y.S. Ok. 2012. Topographical chemical properties of paddy soils in gyeongnam province. Korean J. Soil Sci. Fert. 45:143-148. 

  18. Lim, J.S., D.C. Seo, W.Y. Park, Y.S. Cheon, S.T. Lee, J.S. Cho, and J.S. Heo. 2008. Effects of soil texture on germanium uptake and growth in rice plant by soil application with germanium. Korean J. Environ. Agric. 27:245-252. 

  19. Matsumoto. H., S. Syo, and E. Takahashi. 1975. Translocation and some forms ofn germanium in rice plants. Soil Sci. Plnat Nutr. 21:273-279. 

  20. Merian, E. 1991. Metal and their compounds in the environment: VCH. Weinheim. 921-929. 

  21. Mochizuki, H. and T. Kada, 1982. Antimutagenic effect of Ge-132 on $\gamma$ -ray-induced mutation in Escherchia coli B/rWP2 trp-. Int. J. Radiat. Biol.42:653-659. 

  22. NAAS. 2006. Fertilizer application recommendations for crop plant.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Suwon. Korea. 

  23. NIAST. 2000. Methods of soil chemical analysi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Suwon. Korea. 

  24. Nobohiro, W., I. Osamu, K. Dakuro, and Y. Koichi. 1980. New approaches to using spent brewer' yeast. ASBC Journal 38:5. 

  25. Obara, K., T. Saito, H. Sato, K. Yamakage, T. Watanabe, M. Kakizawa, T. Tsukamoto, K. Kobayashi, M. Hongo, and K. Yoshinaga. 1991. Germanium poisoning; clinical symptoms and renal damage caused by long-term intake of germanium. Jpn. J. Med. 30:67-72. 

  26. Park, B.W., J.H. Lee, and T.O. Kwon. 1996. Effects of $GeO_{2}$ and citric acid on germanium content of callus and plant in Angelica koreana MAX. Korean J. Medicinal Crop Sci. 4:101-108. 

  27. Seo, D.C., Y.S. Cheon, S.K. Park, J.H. Park, A.R. Kim, W.K. Lee, S.T. Lee, Y.H. Lee, J.S. Cho, and J.S. Heo. 2010. Applications of different types of germanium compounds on rice plant growth and its Ge uptake. Korean J. Soil Sci. Fert. 43:166-173. 

  28. Song, S.J., Y.R. Kim, S.G. Han, and Y.G. Kang. 2006. Foliar absorption rates of 45Ca-labeled calcium compounds applied on tomato and citrus leaves. Korean J. Soil Sci. Fert. 39:80-85. 

  29. Suzuki, F., R.R. Brutkiewicz, and R.B. Pollard. 1986. Cooperation of lymphokine (s) and marcophages in expression of antitumor activity of carboxyethyl germanium (Ge-132). Antitumor Res. 62:177-182. 

  30. Suzuki, Y. and K. Taguchi. 1983. Pharmacological studies of carboxyethyl germanium sesquioxide (Ge-132). Pharmacometrics 26:803-810. 

  31. Wei, X.S. 1992. Effect of yeast on bioenrichment of germanium. Food Science 149:49-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