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포호의 식물규소체(phytolith) 분석과 Holocene 기후변화
Phytolith Analysis of Sediments in the Lake Gyeongpo, Gangneung, Korea and Climatic Change in the Holocene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44 no.6 = no.135, 2009년, pp.691 - 705  

윤순옥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김효선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  황상일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 동해안 경포호에서 보링한 두께 660cm의 퇴적물로 식물규소체(phytolith) 분석을 행하여 Holocene 기후 및 환경 변화와 농경의 특성을 밝혔다. 분석 결과 기저부에서 지표층까지 여섯 개의 식물규소체 분대가 구분되었다. PAZI은 약 5,000년 BP를 전후하여 온난, 건조하였고 이후 냉량, 습윤하였다. PAZII(4,000-2,000년 BP 경)는 온난하였으나, 건-습 환경이 교대로 반복하였다. PAZIII(2,000-1,000년 BP 경) 시기는 기장족과 재배벼를 포함하는 규소체가 다량 산출하여 온난, 습윤한 기후환경에서 농경이 확대되었음을 지시한다. PAZIV(1,000-500년 BP 경) 시기에는 냉량, 건조하였고 이후 PAZV와 IV시기에는 짧은 시기동안 다시 온난, 건조 및 냉량, 습윤한 환경으로 변화하였다. 경포호의 화분분석 결과와 유사하게 식물규소체 분석 결과에서도 농경은 PAZIII시기를 중심으로 약 2,000년 BP 경 확대되었으나 재배벼(Oryza sativa) 중심의 벼농사는 다소 후기에 확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tolith analysis was made on a 660cm core from Lake Gyeongpo in the East Sea of Korean Peninsula to clarify the environmental change including climate and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during the Holocene. From the results of phytolith analysis, six phytoliths assemblage zone(PAZ) were recognized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경포호가 형성되어 이후 매적되어가는 과정을 포함하는 호소 퇴적물에서 식물규소체 분석을 행하여 강릉 일대의 Holocene 중기 이후 기후 및 환경 변화, 그리고 벼 재배시기를 중심으로 농경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규소체란 무엇인가? 식물규소체라는 용어는 원래 식물체 내에 형성되는 여러가지 무기염류의 구조물을 통칭하는 것으로 식물이 토양의 지하수로부터 규소를 비롯한 무기염류를 흡수하여 세포나 세포 사이에 침전하여 형성된다. 이들 가운데 칼슘화합물을 비롯한 기타 무기염류는 토양에 장기간 보존되기 어렵고, 또한 식물규소체 추출을 위한 화학적 처리과정에서 용해되지만, 규소물질(SiO2)로 형성된 것들은 형태가 다양하고 토양 내에서 반영구적으로 잔존한다(Piperno, 1988; 이경아, 1999).
경포호란 무엇인가? 경포호는 동해안에 분포하는 석호 가운데 하나로서 일반적인 석호의 지형 발달 과정을 동일하게 겪고 있다. 즉 경포천의 하구부는 Holocene 중기까지 빠르게 상승한 해수면에 의해 익곡된 이후 해안사주의 성장과 경포천이 유역분지로부터 운반해 온 물질로 메워져 축소되는 과정에 있다.
강릉지역의 Holocene 기후 및 환경 변화, 농경의 특징과 벼재배 시기를 규명한 결과는 어떠한가? 1) PAZ Ⅰ-1시기에는 부채형이 가장 많이 산출되었고, 포아풀아과와 침형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상당히 낮았다. 이 시기 기후는 온난건조하였다. PAZ Ⅰ-2 시기에는 부채형이 다소 감소하고 포아풀아과와 침형의 비율이 증가하여 다소 냉량, 습윤한 기후환경이었다. PAZ Ⅰ 시기는 약 6,000년 BP부터 약 4,000년 BP 경까지 지속된 것으로 추정된다. PAZⅡ에는 부채형과 기장아과가 포아풀아과와 침형에 비해 높아서 온난한 환경이었다. 2,000-900년 BP의 PAZ Ⅲ은 침형과 포아풀아과의 비율이 감소하고, 기장아과가 증가하여 기후는 온난하였다. PAZ Ⅱ와 Ⅲ 시기에는 건조한 시기와 습윤한 시기가 교대로 나타났으며, Ⅱ 시기보다 Ⅲ 시기에 다소 더 습윤하였다. PAZ Ⅳ는 초기에 부채형이 높게 출현하였으나, 후기에는 감소하였고, 포아풀아과와 침형이 증가하여 다소 냉량, 습윤하였을 것이다. PAZ Ⅴ는 침형이 증가하지만, 부채형의 비율이 높아서 온난하였다. PAZ Ⅵ는 표층으로 부채형이 약간 감소하고, 침형과 포아풀아과가 증가하여 다소 냉량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2) 약 2,000년 BP부터 시작된 PAZ Ⅲ 시기에 식물규소체 함량이 가장 높고, 농경활동의 직접적인 지시자인 재배벼가 출현하였으므로, 강릉지역에서 농경활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즉 강릉 일대에는 기장족을 중심으로 2,000년 BP 경부터 농경활동이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크고, 벼 재배는 이보다 약간 늦은 시기부터 시작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식물규소체 분석 결과는 화분분석 결과보다 재배벼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시작시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농경활동의 시작 시기는 화분분석 및 식물규소체 연구의 축적으로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3) 식물규소체 분석이 이루어진 경포호 남쪽 가장자리에서 재배벼의 식물규소체 검출 밀도가 낮은 것은두 가지의 원인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첫째, 19세기경에도 경포호 남쪽 가장자리는 석호의 범위에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퇴적층 형성 시기동안 농경의 영향에서 벗어나 있었다. 둘째, 식물규소체가 화분에 비해 이동성이 나빠서 농경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석호 내부까지 운반되지 않기 때문이다. 4) 세계적으로 적용되는 Iph지수와 Ic지수를 산출하여 고기후 환경변화를 복원하는 일은 한반도에서는 아직 시작 단계이다. 기존의 연구는 식물규소체를 다량 생산하는 벼과나 기타 초원지대의 건조 또는 반건조지역을 주 대상으로 하므로 한반도에서의 적용 여부는 여전히 관심의 대상이다. 최근 열대 우림에서의 분석 결과가 기타 대리자료와 일치하므로 온대지역 및 다양한 기후지역에서의 적용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 한반도의 고기후변화를 논의하는데 화분분석 결과 외에는 자료가 충분하지 못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식물규소체 분석으로 한반도에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곽종철.후지와라 히로시.우다 테츠로.야나기사와 카즈오, 1995, '신석기시대 토기태토에서 검출된 벼의 plant-opal,' 한국고고학보, 32, 149-162 

  2. 오용자, 2005, '한국산 사초과(Cyperaceae) 식물의 규소체(silica body) 형태에 의한 분류,' 한국식물분류학회지, 35(4), 313-335 

  3. 원주지방환경청, 2008, 동해안 석호보전 및 복원을 위한 생태계 정밀조사 및 관리방안 연구, 781 

  4. 윤순옥.문영롱.황상일, 2008a, '경포호 홀로세 퇴적층에 대한 화분분석과 환경변화,' 지질학회지, 44(5), 781-704 

  5. 윤순옥.조화룡, 1996, '제4기 후기 영양분지의 자연환경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31(3), 447-468 

  6. 윤순옥.황상일.박충선.김효선.문영롱, 2008b, '한국 중부 동해안 석호의 20세기 경관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43(4), 449-465 

  7. 이경아, 1999, '식물유체 복원법의 발달과 식물규소체 분석의 고고학적 의의,' 한중고고학연구, 6, 21-47 

  8. 이융조.김정희, 1998, '한국 선사시대 벼농사의 새로운 해석 -식물 규소체 분석자료를 중심으로-,' 선사와 고대, 11, 11-45 

  9. 이융조.김정희, 2001, 충주 조동리 선사유적I(조동리유적 출토 토기 바탕흙의 식물규소체 분석), 충북대학교박물관, 424-428 

  10. 이지영, 2008, 부여군 규암면 나복리 통실 곡저평야의 환경 복원 - Plant opal 분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임효재.스즈키 미츠오, 2000,' 김포 니탄층 유적과 그 당시의 고환경연구,' 한중고고학연구, 7, 7-39 

  12. 정철환.윤호일.이승현, 2004, '제주도 서귀포지역 제4기 퇴적층에서 산출된 포자, 화분의 고기후적 의미,' 한국지구과학회지, 25(5), 377-385 

  13. 황상일.윤순옥, 2008, '한국 중부 동해안 석호 및 주변 유역의 지형특성과 하구부 퇴적환경,' 한국지형학회지, 15(3), 17-33 

  14. 황성수, 1992, 벼속(Oryza) 식물규소체의 형태와 그 분류학적 의의,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近藤鍊三.佐隆, 1986, '植物硅酸, その特徵と用,' 第四紀硏究, 25, 31-63 

  16. 塚田松雄.金遵敏.任良宰.洪渟喆.安田喜憲, 1977, 束草における植生變遷史, 韓國環境變遷史 I, 第四紀學會講演要旨集, 6, 23-35 

  17. 塚田喜憲, 1980, 環境考古學事始; 東京, 日本放送出版協會 

  18. 安田喜憲.塚田松雄.金遵敏.李相泰, 1980, 韓國における環境變遷史と農耕の起源, 文部省學術調査報告, 1-19 

  19. 佐隆.近藤三, 1974, '北海道の埋火山灰土腐植層中の植物珪酸について, 畜産大術硏究報告第I部,' 8(3), 465-483 

  20. Alexandre, A., Meunier, J. D., Lezine, A. M., Vincens, A., and Schwartz, D., 1997, Phytoliths: indicators of grassland dynamics during the late Holocene in intertropical Africa,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136, 213-229 

  21. Barboni, D., Bonnefille, R., Alexandre, A., and Meunier, J. D., 1999, Phytoliths as palaeoenvironmental indicators, West Side Middle Awash Valley, Ethiopia,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152, 87-100 

  22. Bjorck, S., Ollsson, S., Ellis-Evans, C., Hakansson, H., Humlum, O., and Juan Manuel de L., 1996, Late Holocene palaeoclimatic records from lake sediments on James Rose Island, Antarctica,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121, 195-220 

  23. Bremond, L., Alexandre, A., Peyron, O., and Guiot, J., 2005, Grass water stress estimated from phytoliths in west Africa, Journal of Biogeography, 32, 311-327 

  24. Brown, D. A., 1984, Prospects and limits of a phytolith key for grasses in the central United State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s, 11, 345-368 

  25. Carter, J. A., 2002, Phytolith analysis and paleoenvironmental reconstruction from Lake Poukawa Core, Hawkes Bay, New Zealand, Global and Planetary change, 33, 257-267 

  26. Chang, C. H. and Kim, C. H., 1982, Late-Quaternary vegetation in the lake of Korea, Korea Journal of Botany, 25(1), 37-53 

  27. Delhon, C., Alexandre, A., Berger, J. F., Thiebault, S., Brochier, J. L., and Meunier, J. D., 2003, Phytolith assemblages as a promising tool for reconstructing Mediterranean Holocene vegetation, Quaternary Research, 59(1), 48-60 

  28. Diester-Hass, L., Sehrader, H. J., and Thiede, J., 1973, Sedimentological and paleoclimatological investigation of two pelagic ooze cores off Cape Barbas, North-West Africa, Meteor Forschungsergebnisse, 16, 19-66 

  29. Fredlund, G. G. and Tieszen, L. L., 1997, Calibrating grass phytolith assemblages in climatic terms: application to late Pleistocene assemblages from Kansas and Nebraska,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136, 199-211 

  30. Fujiki, T. and Yasuda, Y., 2004, Vegetation history during the Holocene from Lake Hyangho, northeastern Korea, Quaternary International, 123-125, 63-69 

  31. Ghosh, R., Gupta, S., Bera, S., Jiang, H., Li, X., and Li, C. S., 2008, Ovi-caprid dung as an indicator of paleovegetation and paleoclimate in northwestern China, Quaternary Research, 70(2), 149-157 

  32. Gu, Y., Pearsall, D. M., Xie, S., and Yu, J., 2008, Vegetation and fire history of a Chinese site in southern tropical Xishuangbanna derived from phytolith and charcoal records from Holocene sediments, Journal of Biogeography, 35(2), 325-341 

  33. Lu, H. Y. and Liu, K. B., 2003, Morphological variations of lobate phytoliths from grasses in China and the southeastern USA, Diversity and Distributions, 9(1), 73-87 

  34. Madella, M., Alexandre, A., and Ball, T., 2005, International code for phytolith nomenclature 1.0, Annals of Botany, 96, 253-260 

  35. Mulholland, S. C. and Rapp, G. Jr., 1992, A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of grass silicabodies. Phytolith systematics: emerging issues, in G. Rapp, Jr and S.C. Mulholland(eds.), pp.65-90. Plenum Press, New York 

  36. Pearsall, D. M., 2000, Palaeoethnobotany: a handbook of procedures, 2nd Edition, Academic Press, San Diego 

  37. Piperno, D. R., 1988, Phytolith analysis: An Archaeological and Geological Perspective, Academic Press, New York, NY 

  38. Piperno, D. R. and Pearsall, D. M., 1998, The silica bodies of tropical American grasses: morphology, taxonomy, and implications for grass systematics and fossil phytolith identification, Annals of the Smithsonian Institution, 85, 1-40 

  39. Rovner, T., 1971, Potential of opal phytoliths for use in palaeoecological reconstruction, Quaternary Research, 1, 343-359 

  40. Tieszen, L. L., Senyimba, M. M., Imbamba, S. K., and Troughton, J. H., 1979, The distribution of C3 and C4 grasses and carbon isotope discrimination along an altitudinal and moisture gradient in Kenya, Oecologia, 37, 337-350 

  41. Twiss, P. C., Suess, E., and Smith, R. M., 1969,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of grass phytolith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33, 109-115 

  42. Twiss, P. C., 1987, Grass-opal phytoliths as climatic indicators of the Great Plains Pleistocene. in Johnson, W. C.(ed.), Quaternary Environment of Kansas, Kansas Geological Survey Guidebook Series, 5, 179-188 

  43. Twiss, P. C., 1992, Predicted world distibution of C3 and C4 grass phytoliths. in Rapp, Jr. G. and Mullholland, S. C.(eds.), Phytolith systematics: emerging issues, Plenum Press, New York, 113-128 

  44. Wooller, M. J., 2002, Fossil grass cuticles from lacustrine sediments: a review of methods applicable to the analysis of tropical African lake cores, The Holocene, 12(1), 97-105 

  45. Zhang, Y., Zhang, M., and Song, J., 2003, Development of ancestors' cultivation revealed in phytolith assemblages from Guangfulin relics, Chinese Science Bulletin, 48(3), 287-29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