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주 황성동 유적지의 식물규소체 분석과 응용
Phytolith analysis and application in Hwangseong-dong Archaeological Site, Gyeongju 원문보기

第四紀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v.25 no.1, 2011년, pp.31 - 39  

김효선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  윤순옥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황상일 (경북대학교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형산강 연안의 경주 황성동 소재 주거지 유적에서 유적지내 목곽묘에 매장된 토기 속의 토양을 대상으로 식물규소체 분석을 행하였다. 연구지역은 신라시대 천년동안 왕경을 중심으로 하는 도읍지에 인접하여 있고 형산강의 충적평야를 이용하여 일찍부터 농경활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토기 내부 토양에서의 분석결과, 하부층준에서는 벼와 함께 갈대속, 기장족, 쇠풀족이 함께 출현하여 인접한 지역에서 농경 활동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토기의 용도에 대해 확실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유적의 매몰토와 토기내부 토양과의 비교분석 및 토기 내부 토양의 대형식물유체 분석도 병행하는 등 다양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tolith of soil in earthenware buried in the wooden chamber tombs at the archaeological site in Hwangseong-dong, Gyeongju along Hyeongsan River are analyzed. The study area has adjoined the seat of government during approximately thousand years in Shilla Dynasty and can be regarded as being clos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농경층이 아닌 토기 내부에 퇴적된 토양을 식물규소체 분석 대상으로 하여 벼과 식물의 존재 유무와 농경의 증거를 파악하였고, 궁극적으로 토기에 어떠한 곡물이 담겨 있었는지 토기의 용도에 대해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농경층이 아닌 토기 속의 토양을 시료로 하여 벼과식물의 존재여부를 확인하고 농경을 증거를 찾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형산강의 동쪽 하안에 위치하는 경주 황성동 590번지 공동주택건립부지(D, E구역, Fig 1)내 문화유적에서 흑갈색 유기물 퇴적물을 채취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규소체는 어디에서 많이 산출되며, 결과는 무엇에 적용되나요? 식물 세포와 조직 사이에 형성된 여러 무기염류 구조물을 통칭하는 식물규소체(phytolith, 植物硅素體)는 특히, 벼과식물에서 다양한 형태로 많이 산출되고, 분석 결과는 제4기 기후 환경 변화를 복원하거나, 농경 활동의 유무와 가능성을 규명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황성수, 1992; 황상일 외, 2010). 식물규소체의 대부분은 규소(SiO2)로 구성되어 있어 물리·화학적 풍화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여 식물체가 고사하고 섬유질이 분해된 이후에도 토양 속에 장기간 보존된다.
식물규소체는 무엇을 통칭하는 것인가요? 식물 세포와 조직 사이에 형성된 여러 무기염류 구조물을 통칭하는 식물규소체(phytolith, 植物硅素體)는 특히, 벼과식물에서 다양한 형태로 많이 산출되고, 분석 결과는 제4기 기후 환경 변화를 복원하거나, 농경 활동의 유무와 가능성을 규명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황성수, 1992; 황상일 외, 2010). 식물규소체의 대부분은 규소(SiO2)로 구성되어 있어 물리·화학적 풍화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여 식물체가 고사하고 섬유질이 분해된 이후에도 토양 속에 장기간 보존된다.
무기염류 구조물을 통칭하는 식물규소체는 무엇으로 구성되어 토양 속에 장기간 보존되며, 어떠한 장점이 있나요? 식물 세포와 조직 사이에 형성된 여러 무기염류 구조물을 통칭하는 식물규소체(phytolith, 植物硅素體)는 특히, 벼과식물에서 다양한 형태로 많이 산출되고, 분석 결과는 제4기 기후 환경 변화를 복원하거나, 농경 활동의 유무와 가능성을 규명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황성수, 1992; 황상일 외, 2010). 식물규소체의 대부분은 규소(SiO2)로 구성되어 있어 물리·화학적 풍화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여 식물체가 고사하고 섬유질이 분해된 이후에도 토양 속에 장기간 보존된다. 또한 식물규소체는 농경의 직접적인 지시자인 벼과(Gramineae) 식물에서 주로 생성되며, 습지토양뿐만 아니라 화분을 찾기 어려운 건륙성 토양에서도 쉽게 발견되는 장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