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침의 신경생리학적 기전 및 경혈의 특이성을 밝혀내기 위해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unctional MRI, fMRI)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fMRI 영상은 손가락 마주치기검사(Finger Taps test), 깜박이는 체크무늬 흑백영상에 의한 시각자극과 같은 연구주제에서 동일한 대상자의 반복되는 동일 검사에서 유의한 편차가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다. 하물며 다른 개별 대상자의 fMRI 검사를 이용한 자침의 효과 및 경혈의 특이성 연구에 있어서 그룹분석 결과를 확고하게 하기 위해서는 개별 대상자들 간의 편차의 정도를 파악하고 개별데이터가 그룹 분석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때 fMRI를 이용한 연구의 한계와 그 극복 방안에 대하여 본질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MRI를 이용한 침 연구에서 개별분석 결과가 그룹분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계획되었다. 신체 건강한 성인 남자 15명을 대상으로 3.0 테슬러 자기공명영상장치를 이용하였다. 개인별 뇌구조영상과 뇌기능영상을 얻었으며, 뇌기능 영상은 진짜 침과 거짓 침 자극을 실시하였다. 자극방법은 블록방식(Block design)으로 30초의 비자극시간과 45초의 자극 시간을 3회 반복하여 총 3분 45초간 시행하였다. 자극은 우측 다리의 족삼리(ST36)를 이용하였고, 자침한 후 2 Hz의 속도로 침이 좌우로 반복하여 회전하도록 하여 자극을 주었다. 거짓 침 자극은 끝이 둥근 모양의 침으로 실시하였다. 뇌기능적 영상은 BOLD (Blood oxygenation level dependent) 경사자장 EPI (echo-planar imaging) 영상기법을 이용하였다. 각 피험자에 대한 개별 분석과 전체 피험자에 대한 그룹분석을 하였다. 족삼리 자침을 통한 개별분석 결과 거짓 침과 진짜 침 자극에 의한 뇌 활성화 반응은 개별 대상자들간의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일부 대상자들에서만 나타난 뇌 활성화 반응의 결과가 그룹 분석의 결과에 크게 반영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fMRI를 이용한 자침의 효과 및 경혈의 특이성 연구에 있어서 그룹분석 결과를 확고하게 하기 위해서는 개별 데이터들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functional MRI has been used to investigate the neurobiological mechanisms of acupuncture and the specificity of acupoint. The group data tend to be regarded as more important than the individual data in the most of previous studi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의 논문 중에서 개별분석 결과의 중요성을 언급한 논문이 거의 없고, 또한 개별 분석 결과가 그룹분석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별 분석과 그룹 분석을 통하여 개별 데이터의 다양성이 그룹 분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15명의 건강한 남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침 자극은 족삼리(ST36)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개체별 다양성이 그룹 분석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개별분석과 그룹분석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일부 대상자들의 뇌 활성화 반응이 그룹 분석 결과에 반영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는 fMRI를 이용한 자침의 효과 및 경혈의 특이성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그룹분석 결과를 확고하게 하기 위해서는 개별 데이터들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 본 연구에서는 개체 별 다양성이 그룹분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개별과 그룹분석을 이용한 활성화 반응과 비활성화 반응을 보인 영역들을 분석하였다. 족삼리 자침을 통한 개별분석 결과 진짜 침 자극에 의한 뇌 활성화 반응은 개별 대상자들 간의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사실은 일부 몇 명의 대상자들에서만 나타난 뇌 활성화 반응의 결과가 그룹 분석의 결과에 크게 반영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 본 연구에서는 자침에 의한 개체별 다양성의 원인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개체별 다양성의 원인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연구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자침 연구에 있어서 개별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것은 그룹 분석 결과가 일부 대상자의 개별분석결과의 영향에 의한 것인지 아닌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므로 그룹분석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이 될 수 있다.
  •  fMRI를 이용하여 자침이 뇌 기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전 연구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정 경혈(acupoint)의 자극과 뇌의 특정 영역과의 관계를 알아보려고 하였다.1,3-8) 둘째, 여러 경혈 또는 경혈이 아닌 점을 자극하여 각 경혈 자극에 의한 뇌 활성화 영역의 기능을 분석하여 경혈의 특이성(specificity)을 알아보는 연구가 이루어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MRI가 자침에 의한 신경생리학 기전을 연구하는 유용한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는 이유는? 최근 뇌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unctional MRI, fMRI)은 비침습적이고 공간 및 시간적 해상력(temporal and spatial resolution)이 높고 여러 자극에 대한 대뇌피질활동의 생리변화를 관찰할 수 있어 자침(acupuncture stimulation)에 의한 신경생리학 기전을 연구하는 유용한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1,2)
경혈의 특이성에 대해 지난 연구들은 어떤 보고를 하고 있는가? 8,17-20) 마지막으로 자침의 재현성에 관한 연구도 진행되었다.2) 경혈의 특이성 유무와 관련하여 이전 연구들을 살펴보면, 경혈의 특이성을 의심하는 보고도 있었지만,5,7,12) 대체로 경혈의 특이성을 인정하는 보고들이 많았다.1,3,4,8,9,11,13-16,19,20)
fMRI를 이용하여 자침이 뇌 기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전 연구로는 무엇이 있는가?  fMRI를 이용하여 자침이 뇌 기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전 연구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정 경혈(acupoint)의 자극과 뇌의 특정 영역과의 관계를 알아보려고 하였다.1,3-8) 둘째, 여러 경혈 또는 경혈이 아닌 점을 자극하여 각 경혈 자극에 의한 뇌 활성화 영역의 기능을 분석하여 경혈의 특이성(specificity)을 알아보는 연구가 이루어졌다.9-12) 셋째, 동일 경혈에서 자극방법에 따른 뇌 활성화 변화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13-16) 넷째, 경혈 자극에 의해 시상하부, 변연계 등 통증경로와 관련된 통합적인 체계(network)의 활성화 반응을 보고하였다.8,17-20) 마지막으로 자침의 재현성에 관한 연구도 진행되었다.2) 경혈의 특이성 유무와 관련하여 이전 연구들을 살펴보면, 경혈의 특이성을 의심하는 보고도 있었지만,5,7,12) 대체로 경혈의 특이성을 인정하는 보고들이 많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Parrish TB, Schaeffer A, Catanese M, Rogel MJ: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real and sham acupuncture. Noninvasively measuring cortical activation from acupuncture. IEEE Eng Med Biol Mag 24:35-40 (2005) 

  2. Kong J, Gollub RL, Webb JM, et al: Test-retest study of fMRI signal change evoked by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Neuroimage 34:1171-1181 (2007) 

  3. Jeun SS, Kim JS, Kim BS, et al: Acupuncture stimulation for motor cortex activities: a 3T fMRI study. Am J Chin Med 33: 573-578 (2005) 

  4. Yoo SS, Teh EK, Blinder RA, Jolesz FA: Modulation of cerebellar activities by acupuncture stimulation: evidence from fMRI study. Neuroimage 22:932-940 (2004) 

  5. Li G, Huang L, Cheung RT, et al: Cortical activations upon stimulation of the sensorimotor-implicated acupoints. Magn Reson Imaging 22:639-644 (2004) 

  6. Li G, Cheung RT, Ma QY, Yang ES: Visual cortical activations on fMRI upon stimulation of the vision-implicated acupoints. Neuroreport 14:669-673 (2003) 

  7. Gareus IK, Lacour M, Schulte AC, Hennig J: Is there a BOLD response of the visual cortex on stimulation of the vision- related acupoint GB 37? J Magn Reson Imaging 15:227-232 (2002) 

  8. Wu MT, Hsieh JC, Xiong J, et al: Central nervous pathway for acupuncture stimulation: localization of processing with functional MR imaging of the brain--preliminary experience. Radiology 212:133-141 (1999) 

  9. Zhang WT, Jin Z, Luo F, et al: Evidence from brain imaging with fMRI supporting functional specificity of acupoints in humans. Neurosci Lett 354:50-53 (2004) 

  10. Ueda Y, Hayashi K, Kuriowa K: The application of fMRI to basic experiments in acupuncture. The effects of stimulus points and content on cerebral activities and responses. IEEE Eng Med Biol Mag 24:47-51 (2005) 

  11. Yan B, Li K, Xu J, et al: Acupoint-specific fMRI patterns in human brain. Neurosci Lett 383:236-240 (2005) 

  12. Cho ZH, Oleson TD, Alimi D, Niemtzow RC: Acupuncture: the search for biologic evidence with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techniques. J Altern Complement Med 8:399-401 (2002) 

  13. Wu MT, Sheen JM, Chuang KH, et al: Neuronal specificity of acupuncture response: a fMRI study with electroacupuncture. Neuroimage 16:1028-1037 (2002) 

  14. Fang JL, Krings T, Weidemann J, Meister IG, Thron A: Functional MRI in healthy subjects during acupuncture: different effects of needle rotation in real and false acupoints. Neuroradiology 46:359-362 (2004) 

  15. Zhang WT, Jin Z, Cui GH, et al: Relations between brain network activation and analgesic effect induced by low vs. high frequency electrical acupoint stimulation in different subjects: a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Brain Res 982: 168-178 (2003) 

  16. Kong J, Ma L, Gollub RL, et al: A pilot study of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brain during manual and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of acupuncture point (LI-4 Hegu) in normal subjects reveals differential brain activation between methods. J Altern Complement Med 8:411-419 (2002) 

  17. Hui KK, Liu J, Makris N, et al: Acupuncture modulates the limbic system and subcortical gray structures of the human brain: evidence from fMRI studies in normal subjects. Hum Brain Mapp 9:13-25 (2000) 

  18. Napadow V, Makris N, Liu J, et al: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versus manual acupuncture on the human brain as measured by fMRI. Hum Brain Mapp 24:193-205 (2005) 

  19. Liu WC, Feldman SC, Cook DB, et al: fMRI study of acupuncture- induced periaqueductal gray activity in humans. Neuroreport 15:1937-1940 (2004) 

  20. Zhang WT, Jin Z, Huang J, et al: Modulation of cold pain in human brain by electric acupoint stimulation: evidence from fMRI. Neuroreport 14:1591-1596 (2003) 

  21. McGonigle DJ, Howseman AM, Athwal BS, et al: Variability in fMRI: an examination of intersession differences. Neuroimage 11:708-734 (2000) 

  22. Waldvogel D, van Gelderen P, Immisch I, Pfeiffer C, Hallett M: The variability of serial fMRI data: correlation between a visual and a motor task. Neuroreport 11:3843-3847 (2000) 

  23. Goldman RI, Wei CY, Philiastides MG, et al: Single-trial discrimination for integrating simultaneous EEG and fMRI: identifying cortical areas contributing to trial-to-trial variability in the auditory oddball task. Neuroimage 47:136-147 (2009) 

  24. Gron G, Bittner D, Schmitz B, et al: Variability in memory performance in aged healthy individuals: an fMRI study. Neurobiol Aging 24:453-462 (2003) 

  25. Cote C, Beauregard M, Girard A, et al: Individual variation in neural correlates of sadness in children: a twin fMRI study. Hum Brain Mapp 28:482-487 (2007) 

  26. Xiao YY, Chen XK, Du L, et al: The brain mapping on reinforcement acupuncture stimulation at ST36 (zusanli) evidenced by fMRI. Conf Proc IEEE Eng Med Biol Soc 1:1036-1039 (2006) 

  27. MacPherson H, Green G, Nevado A, et al: Brain imaging of acupuncture: comparing superficial with deep needling. Neurosci Lett 434:144-149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