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갱년기 안면홍조에 대한 매선치료 : 체계적 문헌고찰
Systematic Review of Acupoint Catgut Embedding Therapy for Climacteric Hot Flush 원문보기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v.30 no.2, 2017년, pp.71 - 80  

송미화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  홍가경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  최창민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ystematic review was to overview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cupoint catgut embedding for climacteric hot flush. Methods: We searched articles from CNKI, Pubmed CENTRAL, Koreantk, Oasis online databases. After searching the articles, we performed quality ass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외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갱년기 안면홍조에 매선 치료를 활용한 임상연구들을 조사하여 그 연구 현황을 분석하였다. 무작위 대조 임상연구의 분석결과 매선치료가 갱년기 안면홍조에 대하여 임상적으로 치료율에 있어 호르몬대체요법에 비해 유의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중국에서 수행된 연구이며, 환자에 따른 변증은 따로 시행하지 않고 腎兪, 命門, 關元 穴 위주로 心兪, 肝兪, 三陰交 등을 배합한 매선치료와 호르몬대체요법 (Ethinylestradiol)의 효과를 비교한 연구이다. 대조군에서는 oryzanol이 병행 투여되었다.
  • 최근 임상에서 이러한 매선치료의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갱년기 안면홍조 증상에의 매선치료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시행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안면홍조의 생리기전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정확히 알려진 바는 없지만, 가장 유력한 가설은 시상하부에서 기원하는 것으로 에스트로겐의 감소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즉 에스트로겐의 감소에 의해 중추신경계의 도파민(dopamine)분비가 감소하고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rine) 분비가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성선자극호르몬 분비가 증가하여 시상하부의 체온조절 중추가 자극을 받아 시상하부의 체온조절 set point나 neutral zone이 감소되어 생리적 반응으로 안면 홍조가 오게 되는데, 이러한 set point의 변화가 내부적, 환경적 요인에 반응하여 강한 발열감을 증가시켜 혈관확장이나 땀과 열손실반응을 활성화시키게 된다는 가설이다. 양방에서의 이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은 에스트로겐 요법이다 2)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갱년기란? 갱년기(climacteric)란 여성의 일생에서 생식능력이 끝나는 시기라는 생물학적 개념과 함께 사회⋅문화적 개념을 내포하고 있으며, 폐경전과 폐경기 동안 그리고 폐경기 이후의 일정기간을 포함 하는 폐경전후기(perimenopausal phases) 를 의미한다. 폐경전의 호르몬 변화와 뚜렷한 증상을 나타내는 시점은 일률적 이지 않을 수 있으며, 대개 40대 중반 또는 후반에 점차적으로 또는 갑자기 시작된다.
갱년기는 언제쯤 시작되는가? 갱년기(climacteric)란 여성의 일생에서 생식능력이 끝나는 시기라는 생물학적 개념과 함께 사회⋅문화적 개념을 내포하고 있으며, 폐경전과 폐경기 동안 그리고 폐경기 이후의 일정기간을 포함 하는 폐경전후기(perimenopausal phases) 를 의미한다. 폐경전의 호르몬 변화와 뚜렷한 증상을 나타내는 시점은 일률적 이지 않을 수 있으며, 대개 40대 중반 또는 후반에 점차적으로 또는 갑자기 시작된다. 갱년기 증후군(climacteric syndrome)이란 여성의 생식능력이 감소되고 소실되는 전환시기, 즉 생식기에서 비생식기로 이행되는 기간에 나타나는 다양한 증상들을 말한다.
갱년기 증후군이란 무엇인가? 폐경전의 호르몬 변화와 뚜렷한 증상을 나타내는 시점은 일률적 이지 않을 수 있으며, 대개 40대 중반 또는 후반에 점차적으로 또는 갑자기 시작된다. 갱년기 증후군(climacteric syndrome)이란 여성의 생식능력이 감소되고 소실되는 전환시기, 즉 생식기에서 비생식기로 이행되는 기간에 나타나는 다양한 증상들을 말한다. 한의학적으로는 서양의학에서의 갱년기 증후군과 같이 하나의 증후군으로 관찰된 것은 찾아보기 힘들지만 이러한 시기에 많이 발생하는 증상과 관련된 내용들로는 天癸菓期不止方論, 年老涇水 服行(年老經斷服行), 崩漏(年老血崩), 帶 下後, 臟躁, 百合病 등이 대표적이다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bstetrics and Gynecology. Korean Medicine Obstetrics & Gynecology 2. 3rd edition. Seoul:Eui Seong Dang Publishing. 2016:228-60. 

  2. Korean Society of Obsterics and Gynecology, Gynecology 5th edition. Seoul:Go Lyeo Medicine Publishing. 2015:655-82. 

  3. Park HB, et al. The efficacy and safety of the combined preparation of Black Cohosh and St. John's wort in menopausal women. J Korean Obstet Gynecol. 2007;50(1):142-8. 

  4. Park KI, et al. A Case Study on Short Term Hospitalization Program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Postmenopausal Hot Flush and Sweating. J Korean Obstet Gynecol. 2013;26(3):114-24. 

  5. Lee YH. 5 Cases Report of Climacteric Symptoms with Shihogayonggolmoryo-tang. J Korean Obstet Gynecol. 2013;26(1):121-34. 

  6. Shin KS, et al. Clinical Case Study on the Effect of Danchisoyosan Utilizing for Menopause. J Korean Obstet Gynecol. 2003;16(4):77-82. 

  7. Ban HR, et al. The Clinical Study of 15 Menopausal Disorder Patient used Insamyang-yeongtang. J Korean Obstet Gynecol. 2006;19(3):257-66. 

  8. Shin HJ, Yoo DY. A Case Report of the Climacteric Syndrome Patient Treated with Gamiguibitang. Deajeon Journal of the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2011;20(1):105-10. 

  9. Roh JJ, Kim DI. A Study on the Methodology of Acupuncture Clinical Trial on the Postmenopausal and Perimenopausal Hot Flashes.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rics & Gynecology. 2008;21(4):193-206. 

  10. The society of Korean Acupuncture. Acupuncture Medicine. Seoul:Jip Moon Dang Publishing. 2012:200-4. 

  11. Kim SY, et al.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1:66. 

  12. Yim YK, et al. Details of meridians & acupoints volume: a guidebook for college students. 6th. Daejeon:Jong Ryeo Tree Publishing. 2012:282-92, 458-60, 467-71, 482-5, 968-75, 1053-5. 

  13. The Society of Korean Acupuncture. Acupuncture Medicine. Seoul:Hanmi Publishing. 2016:18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