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녹두나물 재배온도에 따른 페놀화합물 함량과 DPPH, ADH 및 ALDH 활성
Phenolic Compounds Content and DPPH, ADH, ALDH Activities of Mungbean Sprout Based on Growth Temperatur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4 no.1, 2009년, pp.1 - 6  

김동관 (전남농업기술원) ,  손동모 (전남농업기술원) ,  천상욱 ((주)이파리넷) ,  이경동 (동신대학교) ,  김경호 (농촌진흥청) ,  임요섭 (순천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녹두나물 재배온도($15{\sim}30{\pm}1^{\circ}C$)에 따른 나물의 생육과 수율, 페놀화합물 함량, DPPH와 ADH 및 ALDH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1. 녹두나물 재배온도가 높을수록 나물 생산수율은 높고, 경실비율은 낮았으나 $25{\pm}1^{\circ}C$$30{\pm}1^{\circ}C$는 큰 차이가 없었다. 2. 녹두나물의 ethanol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은 재배온도 $15{\pm}1$, $20{\pm}1$, $25{\pm}1^{\circ}C$,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재배온도 $15{\pm}1$, $20{\pm}1^{\circ}C$에서 많았다. 3. 녹두나물 ethanol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재배온도가 낮을수록 높았고, ADH와 ALDH활성은 재배온도 간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4. 이상의 녹두나물 생산수율, 페놀화합물 함량, 생리활성 등을 고려해볼 때 녹두나물 재배 최적온도는 $20{\sim}25^{\circ}C$로 보아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growth temperature of mungbean sprouts ($15{\sim}30{\pm}1^{\circ}C$) on the yield ratio,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and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ADH (alcohol dehydrogenase), ALDH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ies of the sprou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2)와 같은 결과는 있으나 녹두나물의 ADH, ALDH의 활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녹두나물 재배온도가 나물의 생육과 품질, 페놀화합물 함량, 항산화활성, ADH와 ALDH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기능성 녹두나물 생산기술 수립에 적용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녹두나물 재배온도(15~30±1℃)에 따른 나물의 생육과 수율, 페놀화합물 함량, DPPH와 ADH 및 ALDH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내에 알콜이 섭취되면 ADH와 ALDH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 2000)로서 숙취의 원인은 탈수, 알콜 및 알콜대사물(아세트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아세톤 등)의 독성, 흡수 장애에 의한 영양소(혈당, 비타민, 무기질 등) 결핍으로 알려져 있다. 섭취된 체내의 알콜은 ADH(alcohol dehydrogenase)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가 되고 다시 ALDH(aldehyde dehydrogenase)에 의해 산화되어 acetic acid로 되고 일부는 요나 CO2로 배설된다고 보고(Lieber, 1994)되고 있다. 그러한 알콜은 섭취량에 따라 간 대사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알코올 그 자체보다는 산화과정에서 생성된 아세트알데히드와 NADH가 간세포에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고 한다. 따라서 알코올의 대사율은 ADH와 ALDH의 활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의해 조절된다.
페놀화합물은 어떤 종류가 주류인가? , 1998). 페놀화합물은 단순 페놀류, 페놀산 및 hydroxycinnamic acid 파생물질 그리고 flavonoids 등 세 가지 종류가 주류를 이루며 이들은 다양한 식품영양학적 특성을 지니면서도 항산화성, 항돌연변이성 및 항암성을 지니고 있다(Namiki, 1990). 숙취는 술을 마신 후에 나타나는 두통, 구토, 오한, 식은땀을 수반하는 현상으로 객관적인 제반의 증상으로는 인식과 운동능력 저하, 혈액학적 변화 및 호르몬의 변화(Wiese et al.
녹두나물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녹두나물은 vitamin과 무기질의 급원으로서 우수한 식품이나 우리나라의 경우 콩나물에 비해 소비량이 한정되어 있다. 녹두나물에 관한 연구로 침종 후 aeration 기간과 온도에 따른 녹두나물 생장 변화(Ka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e, K. G., S. W. Nam, K. N. Kim, and Y. H. Hwang. 2002. Effect of microbe control and water temperature on early growth and yield of soybean sprouts. Korean J. Crop Sci. 47(6) : 453-458 

  2. Choi, H. D., S. S. Kim, S. R. Kim, and B. Y. Lee. 2000. Effect of irrigation solutions on growth and rot of soybean sprou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5) : 1122-1127 

  3. Choi, I. H., S. O. Kim, K. S. Kim, and M. Y. Lee. 1998. Effect of mungbean sprouts juice on cadmium-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5):980-986 

  4. Duthie, G. C., and Alan. 2000. Plant-derived phenolic antioxidants. Current opinion in clinical nutrition and metabolic care.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3 : 447-45 

  5. Kang, B. K., S. T. Jung, and S. J. Kim. 2002. Effects of vegetable extracts by solvent separation on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Korean J. Food Sci. Technol. 43(2) : 244-248 

  6. Kang, G. H. 2001. Antioxidative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s. M. 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7. Kang, J. H., B. S. Jeon, Y. J. Cho, C. J. Park, S. Y. Yoon, and S. H. Jeon. 2004a. Effects of aeration temperature and period after BA treatment on growth and lateral root formation of soybean sprouts. Korean J. Crop Sci. 49(3) : 216- 221 

  8. Kang, J. H., Y. S. Ryu, S. Y. Yoon, S. H. Jeon, and S. H. Cho. 2004b. Effects of aeration period and temperature after imbibition on growth of mungbean sprouts. Koera J. Crop Sci. 49(6) : 472-476 

  9. Kim, H. H., B. S. Jun, S. K. Kim, J. Y. Cha, and Y. S. Cho. 2000a. Poly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by extracts from seed, sprout and flower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 1127-1132 

  10. Kim, K. J. 1982. Changes of lipid and free fatty acid in mungbean sprouts during growth.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2) : 85-89 

  11. Kim, K. J. 1981. Changes of nitrogen compounds and free amino acid of mungbean sprout.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19(1) : 25-31 

  12. Kim, S. L., J. J. Hwang, Y. K. Son, J. Song, K. Y. Park, and K. S. Choi. 2000b. Culture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clean soybean sprouts. I. Effect on growth of soybean sprouts under the temperature control of culture and water supply. Korea Soybean Digest. 17(1) : 69-75 

  13. Kim, S. L., J. Song, J. C. Song, J. J. Hwang, and H. S. Hur. 2000c. Culture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clean soybean sprouts. II. Effect on the growth of soybean sprouts according to interval and quantity of water supply. Korea Soybean Digest. 17(1) : 76-83 

  14. Lieber, C. S. 1994. Alcohol and the liver: Update. Gastroenterology 106 : 1085-1090 

  15. Lister, C. E., J. E. Lancaster, and K. H. Sutton. 1994. Developmental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and composition of flavonoids in skin of a red and a green apple cultivar. J. Sci. Food Agric. 64 : 155-161 

  16. Namiki, M. 1990. Critical reviews in Food Sci. Nutr. 29 : 273-300 

  17. Nowak, K., R. Kujawa, and R. Zademowski. 1992. Antioxidative and antibacteral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in rapeseed. Fat Sci. Technol. 94 : 149-152 

  18. Raisin, A., J. K., and E. A. Chapman. 1976. Membrane phase change in chilling-sensitive Vigna radiata and their significance to growth. Australian J. Pl. Physiol. 3 : 291-299 

  19. Simon, B., E. W., A. Minchin, N. M. McMenamin, and J. M. Smith. 1976. The low temperature limit for seed germination. New Phytol. 301-311 

  20. Velioglu, Y. S., G. Mazza, L. Gao, and B. D. Oomah.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s,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ul. Food Chem. 46:4113-4117 

  21. Wiese, J. G., M. G. Shlipak, and W. S. Browner. 2000. The alcohol hangover. Ann. Inter. Med. 132(11) : 897-9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