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공분야 기후변화 대응 현황 - 최근 ICAO 고위급회의 논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Global Initiatives on Greenhouse Gas Reduction in the International Aviation 원문보기

航空宇宙法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air and space law, v.24 no.2, 2009년, pp.47 - 67  

맹성규 (국토해양부 항공안전정책관) ,  황호원 (한국항공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국제항공부문의 온실가스 배출 규제문제가 국제적으로 뜨거운 이슈가 되고 있다. 항공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 산업분야에서 배출되는 양의 극히 일부(약 2%)를 차지하고 있지만 여타 분야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와 마찬가지로 지구온난화의 한 요인으로 지적되면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한 국제대응체제를 마련하기 위한 논의가 한참 진행중이다. 그러나, 국제항공의 경우 국내 공항이나 공역 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의 영역에 까지 활동이 미치게 되어 온실가스 배출통계가 어렵고 UN기후변화협약의 "공통의 차별화된 책임(CBDR: Common but Differentiated Responsibility) 원칙과 시카고협약의 균등기회(Fair opportunity) 원칙간 충돌이 생겨나는 등 법률적 기술적 쟁점들이 남아있어 국제적으로 통일된 메커니즘이 확립되기까지는 난항이 예상되고 있다. UN은 1990년 기후변화협약 채택과 1997년 교토의정서 채택 등을 통해 각국의 선 개도국간 차별화된 책임원칙에 입각하여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차별 적용하고 있고, 국제항공부문에 대하여는 ICAO를 중심으로 국제적 대응방안을 마련토록 하였다. 이에 따라 ICAO는 지난 2009.10.7~9일간 몬트리올에서 '국제항공기후변화 고위급회의’를 개최하여 제15차 기후변화협약당사자회의에 보고할 국제항공부문의 온실가스대응방안을 마련하였다. 주요내용으로 "글로벌 온실가스 감축의 기본원칙", "달성목표(Aspirational goals) 및 이행방안(Implementation options)", "배출저감 달성을 위한 전략 및 조치", "이행상황 점검을 위한 수단", "재원조달 및 인적자원 확보문제"등 핵심사항에 대한 추진방안이 포함되었다. 우리나라도 2013년 이후 의무 배출량 감축국가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은 바, ICAO 대응방안을 면밀히 분석하여 종합적인 항공부문 온실가스 감축대책을 마련하고, 제15차 기후변화협약당사국회의 이후 대두될 주요쟁점에 대한 논의에 대비하는 등 선제적 조치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greenhouse gas (GHG) reduction has become high priority issue in international aviation. GHG emissions from the aviation sector only accounts for approximately 2 percent of total GHG emissions in the world. However, as with GHG gases in other sectors, it has been pointed out as a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다만,“보다 강화된 연료효율 개선 목표 설정”,“시장기반체제”등은 참가국의 컨센서스를 이루지 못함에 따라 목표설정의 경우에는 국가의 처해진 상황 등을 고려하여 목표설정을 추진하고, 시장기반체제의 경우 ICAO가 정하는 원칙에 따라 국가/지역별로 합의에 의거 이행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마지막으로 향후 조치계획으로서 17개 권고사항을 제시함으로 본격적인 기후변화 대응책 마련을 추진하였다.
  • 첫째, 달성목표(aspirational goals)로 단기(2012년까지)적으로 매년 2% 개선, 중기(2013~2020/2025년)적으로 매년 2~2.5% 개선, 장기(2021/2026~2050년)적으로 매년 2~3% 개선 추진에 내용을 제안하였다. 다만, 중장기 목표는 향후 기술개발 정도와 체약국의 개선의지 등에 따라 가변적임을 언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제항공에 적용할 단일 메커니즘 도입과 관련한 논의과정에서의 주요 쟁점들은 무엇인가? 첫째는 UNFCCC의 공동의 차별화된 책임과 ICAO의 비차별 원칙의 조화문제이다. 개도국들은 국제항공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협상(안) 마련에 있어서 타 분야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개도국이 역사적 책임에 입각한 UNFCCC의 공통의 차별화된 책임과 규정을 주장하하고 있으며, 의무 감축은 선진국에 국한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반면, 선진국은 각 국가별 능력 및 국제항공발전을 위해 ICAO의 시카고조약에 언급된 비차별과 동등하고 공정한 기회부여 원칙에 따라 전 세계 모든 국가에 공통으로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국제항공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글로벌대응체제의 진전을 위해서는 이분야의 상충된 차이점의 극복을 위한 합리적인 개선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특히, UNFCCC 협상회의에서 국제항공 부문만의 별도협상안 마련을 진행 하는 부분별 접근(Sectoral Approach)이 결정될 경우 대응안 마련에 대한 책임이 ICAO에 있는 만큼 국제민간항공기구의 기본바탕인 시카고조약과 기후변화협상의 바탕인 공통의 차별화된 책임과의 상충점은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쟁점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둘째는 국제항공부문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술기준의 마련이다. 대체연료(Alternate fuel) 효율성 측정기준 개발, 항공기에 적용할 “CO2 표준 (standard)” 개발, 체약국 연간 연료소비 및 교통자료제출 메커니즘 도입 등 항공부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구체적인 기술기준 등이 시급히 추진되어야 할 과제들이다. 셋째는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중 항공부문이 차지하는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통계량의 수집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모든 체약국이 합의하여 국제항공부문의 기후변화 대응방안이 마련되었다면, 이를 각 체약국이 이행하기 위해서는 얼마만큼의 감축이 가능한가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데이터가 필요할 것이다. 각 국가가 얼마나 배출하고 있는지에 대한 표준화된 측정 가능하고, 보고 가능하며, 검증 가능한 배출량 관리가 객관적으로 이루어 져야만 보다 세부적인 항공부문의 감축이행방안이 도출 될 수 있을 것이다.
항공분야에 있어 환경과 관련하여 쟁점이 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최근 국제사회는 국제항공운송의 환경규제를 둘러싸고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항공분야에 있어 환경과 관련하여 이슈가 되고 있는 것은 크게 보면 항공기가 이․착륙하는 동안 공항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항공기 엔진에서 배출되는 CO2와 NOx 등의 온실가스 두 가지1)로 대별된다.
항공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항공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살펴보면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가운데 약 2%를 점유2)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5년을 기준으로 할 때 총 온실가스 배출량은 594백만 톤3)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