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수 추출물과 Kaempferol의 항산화 및 항암작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Extract of Stamens of Nelumbo nucifera and Kaempferol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24 no.1, 2009년, pp.23 - 33  

한두석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  전성우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  김현진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clarify the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extract of stamens of Nelumbo nucifera and Kaempferol. Methods : Antioxidant effect was measured by 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 for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Kaempferol이 함유되어 있는 연수의 ethyl acetate 추출물과 Kaempferol의 생리활성(항산화 작용과 항암작용)과 그 기전을 명확히 밝히기 위하여 전자공여능,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유사활성 및 지질과산화능을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여 비타민 E의 항산화능과 비교하였으며 별아교종세포에 대한 항암효과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화란? 노화란 생체의 기능과 신진대사가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능력이 감소하는 현상으로 외부에서 가장 쉽게 확인 할 수 있는 현상은 얼굴의 피부색이 불균일 해지거나 피부가 건조해지고 각질이 많아진다. 최근 이러한 피부 노화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활성산소가 주목 받고 있다6).
각종 식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데 사용하는 용매제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각종 식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데는 다양한 용매제인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ethyl acetate 등이 사용되는데 이들 용매제를 사용한 추출물은 생리활성이 약간씩 다르게 나타난다. ethyl acetate를 이용한 추출물의 생리활성은 비교적 다른 용매제에 의한 추출물보다 생리활성이 좋은 것으로 보고되었다33).
연수 추출물과 Keampferol의 항산화능과 항암효과를 확인할 목적으로 항산화능은 전자공여능을 확인할 수 있는 DPPH 라디칼 소거능, 슈퍼옥사이드 디스뮤 타제를 확인 할 수 있는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의 유사활성 및 지질과산화능으로 측정하였다. 항암효과는 MTT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독성을 산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1. 비타민 E, Kaempferol 및 연수의 ethyl acetate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증가시켰고, DPPH 라디칼 소거능의 증가속도는비례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비타민 E > Kaempferol > 연수의 ethyl acetate 추출물 순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을 각각의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비타민 E, Kaempferol은 25 uM농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연수의 ethyl acetate 추출물은 50 uM 농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비타민 E, Kaempferol 및 연수의 ethyl acetate 추출물의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의 유사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증가비율은 비례하였으며, 100 uM에서의 증가비율은 Kaempferol > 비타민 E > 연수의 ethyl acetate 추출물 순이었다.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유사활성은 각각의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비타민 E, Kaempferol 및 연수의 ethyl acetate 추출물 모두에서 25 uM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비타민 E, Kaempferol 및 연수의 ethyl acetate 추출물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조군의 지질과산화의 증가에 반비례하여 지질과산화가 감소하였다. 비타민 E, Kaempferol 및 연수의 ethyl acetate 추출물의 지질과산화능은 24시간째에 각각 67%, 75% 및 67% 이었고, 96시간째에는 각각 98%, 98% 및 95% 이었으며 24시간째부터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Kaempferol과 연수의 ethyl acetate 추출물은 별아 교종세포의 성장률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100 uM 농도에서는 Kaempferol이 57%까지 ethyl acetate 추출물이 70%까지 감소시켰다. Kaempferol과 Ethyl acetate 추출물의 IC50농도는 각각 226.5 uM 과 268.6 uM 농도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charya K, Samui K, Rai M, Dutta BB, Acharya R. Antioxidant and nitric oxide synthase activation properties of Auricularia auricula. Indian J Exp Biol. 2004 ; 42(5) : 538-40. 

  2. Cardoso SM, Rego AC, Penacho N, Oliveira CR. Apoptotic cell death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in NT2 parental and mitochondrial DNA depleted cells. Neurochem Int. 2004 ; 45(5) : 693-8. 

  3. Ozdil S, Yanardag R, Koyuturk M, Bolkent S, Arbak S. Protective Effects of Ascorbic Acid, di-a-Tocopherol Acetate, and Sodium Selenate on Ethanol-Induced Gastric Mucosal Injury of Rats. Bio Trace Elem Res. 2004 ; 99(1-3) : 173-90. 

  4. Cross CE, Halliwell B, Borish ET, Pryor WA, Ames BN, Saul RL, McCord JM, Harman D. Oxygen radicals and human disease. Ann Intern Med. 1987 ; 107 : 526-45. 

  5. Adelman R, Saul LR, Ames NB. Oxidative damage to DNA: relation to species metabolic rate and life span. Proc Natl Acad Sci USA. 1998 ; 85 : 2706-08. 

  6. Chung HY, Yokozawa T. Study on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Mechanism of Epicatechin 3-O-gallate Isolated from Green Tea.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1995 ; 3 : 65-81. 

  7. Harman D. Aging; A theory based on free radical and radical chemistry. J Gerontology. 1956 ; 11 : 298. 

  8. Barry H, Okezie IA, Ellis H. DNA and free radical. West Sussex, England : Ellis Horwood. 1993 ; 1. 

  9. Jung HA, Kim JE, Chung HY, Choi JS. Antioxidant principles of Nelumbo nucifera 

  10. Gates MA, Tworoger SS, Hecht JL, De Vivo I, Rosner B, Hankinson SE. A prospective study of dietary flavonoid intake and incidence of epithelial ovarian cancer. Int J Cancer. 2007 ; 121(10) : 2225-32. 

  11. Prakash D, Suri S, Upadhyay G, Singh BN. Total phenol,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some medicinal plants. Int J Food Sci Nutr. 2007 ; 58(1) : 18-28. 

  12. Jung HA, Jung MJ, Kim JY, Chung HY, Choi JS. Inhibitory activity of flavonoids from Prunus davidiana and other flavonoids on total ROS and hydroxyl radical generation. Arch Pharm Res. 2003 ; 26(10) : 809-15. 

  13. Marzouk MS, Soliman FM, Shehata IA, Rabee M, Fawzy GA. Flavonoid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Jussiaea repens. Nat Prod Res. 2007 ; 21(5) : 436-43. 

  14. Kajiya K, Ichiba M, Kuwabara M, Kumazawa S, Nakayama T. Role of lipophilicity and hydrogen peroxide formation in the cytotoxicity of flavonols. Biosci Biotechnol Biochem. 2001 ; 65(5) : 1227-9. 

  15. Nakayama T, Yamada M, Osawa T, Kawakishi S. Pression of active oxygen-induced cytotoxicity by flavonoids. Biochem Pharmacol. 1993 ; 45(1) : 265-7. 

  16. Silva MM, Santos MR, Caroco G, Rocha R, Justino G, Mira L. Structure-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flavonoids: a reexamination. Free Radic Res. 2002 ; 36(11) : 1219-27. 

  17. Kaneko T, Baba N. Protective effect of flavonoids on endothelial cells against linoleic acid hydroperoxide-induced toxicity. Biosci Biotechnol Biochem. 1999 ; 63(2) : 323-8. 

  18. Montana MP, Pappano N, Giordano SO, Molina P, Debattista NB, Garcia NA. On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three synthetic flavonols. Pharmazie. 2007 ; 62(1) : 72-6. 

  19. Wang L, Tu YC, Lian TW, Hung JT, Yen JH, Wu MJ. Distinctiv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flavonols. J Agric Food Chem. 2006 ; 54(26) : 9798-804. 

  20. Li YL, Gan GP, Zhang HZ, Wu HZ, Li CL, Huang YP, Liu YW, Liu JW. A flavonoid 

  21.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958 ; 26 : 1199-263. 

  22. Marklund S, Marklund G.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1974 ; 47 : 468-74. 

  23. Kikuzaki H, Nakatani N. Antioxidant effects of some ginger construents. J Food Sci. 1993 ; 58 : 1407-10. 

  24. Mosman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1983 ; 65(1-2) : 55-63. 

  25. Dziezak JD. Antioxidants. Food Technol. 1986 ; 40 : 94-102. 

  26. Branen AL.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1975 ; 52 : 59-63. 

  27. Hah DS, Kim CH, Kim GS, Kim EG, Kim JS. Antioxidant effects of traditional medicinal plants on lipid peroxidation. Korean J Ver Res. 2005 ; 45(3) : 341-50. 

  28. Mason B, Ghanee N, Haigh WG, Lee SP, Oda D. Effect of vitamins A, C and E on normal and HPV-immortalized human oral epithelial cells in culture. Anticancer Res. 1999 ; 19(6B) : 5469-74. 

  29. Behari JR, Gupta S, Srivastava S, Srivastava RC. Modulation of liposomal lipid peroxidation in presence of nickel by incorporation of alpha-tocopherol in the bilayer. J Microencapsul. 1991 ; 8(2) : 215-20. 

  30. Royack GA, Nguyen MP, Tong DC, Poot M, Oda D. Response of human oral epithelial cells to oxidative damage and the effect of vitamin E. Oral Oncol. 2000 ; 36(1) : 37-41. 

  31. Gultekin F, Delibas N, Yasar S, Kilinc I. In vivo changes in antioxidant systems and protective role of melatonin and a combination of vitamin C and vitamin E on oxidative damage in erythrocytes induced by chlorpyrifosethyl in rats. Arch Toxicol. 2001 ; 75(2) : 88-96. 

  32. Kanakis CD, Tarantilis PA, Polissiou MG, Diamantoglou S, Tajmir-Riahi HA. An overview of DNA and RNA bindings to antioxidant flavonoids. Cell Biochem Biophys. 2007 ; 49(1) : 29-36. 

  33. 한두석, 백경현, 김영옥, 최규은, 곽정숙, 백승화, 한국산 생약으로부터 항암물질의 개발(제6보). 금은화 Ethyl Acetate 가용성 분획의 인체 구강유상피암종세포에 미치는 세포독성작용. 생약학회지. 1998 ; 29(1) : 22-7. 

  34.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04 ; 36(2) : 333-8. 

  35. Boernfreund E, Babichi H, Matin-Alcuacil N. Comparisons of two in vitro cytotoxicity assay. The neutral red(NR) and tetrazolium MTT tests. Toxicol In Vitro. 1998 ; 2 : 1. 

  36. 한두석, 오상걸, 오은상. 페놀산의 구조가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 독성학회지. 2003 ; 19(1) : 44-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