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강편평태선 환자에서 발생한 암종의 증례보고 및 문헌 고찰
Case Report of Squamous Cell Carcinoma arising in an Oral Lichen Planus and Literature Investigation 원문보기

대한구강내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v.34 no.1 = no.74, 2009년, pp.49 - 54  

임현대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 교실) ,  이유미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 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편평태선은 작고 편평한 다각형의 구진을 피부나 점막에 보이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편평태선을 유발하는 원인은 명확하지는 않으나, 피부나 점막에서의 항원변화가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을 유도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구강편평태선은 초기에는 양성 병소로 생각되었으나 세계보건기구에 의해 전암 병소로 분류되었다. 구강편평태선이 악성화되는 단계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편평태선등의 만성 염증성 질환은 구강암 발생에 있어 일반적인 위험 요인(예: 흡연, 음주)과 관계없이 악성 발현을 보인다. 구강편평태선의 악성전이는 여러 문헌에서 논란을 보이나, 0.5%에서 5%까지 보고되었다. 구강편평태선의 악성 전이는 특정 임상적 양상, 과각화나 미란성에서 더 높은 비율로 발생한다. 구강편평태선의 악성 전이는 예후가 불량하므로 예후의 개선과 조기 진단을 위하여 임상가는 일년에 최소 일회에서 2회까지 추적 조사를 해야 한다. 본 증례 보고에서는 중년의 여성에게서 십수년간 지속된 구강편평태선에서 발생한 편평상피암종을 살펴봄으로써, 임상가가 유념해야 할 구강편평태선의 악성 변이에 대한 고찰 및 진단시와 추적 조사시에 고려사항을 고찰하자고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chen planus is a relatively common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involving the skin and mucous membranes showing small flat polygonal papules. The accurate etiology is unknown but it's suggested that cell-mediated immune response to an induced antigenic changes in skin or mucosa. Oral lichen plan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7년 colchine을 처방하였으나 오랜 투약으로 인해 약복용을 규칙적으로 하지 않았으며 3개월간 부정 기적으로 복용 후 중단하였고 병소는 여전히 지속되었다. 구강위생 개선을 위하여 구강세정기 사용을 권하여 사용하였다. 2008년 11월 20일 좌측 상악 결절에 지름 1cm 두께 1~2 mm 출혈이 쉽게되는 분홍색의 외방성 병소가 생겨서 내원하였으며 생검을 위하여 구강외과로 의뢰하였고 생검결과 well to moderately -differentiated squamous cell carcinoma로 판명되었고 Whole body scan에서 원거리 전이는 보이지 않았다.
  • 5~5%정도를 보이며 특히 중년의 여성에게서 악성 변이는 추적 조사를 고려해야 한다. 본 증례는 약 십수년 간의 지속된 난치성 편평태선 병소를 지닌 환자에게서 구강편평상피암이 발생하여 임상적 의의를 지닌 증례라 하겠다. 환자는 편평태선에 대한 투약에도 불구하고 십수년 간 증상의 악화와 완화를 반복하여 경험하였고 비록 완화된 경우에도 부육성의 괴사된 조직을 지니고 있었으며 작은 자극 예를 들어 칫속질에도 쉽게 출혈성향을 보이고 있었다.
  • 편평태선에서 편평상피암의 발생에 대한 보고가 이루어져 있기는 하나 십여년간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편평태선 병소가 지속되었고 바로 인접부위에서 편평상피암이 발생하였기에 편평태선의 치료에 있어 악성 전이의 평가에 도움이 되고자 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편평태선이란? 편평태선은 작고 편평한 다각형의 구진을 피부나 점막에 보이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편평태선을 유발하는 원인은 명확하지는 않으나, 피부나 점막에서의 항원변화가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을 유도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구강편평태선은 초기에는 양성 병소로 생각되었으나 세계보건기구에 의해 전암 병소로 분류되었다.
편평태선 발생하는 원인은? 편평태선은 작고 편평한 다각형의 구진을 피부나 점막에 보이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편평태선을 유발하는 원인은 명확하지는 않으나, 피부나 점막에서의 항원변화가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을 유도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구강편평태선은 초기에는 양성 병소로 생각되었으나 세계보건기구에 의해 전암 병소로 분류되었다.
편평태선의 호발 부위는? 구진은 붉은빛을 띠는 자주색이고 구진 표면에 격자모양 또는 환상 모양의 회백색 선조가 존재하는데 이를 Wickham`s striae라 부른다. 주로 호발 부위는 신체의 접히는 부분 예를 들어 손목 사타구니 같은 부분이며 보통 대칭으로 발생한다. 편평태선은 구강 점막에 때때로 침범하며 피부 병소 단독으로 혹은 구강점막 단독으로 발생하기도 하며 피부병소와 구강점막병소가 같이 발생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Ditrichova D, Kapralova S, Tichy M et al. Oral lichenoid lesions and allergy to dental materials. Biomed Pap Med Fac Univ Palacky Olomouc Czech Repub 2007;151(2):333-339 

  2. Laskaris G. Color atlas of oral disease. Athens, 1986, Litsas medical Pub., pp. 184-187 

  3. Lo Muzio L, Mignogna MD, Favia G et al. The possible association between oral lichen planus and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 a clinical evaluation on 14 cases and a review of literature. Oral Oncology 1998;34:239-246 

  4. Mignogna MD, Lo Muzio L, Russo L et al. Clinical guidelines in early detection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arising in oral lichen planus : a 5-year experience. Oral Oncology 2001;37:262-267 

  5. Barnard NA, Scully C, Eveson JW, Cunninham S et al. Oral cancer development in patient with oral lichen planus. J Oral Pathol Med 1993;22:421-424 

  6. Munoz AA, Haddad RI, Woo SB, et al. Behavior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in subjects with prior lichen planus.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7;136:401-404 

  7. Holmstrup P. The controversy of a premalignant potential of oral lichen planus is over.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June 1992;704-706 

  8. Braakuis BJ, Tabor MP, Kummer JA et al. A genetic expanation explanation of Slaughter's concept of field cancerization:evidence and clinical implication. Cancer Res 2003;63:1727-1730 

  9. HA PK, Califano JA. The molecular biology of mucosal field cancerization of the head and neck. Crit Rev Oral Biol Med 2003;14:363-369 

  10. M.D. Mignogna, S. Fedele, L. Lo Russo et al. Field cancerization in oral lichen planus. EJSO 2007;33:383-389 

  11. Krutchkoff DJ, Cutler L, Laskowski S. Oral lichen planus: the evidence regarding potential malignant transformation. J Oral Pathol 1978;7:1-7 

  12. Eisenberg E, Krutchkoff DJ. Lichenoid lesions of oral mucosa. Diagnostic criteria and their importance in the alleged relationship to oral cancer.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92;73:699-704 

  13. Van der Meij EH, Schepman KP, Smeele LE et al. A review of the recent literature regarding malignant transformation of oral lichen planu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999;88:307-10 

  14. WHO Collaborating Centre for Oral Precancerous Lesions. Definition of leukoplakia and related lesions:an aid to studies on oral precancer.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78;46:518-39 

  15. Mignogna MD, Lo Russo L, Fedele S et al. Clinical behaviour of malignant transforming oral lichen planus. Eur J Surg Oncol 2002;28:838?843 

  16. Epstein JB, Wan LS, Gorsky M et al. Oral lichen planus: Progress in understanding its malignant potential and the implications for clinical management.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2003;96(1):32?37 

  17. Gandolfo S, Richiardi L, Carrozzo M et al. Risk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in 402 patients with oral lichen planus: a follow-up study in an Italian population. Oral Oncol 2004;40:77?83 

  18. Ogmundsdottir HM, Hilmarsdottir H, Astvaldsdottir A et al. Oral lichen planus has a high rate of TP53 mutations. A study of oral mucosa in Iceland.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2002;93(5):586?592 

  19. Majid Ebrahimi, Linda Boldrup, Philip J. Coates et al. Expression of novel p53 isoforms in oral lichen planus. Oral Oncology 2008;44:156-161 

  20. Amanda A. Munoz, MD. Rovert I et al. Behavior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in subjects with prior lichen planus.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7;136:401-404 

  21. Krogh P, Hald B, Holmstrup P. Possible mycological etiology of oral mucosal cancer: catalytic potential of infecting Candida albicans and other yeasts in production of N-nitrosobenzylmethylamine. Carcinogenesis 1987;8:1543-8 

  22. Laeijendecker R, Van Joost T, Kuizinga MC et al. Premalignant nature of oral lichen planus. Acta Derm Venereol 2005;85:516-520 

  23. Rajentheran R, McLean NR, Kelly CG et al. Malignant transformation of oral lichen planus. European Jounal of Surgical Oncology 1999;25:520-52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