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 턱관절장애 환자의 유병률과 진료 양태
Prevalence and Treatment Pattern of Korea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원문보기

대한구강내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v.34 no.1 = no.74, 2009년, pp.63 - 79  

양희영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  김미은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이하 심평원)에서 전산화되어 관리되는 보험대상 환자들의 진료기록을 이용하여 턱관절장애(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로 인해 병원을 찾고 있는 환자의 유병률과 진료양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심평원 전산시스템에 등록된 국내 보험대상 환자 중 2003년, 2004년, 2005년의 3년에 걸친 환자 자료를 사용하여 턱관절장애 (K07.6)를 주상병으로 하여 진단과 치료를 받은 환자에 대하여 성별 및 연령별 진료인원, 지역별 진료인원, 요양기관종별 진료인원, 치료기간 및 진료건수, 진료과목별 진료건수와 평균치료기간, 진료과목별 1인당 소요비용, 원외처방 치료약제 약효분류코드(효능군)별 연간 투약일수, 외과적 수술 실시 횟수 등을 분석조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TMD로 인해 병원을 찾는 평균 환자수는 전체인구의 0.15%이었으며, 3년간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 중 99.8%가 여자였고, 20대의 유병률이 가장 높고 연령이 증가하면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3년간의 변화추이를 볼 때 20대의 유병률은 감소하고 40대 이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는 점이 특징적이었다. 16개 시도별 분포에서는 인구가 많은 서울, 경기 지역의 환자수가 많았고, 매년 전체 환자수가 증가하면서 각 지역별로 유사한 비율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부산과 대구에서는 감소세가 뚜렷하였고 울산, 경기, 전남의 증가세가 관찰되었다. 의료기관별로 내원한 환자 수는 치과를 포함한 일차의료기관에 내원하여 진료한 경우가 평균 56.8%로 전체의 과반수를 차지하였고 TMD와 관련한 입원건수는 치과 입원(86.6%)이 의과전체(13.4%) 보다 훨씬 많았다. 외래내원건수에서는 치과가 전체 건수의 38.4%로서 가장 많았으며, 정형외과(28%), 이비인후과(13.6%)의 순서였다. 약물치료에서는 해열소염진통제가 가장 빈번하게 투여되었고 정신신경용제, 골격근이완제의 순서였다. 심평원의 자료는 TMD때문에 병원을 찾는 환자들의 역학적 특성과 진료양태에 대한 포괄적이고 광범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진료실에서 정확한 진단과 표준화된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가 함께 이루어질 때 더욱 신뢰할 수 있는 정보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ile previous epidemiological studies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 have been based on a given health center or population sample, no study has been performed on general population of Korea, especially concerning about treatment pattern such as clinician’s specialty involved in TMD treat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수 년 간의 자료를 이용하여 유병률의 변화를 추적한다면 향후 질환발생의 추이와 의료수요 예측에 유용할 것으로 저자는 생각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건강보험 심사평가원에서 관리하고 있는 전산화된 진료기록을 조사하여 국내 TMD 환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진료양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심평원의 전산시스템에 등록된 국내 보험대상 환자의 자료를 이용하여 TMD를 주상병으로 진료 받은 환자들의 성별. 연령별, 지역별 구성, 진료횟수와 진료내용을 조사한 첫 번째 연구로서 단일 의료기관이나 특정 연령층, 특정지역에 국한하지 않고 심평원 전산시스템에 등록된 국내 TMD 환자 전체의 발생빈도와 진료양태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큰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MD의 주요 임상 특징은? 턱관절장애(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는 구강안면영역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근골격계질환으로서 구강안면영역에서 발생하는 비치성동통의 가장 흔한 원인의 하나이다. TMD는 측두하악관절(temporomandibular joint, TMJ)과 저작근 및 주위조직의 지속적이거나 반복적인 동통, 하악 운동범위의 감소나 관절잡음 등을 주요한 임상 특징으로 한다.1)
biopsychosocial model이 제안된 배경은? TMD는 상담, 약물치료, 행동조절, 장치치료, 물리 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를 통해 약 80% 이상의 완치율을 보여주지만, 4,5) 행동요인, 생물학적 요인, 환경요인, 사회적 요인, 인지요인, 정서요인 등의 다양한 요인이 관여되기 때문에 치료가 복잡해질 뿐 아니라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쳐 만성 통증으로 진행되기도 하고, 정신적 고통과 스트레스가 가중되어 치료가 더욱 어려워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TMD의 원인을 설명하고 적절한 치료법을 찾기 위해 biopsychosocial model이 제안되고 있다.
약 80% 이상의 완치율을 보이는 TMD의 보존적 치료에는 무엇이 있는가? TMD는 상담, 약물치료, 행동조절, 장치치료, 물리 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를 통해 약 80% 이상의 완치율을 보여주지만, 4,5) 행동요인, 생물학적 요인, 환경요인, 사회적 요인, 인지요인, 정서요인 등의 다양한 요인이 관여되기 때문에 치료가 복잡해질 뿐 아니라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쳐 만성 통증으로 진행되기도 하고, 정신적 고통과 스트레스가 가중되어 치료가 더욱 어려워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TMD의 원인을 설명하고 적절한 치료법을 찾기 위해 biopsychosocial model이 제안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Okeson JP. Orofacial pain, guidelines for assessment, diagnosis, and management. 1995, Illinois, Quintessence Publishing 

  2. Okeson JP.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occlusion. 5th ed., St. Louise, 2003, Mosby, pp. 152-153 

  3. Dworkin SF, Huggins KH, LeResche L et al. Epidemiology of signs and symptoms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Clinical signs in cases and controls. J Am Dent Assoc 1990;120:273-281 

  4. 정성창. 악관절장애란?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991;29:342-347 

  5. McNeil C.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Concepts and controversies. J Prosthet Dent 1997;77:510-522 

  6. Suvinen TI, Reade PC, Kemppainen P, Kononen M, Dworkin SF. Review of aetiological concepts of temporomandibular pain disorders: towards a biopsychosocial model for integration of physical disorder factors with psychological and psychosocial illness impact factors. Eur J Pain 2005;9:613-633 

  7. 정성창. 악관절 및 저작계 기능장애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982;7:32-40 

  8.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통계청:대한의무기록협회 제3권, 2003 

  9. http://www.kosis.kr/search/totalSearch2.jsp 

  10. Roda RP, Bagan JV, Fernandez JMD, Bazan SH, Soriano YJ. Review of temporomandibular joint pathology. Part I: Classification,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Med Oral Pathol Oral Cir Bucal 2007;12:E292-E298 

  11. Reider CE, Martinoff JT, Wilcox SA. The prevalence of mandibular dysfunction. Part I: Sex and age distribution of related sings and symptoms. J Prosthet Dent 1983;50:81-88 

  12. Koidis PT, Zarifi A, Grigoriadou E. Effect of age and sex on craniomandibular disorders. J Prosthet Dent 1993;69:93-101 

  13. Gross A, Gale E. A prevalence study of the clinical signs associated with mandibular dysfunction. J Am Dent Assoc 1983;107:932-936 

  14. 김기석, 최재갑, 김연중. 개원의를 위한 악관절. 2000, 서울, 정원사, pp. 13-23 

  15. 정성창, 김영구, 고명연 등. 구강안면동통과 측두하악장애. 개정판, 2006, 서울, 신흥인터내셔날, pp. 17 

  16. 김선희. 일반인에 있어서 측두하악장애의 인지도 조사에 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0;25:371-382 

  17. Kreisberg MK. Tricyclic antidepressants: analgesic effect and indications in orofacial pain. J Craniomandib Disord 1988;2:171-177 

  18. Moldofsky H, Scarisbrick P, England R, Smythe H.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non-REM sleep disturbance in patients with fibrositis syndrome and healthy subjects. Psychosom Med 1975;37:341-351 

  19. Dworkin SF, LeResche L. Research diagnostic criteria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Review, criteria, examinations and specifications, critique. J Craniomandib Disord 1992;6:301-355 

  20. Reston JT, Turkelson CM. Meta-analysis of surgical treatment for temporomandibular articular disorders. J Oral Maxillofac Surg 2003;61:3-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