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노인층에서의 턱관절장애의 증상과 징후에 관한 이전 연구에서 일관된 결론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에 따른 턱관절의 증상과 징후의 유병률을 분석하는 것이다. 젊은층을 대조군으로 평가하였다. 40명의 노인층 환자 (28명 여자, 12명 남자, 평균연령: $65.2{\pm}2.5$)와 40명의 젊은층 환자 (30명 여자, 10명 남자, 평균연령: $23.3{\pm}2.6$)로서 턱관절장애(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로 진단받은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대상자는 다음과 같은 평가기준을 적용하였다. 주관적 평가인 주소에서 구강안면 통증의 정도(VAS), 객관적인 평가에서 하악 개구 시 운동량, TMJ 관절잡음 (관절음, 염발음), TMJ 촉진 시 통증, 저작과 관련된 근육(교근, 측두근)과 목 근육, 견부근의 촉진 시 통증에 관한 것을 포함한다. 두 그룹 간 차이점 분석은 t 검정카이제곱 검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SPSS v. 17) P 값이 0.05 이하인 것을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보았다. 주관적인 평가에서 주소에 나타난 구강안면 통증 정도에서는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객관적인 평가에서 노인층 환자에서 개구 시 염발음이 25%에서 관찰되었고 저작근 촉진 시 통증은 82.5%에서 관찰되었으며 측두근 촉진시에 60%에서 통증을 보였다. 반대로, 젊은층에서 62.5%에서 관절잡음이 관찰되었고 개구 시 좀 더 큰 운동량을 보였다. (p=0.043) 관절잡음과 촉진 시 근육 통증, 하악 운동량에서 두 그룹 간 차이는 현저했다. 노인층에서 TMD에 대한 개구 시염발음, 근육 촉진 시 통증이 자주 관찰되는 반면 젊은 층에서는 하악 운동 시 관절잡음, 운동 시 개구량의 증가가 보다 많이 관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vious studies of the relationship of TMJ signs and symptoms in elderly people have provided inconsistent finding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trospectively analyze the prevalence of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TMD). Additionally, young subjects were examined as a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RDC/TMD including standardized clinical examination was used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subjective and objective signs and symptoms of TMD in randomized geriatric sample and a young adult control group.
  • All subjects were examined by a dentist, according to RDC/TMD. The examination includes the subjective assessment of orofacial pain(VAS) on chief complain, the objective assessment of the presence of joint sounds, pain on the palpation of extraoral masticatory muscles and the range of mandibular motion.

대상 데이터

  • Subjects are group of 40 older subjects(28 female, 12 male, mean age: 65.2±2.5 years) and a control group of 40 younger subjects(30 female, 10 male, mean age: 23.3±2.6 years), seeking treatment for TMD in Department of Or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Dental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to November 2011.

데이터처리

  • The Chi-square Test was used for comparison of the categorical variables between the two groups.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used for comparison of the continuous variables between the two groups. P value <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Okeson J. Orofacial pain. IL, USA: Quintessence Publishing;1996 

  2. Magnusson T, Egermark I, Carlsson GE. A prospective investigation over two decades on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associated variables. A final summary. Acta Odontol Scand 2005;63:99-109 

  3. Kohler AA, Helkimo AN, Magnusson T, et al. Prevalence of symptoms and signs indicative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cross-sectional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covering two decades. Euf Arch Paediatr Dent 2009;10(Suppl 1):16-25 

  4. Norheim PW, Dahl BL. Some self-reporte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in population in Northern Norway. J Oral Rehabil. 1978;5:63-68 

  5. Osterberg T, Clarsson GE, Wedel A, Johansson U. A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study of craniomandibular dysfunction in an elderly population. J Craniomandib Disord. 1992;6:237-245 

  6. Locker D, Slade G. Association of symptoms and signs of TMD in an adult population.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89;17:150-153 

  7. Salonen L, Hellden L, Carlsson G. Prevalence of signs and symptoms of dysfunction in the masticatory system: an epidemiologic study in an adult swedish population. J Craniomandib Disord. 1990;4:241-250 

  8. Francisco J Pereira Jr, Age-related changes of the retrodiscal tissues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1996:55-61 

  9. Hiroaki Ishibashi et al. Age-related changes in the human mandibular condyle: a morphologic, radiologic, and histologic study. J Oral Maxillofac Surg. 54: 1016-1023,1995 

  10. Widmalm SE, Westesson PL, Kim IK, Pereira FK. Temporomandibular joint pathosis related to sex, age, and dentition in autopsy material.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94;78:416-425 

  11. Anuna Laila mathew, Amar A. Sholapurkar, and Keerthilatha M. Pai, Condylar changes and its association with age, TMD, and dentition status: a cross-sectional study. International J of Dentistry. 2011:7 

  12. Turp J, Vach W, Strub JR. Die klinische Bedeuung von Kiefergelenkgerauschen. Schweiz Monatsschr Zahnmed. 1997;107:191-195 

  13. M. Schmitter, P. Rammelsberg, A. Hassel. The prevalence of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very old subjects. 

  14. Heft MW. Prevalence of TMJ signs and symptoms in the elderly. Gerodontology. 1984;3:125-130 

  15. Haugen LK. Bi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in the aging individual. In Dent J. 1992;42:339-348 

  16. R. Galo et al. Masticatory muscular activation in elderly individuals during chewing. Journal complication. 2007;24:244-248 

  17. Lund JP. Mastication and its control by the brain stem. Crit Rev Oral Biol Med 1991;2:33-64 

  18. Scheibel AS. Falls, motor dysfunction, and correlative neurohistologic changes in the elderly. In: Redebaugh TS, Hadley E eds. Behavioral Aspects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1985: 671-677. 

  19. Peyron MA, Blanc O, Lund JP, Woda A. Influence of age on adaptability of human mastication. J neurophysiol 2004;92:773-779 

  20. Sevgi Sener, Faruk Akgunlu. Sociodemographic comparison in patients with subjective and objective clinical findings of temporomandibular dysfunctions. European J of Dentistry. Oct 2011;5:380-386 

  21. Leresche L. Epidemiology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mplications for the investigation of etiologic factors. Crit Rev Oral Biol Med 1997; 8:291- 305 

  22. Johansson A, Unell L, Carlsson GE, et al. Differences in four reported symptoms related to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a cohort of 50-year-old subjects followed up after 10 years. Acta Odontol Scand 2008;66:50-57 

  23. Wijnhoven HA, de Vet HC, Picavet HS.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s systematically higher in women than in men. Clin J Pain. 2006 Oct;22(8):717- 724 

  24. Otto MW, Dougher MJ. Sex differences and personality factors in responsivity to pain. Percept Mot Skills. 1985 Oct;61(2):383-390 

  25. Kroner-Herwig B, Gabmann J, Tromsdorf M, Zahrend E. The effects of sex and gender role on responses to pressure pain. Psychosoc Med. 2012;9:Doc01 

  26. Nayak S, Shiflett SC, Eshun S, Levine FM. Culture and gender effects in pain beliefs and the prediction of pain tolerance. Cross Cult Res. 2000;34:135-1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