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효퇴비 첨가수준이 돈분퇴비화 초기과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l Levels of Fermented Compost on the Early Stage Composting Process of Pig Manure 원문보기

축산시설환경학회지 = Journal of livestock housing and environment, v.15 no.3, 2009년, pp.271 - 280  

정광화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허미영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재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곽정훈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정만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강희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초록

본 연구는 기존 발효퇴비의 첨가 수준이 퇴비화 진행과정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과제 수행에 있어 지금까지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퇴비화 개시 2일 경과 후에 각 처리별 온도는 $67{\sim}71^{\circ}C$ 내외로 상승하였다. 발효퇴비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발쵸퇴비 5% 첨가수준의 두 개의 퇴비단에서 $71^{\circ}C$까지 상승하였으며 발효퇴비 15% 첨가수준에서 $67^{\circ}C$를 기록하여 온도 최고점이 제일 낮았다. 온도변화를 기준으로 볼 때 퇴비화 전 기간 동안 대조구의 발효속도가 타 처리구에 비해 느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2. 암모니아 발생양태는 온도변화 패턴과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 즉 발효온도가 높은 시기에는 암모니아 발생농도가 높고 뒤집기 이후의 퇴비단 온도상승은 암모니아 발생정도의 증가추세를 수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퇴비화의 진행초기에는 pH가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퇴비화진행 초기단계에서 발생하였던 암모니아 농도 증가와 연관되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퇴비화가 진행되어짐에 따라 pH는 점차 낮아져서 본 시험의 퇴비화 후기에는 PH가 각 처리구별로 다소간의 차이는 있지만 약 7~8 사이로 낮아지는 추세를 나타냈다. 4. 퇴비화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각 처리별 퇴비단의 C/N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각 처리구별 C/N 감소정도는 퇴비화 초기에 더 높게 나타났고 이러한 경향은 각 처리구에서 비슷한 추세를 보였다. 5. 퇴비화에 따른 미생물 수는 퇴비와 개시 후 증가하다가 퇴비단의 온도 감소와 함께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이러한 추세는 전 처리구에서 공히 관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est way to treat livestock manure is to recycle as much as possible. The composting of livestock manure is a safe and economical treatment proces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decomposition effect of pig manure by adding fermented compost. The fermented compost was added in pig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에는 퇴비화 촉진을 위해서 유용미생물을 첨가하는 연구 결과가 홍7)등에 의해 보고되 어진 바 있다. 시험에서는 기존 부숙퇴비를 퇴비화 미생물 식종원으로서 활용할 경우가 퇴비화 진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시험에 식종원으로 사용된 기존 부숙퇴비의 미생물 분포를 분석한 결과 방선균은 8.
  • 본 연구는 기존 발효퇴비의 첨가 수준이 퇴비화 진행과정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과제 수행에 있어 지금까지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 공급원으로서의 기존 발효퇴비를 신규 퇴비단에 혼합처리 하였을 경우가 퇴비화 개시 초기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기존퇴비 혼합수준 별로 처리구를 구분하여 퇴비화 시험을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2. 암모니아 발생양태는 온도변화 패턴과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 즉 발효온도가 높은 시기에는 암모니아 발생농도가 높고 뒤집기 이후의 퇴비단 온도상승은 암모니아 발생 정도의 증가추세를 수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고광백, 김영관, 윤주환, 임재명, 한무영, 강선홍, 김동진, 김진호, 독고석, 박철휘, 송장수, 조옥상. 2004. 폐수처리공학. 동화기술. 65-67. 

  2. 류종원. 2008. 고수분 돈분 슬러리의 톱밥여과 퇴비화 현장적용 연구. 축산시설환경학회지 14(2): 129-138. 

  3. 신완식, 이규승. 1996. 돈분 및 계분의 초기 퇴비화과정중 이화학적 특성과 미생물 활성 변화. 축산시설환경학회지 2(2):135-145. 

  4. 이은경, 정재춘. 1994. 첨가제를 달리한 음식쓰레기의 퇴비화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16(8):953-962. 

  5. 이성현, 윤남규, 김경원, 이인복, 김태일, 장진택. 2006. 양돈 슬러리의 암모니아 발생특성에 관한 연구. 축산시설환경학회지 12(1):7-12. 

  6. 정준오, 안정희. 2001. 공기공급량이 음식폐기물의 퇴비화 반응에 마치는 영향. 대한환경공학회지 23(6):1013-1021. 

  7. 홍지형, 박금주. 2009. 유용미생물 처리 음식물 쓰레기와 계분혼합물 퇴비화 특성. 축산시설환경학회지 15(1):59-68. 

  8. 황규대, 조영무. 2004. 축산폐수 전처리를 위한 암모니아 탈기공정의 운전조건이 암모니아 제거에 미치는 영향. 한국물환경학회지 20(1):86-92. 

  9. AOAC. 2007.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OAC INTERNATIONAL. 

  10. Cardenas, R. R. and L. K. Wang, [cited by E. I. Jimenez and V. P. Garcia. 1989. Evaluation of city refuse compost maturity : A review. Biological wastes., 27:115-142. 

  11. Pancholy, S. K. and E. L. Rice. 1973. Soil enzymes in relation to old field succession: amylase, cellulase, invertase, dehydrogenase and urase.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proceedings., 37, 47-5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