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시대 지역민영방송의 경영성과분석 및 정책적 대안 연구
The Analysis of Administrative Outcome and Study on the Political Alternative of Local Private Broadcasting in Digital Era 원문보기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10 no.3, 2009년, pp.401 - 411  

남종훈 (대구가톨릭대학교 언론광고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지역을 근간으로 하는 지역민영방송이 처한 경영위기를 분석하고 정책적 대안을 모색해 봄으로써 미래 지역민방의 발전 가능성을 예측해보고자 한다. 지역민방은 95년 첫 서비스를 개시한 이래로 지금까지 서울을 중심으로 하는 SBS와의 네트워크 체제를 유지하면서 비교적 빠른 시기에 안정된 경영성과를 이루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독특한 네트워크 시스템은 지역민방의 고질적 문제로 자리잡았고, IMF와 같은 외부 환경의 영향에 매우 취약한 구조를 만들 수밖에 없었다. 최근의 방송환경은 더욱 빠르게 급변하고 있다. 다매체 다채널의 무한경쟁 시대에 진입하고 있으며 더 이상 특정한 매체를 보호 육성할 수 없음을 시사하고 있다. 다만 지역민방은 지역성 구현을 목적으로 하는 공공성과 시장논리에서 살아남아야 하는 상업방송으로서의 성격을 모두 가지고 있는 특수성이 존재한다. 존폐의 위기에 까지 몰린 지역민방을 더 이상 방치할 수만은 없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개국 후 지금까지 지역민방의 경영성과를 분석해보고, 최근 지역민방의 경영에 악재로 등장한 몇 가지 정책적 쟁점을 진단해 본다. 특히 민영미디어랩의 도입과 방송법 개정에 따른 지역민방에의 영향을 중점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위기에 처한 지역민방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d on the crisis of local private broadcasting and political solution. The local private broadcasting has launched in 1995. Until now, local private broadcasting is successful in stable management and ensuring profit but it is attributed to a role of transmission pipe of SBS. Howev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정기웅 외, 2004:3). 따라서 경영분석은 기업의 경영계수 자료를 대상으로 경영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기업의 재무 상태와 경영 성과를 분석 비교하고, 경영의 적정성과 타당성을 관찰하는 것이다.
  • 본 논문에서는 공공론적 관점이나 산업론적 관점을 떠나서 최근 지역민방이 처해 있는 위기 상황을 경영의 측면에서 진단해보고 현실적인 정책대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따라서 우선, 개국이후 지금까지 지역민방의 경영성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서 지역민방의 재정 충실도 및 향후 발전 가능성을 진단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최근 급변하고 있는 방송환경의 영향으로 지역민방의 경영 위기를 더욱 가속시킬 것으로 보이는 쟁점들을 분석해보고 그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함께 모색해보고자 한다.
  • 따라서 우선, 개국이후 지금까지 지역민방의 경영성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서 지역민방의 재정 충실도 및 향후 발전 가능성을 진단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최근 급변하고 있는 방송환경의 영향으로 지역민방의 경영 위기를 더욱 가속시킬 것으로 보이는 쟁점들을 분석해보고 그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함께 모색해보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공공론적 관점이나 산업론적 관점을 떠나서 최근 지역민방이 처해 있는 위기 상황을 경영의 측면에서 진단해보고 현실적인 정책대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따라서 우선, 개국이후 지금까지 지역민방의 경영성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서 지역민방의 재정 충실도 및 향후 발전 가능성을 진단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지역민방의 재무제표인 손익계산서와 대차대조표를 이용하여 비율분석 (ratio analysis) 중에서 구성비율법을 사용하여 지역민방의 경영성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지역의 방송매체로서 누릴 수 있는 권위도 적당히 누려가면서 경영에 있어서는 필요할 때마다 항상 아쉬운 소리를 내오면서 그럭저럭 지역의 방송사로서의 체면을 유지해오고 있는 것이다. 더 이상의 이러한 안주는 용인되어지지 않을 것이다. 먼저 지역민들도 더 이상은 보호주의에 안주하는 지역매체를 감싸주지 않을 것이다.
  • 더 이상의 이러한 안주는 용인되어지지 않을 것이다. 먼저 지역민들도 더 이상은 보호주의에 안주하는 지역매체를 감싸주지 않을 것이다. 아니 오히려 외면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민영방송은 언제 첫 서비스를 개시했는가? 지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역민영방송(이하 지역민방)은 1995년 첫 서비스를 개시했다.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소위 1차 지역민방이 먼저 개국 했고, 97년엔 인천, 울산, 전주, 청주 등의 민방이 뒤따라 서비스를 시작했다.
비율분석에는 무엇이 있는가? 비율법 즉 비율분석(ratio analysis)이란 재무제표의 특정항목들 사이의 비율 또는 특정항목과 다수항목 사이의 비율을 계산하여 경영성과와 재무 상태에 관한 정보를 알아내려는 방법이다. 비율법에는 ① 구성비율법 ② 추세법 ③ 관계비율법 ④ 표준비율법 ⑤ 듀폰 시스템 ((Dupon System) ⑥ 종합비율법이 있다. 구성비율법 (component ratio analysis)은 재무제표의 각 구성부분의 전체에 대한 백분율을 산출하여 그 구성 관계를 표시하는 것이다.
IMF 경제위기는 지역민방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지역민방은 95년 1차 서비스를 개시한지 얼마 안돼서 IMF라는 큰 위기를 맞았다. IMF 경제위기는 곧 바로 지역민방의 광고수입 하락으로 이어졌으며, 지역민방 경영 현황을 적자 상태로 만들었다. IMF는 당시 지역민방의 경제적 토대가 얼마나 취약한지를 여실히 보여주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공공미디어연구소(2008). 종합편성채널이 방송광고시장이 미치는 영향연구, 공공미디어연구소연구보고서. 

  2. 김동규 (2000), 지역방송산업의 경제적 특성, 지역방송 발전정책 연구, 서울: 방송위원회. 

  3. 김승수 (2002), 불안정한 독과점 경영, 방송위원회 방송21. 8월 제 27호, 26-31. 

  4. 김종업 (2002). 경영분석, 갑진출판사: 서울 

  5. 남종훈,임동욱 (2005). 지역민방 출범 10년의 평가와 KBC 광주방송, 광주전남언론학회세미나발표문 

  6. 남종훈 (2009). 지역민방의 위기진단과 대안모색, 언론정보학연구. 제11집 45-64. 

  7. 방송통신위원회 (2002).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8. 방송통신위원회 (2003).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9. 방송통신위원회 (2004).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10. 방송통신위원회 (2005).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11. 방송통신위원회 (2006).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12. 방송통신위원회 (2007).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13. 방송통신위원회 (2008).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14. 방송통신위원회 (2008). 방송통신위원회 2008년도 연차보고서. 

  15. 양문석.김동준.도형래 (2009). 방송환경 변화 에 따른 지역방송의 생존전략, 2009대구경북언론학회정기학술세미나 발제문, 15-27. 

  16. 윤석년 (2008). 방송광고 규제정책의 변화와 영향에 관한 연구: 민영 미디어렙 도입과 중간광고 허용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2), 37-66. 

  17. 이권영 (1998), 지역민영TV의 경영구조 비교분석, 방송위원회, 방송연구 여름호 통권46호, 22-25. 

  18. 이영환 (2009). 지역방송의 현실과 생존방안, 대구경북언론학회 봄철정기학술세미나 발제문. 

  19. 정걸진 (2001).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지방광고산업 : 그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20. 정기웅.김지수.변종국.이상학.강재형 (2004), 경영분석과 시장환경분석, 명경사: 서울. 

  21. 정상윤(2008). 지역방송 편성비율규제정책의 쟁점과 대안 모색, 한국언론학회가을철정기학술대회 특별세미나 발제문. 

  22. 주정민(2009). 대기업의 방송참여가 지역방송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전략, 한국지역언론학회 2009 봄철학술회의 발제문, 24-52. 

  23. TBC대구방송(2009). 내부 경영분석자료 

  24. Huat, Chua Beng (2008). Newspaper as Imaginary Geography of East Asia Pop Culture,The News Channel in Asia International Conference, Korean Association for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 Studies. 

  25. Tolentino, B. Rolando (2009). The Philippine Situation, 2009 World Content Foru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