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계 한국 서부연안지역의 적설과 해양기상요소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Ocean-Meteorological Factors and Snowfall in the Western Coastal Region of Korea in Winter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15 no.1 = no.36, 2009년, pp.17 - 24  

고우진 (국립수산과학원 해양연구과) ,  김상우 (국립수산과학원 해양연구과) ,  장이현 (국립수산과학원 해양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동계에 한랭 건조한 대륙성 기단이 서해를 통과할 때 서해 연안지역인 인천, 군산, 목포의 적설량과 해양기상요소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한반도 서해 연안지역인 인천, 군산, 목포의 동계(12월~2월) 평균 적설량은 군산이 12.7cm로 가장 많았으며, 목포(9.0cm), 인천(7.8cm)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 지역에서 적설량은 12월과 2월에 지역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지역적인 적설량의 차이는 대륙성 고기압의 확장과 관계하였다. 대륙성고기압은 12월에 중국 화남지방에 중심을 두고 산동반도 및 한반도 서부연안지역을 통과하고, 1월에는 중국 화북지방에서 한반도 중부지방으로 확장하며, 2월에는 중국의 북쪽지방에서 발해만과 요동반도를 통과하여 한반도의 중부지방으로 확장하였다. 이 대륙성고기압의 확장과 관련하여 인천은 적설이 2월이 12월보다 많았고, 군산과 목포는 12월이 2월보다 많은 적설을 나타내었다. 세 지역에서 대설은 열손실이 100 $w/m^2$ 이상일 때 나타났다. 또한, 대설은 대륙성 고기압과 저기압의 배치가 서부지역에 전선이 형성되는 서고동저형일 때 발생하였고, 이때 바람은 4-8m/sec 세기의 북서풍 또는 북풍이 우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relationship between ocean-meteorological factors and snowfall at Incheon, Gunsan and Mokpo when cold and dry continental air mass passed through the West Sea of Korea in winter. Mean snowfall from December to February showed the order of Gunsan (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동계 적설량의 지역적인 차이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륙성고기압의 확장 경로를 지상일기도로 살펴보았다. 지상일기도는 동계(12-2월) 4년(1998-2001)간 자료를 이용하여 대륙성 고기압의 확장경로를 16방위 중 Group A, Group B, Group C, Group D 의 4개 방향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동계에 시베리아의 한랭한 기단이 중국 대륙을 거쳐서 상대적으로 온난한 서해를 지나 한반도로 진출할 때 발생하는 서해 연안지역의 적설량과 기상요소와의 상호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의 서해가 기상 변화에 따른 해황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는 이유는? 한국의 서해는 서태평양의 북서부에 위치하는 연해로 중국과 한국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평균수심이 44 m로서 수심이 얕고 반폐쇄적인 해역으로 열저장 용량이 적어 기상 변화에 따른 해황의 변화가 크게 나타난다(Fig. 1)(Peng et al.
서해의 동계 해표면 수온은 잠열속과 현열속에 의한 해양에서의 방출열량과 어떤 관계를 보이는가? 동계의 한랭 건조한 대륙성 기단은 서해를 횡단하면서 대기와 해양간의 열수지에 영향을 미치며, 이때 열수지의 변화는 해표면수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Bong, 1976; 김, 1981; Kang, 1983; 고 등, 2006; 이 등, 2007). 서해의 동계 해표면 수온은 잠열속과 현열속에 의한 해양에서의 방출열량과 역상관 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현열속과 잠열속에 의해 100-400 W/m2의 열량이 해양에서 대기로 방출된다(윤 등, 1998; 고 등, 2006). 특히, 서해연안에서 인천의 경우, 순열속은 11월에서 2월까지 해양에서 대기로 열전달이 이루어지고 있다(최와 윤,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강재훈, 방익찬, 장경일(1999), 황해와 동중국해 표층수온의 계절변화, 제주대학교 연구보고, 23권 pp. 1-8. 

  2. 고우진, 김상우, 김동선(2006), 동계 서해의 해황과 기상 인자와의 관계, 해양환경안전학회지 12권, 1호, pp. 23-32. 

  3. 국립수산과학원(1992-2002), 해양조사연보, pp. 290 

  4. 기상청(1992-2002), 기상월보, pp. 55 

  5. 기상청(1998-2001), 일일 지상일기도, pp. 365 

  6. 김영섭(1981), 동계 황해 열수지와 남해 냉수괴와의 관계, 군산수산전문대학교 연구보고, 15권 1호, pp. 1-9. 

  7. 민경덕(1974), 동해 황해상의 열 및 수증기 수지해석과 이들이 시베리아 기단의 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상학회지, 10권 1호, pp. 1-10. 

  8. 서은경, 전종갑(1991), 1990년 1월 29일-2월 1일 한반도에서 발생한 대설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27권 2호, pp. 165-179. 

  9. 윤용훈, 김태희, 문재인(1998), 황해 열수지의 계절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19권 1호, pp. 1-8. 

  10. 이승호, 최병철(2001), 울릉도의 적설량 변화. 한국기상학회지, 37권 4호, pp. 317-328. 

  11. 이원구(2002), 서울.경기지방의 겨울철 대설 예보 기법, 한국기상학회 2002 추계 학술논문집, 12권 3호, pp. 124-125. 

  12. 이충일, 이종희, 김동선(2007), 한국 서해에서 수온 및 염분에 미치는 기상 인자의 영향. 해양환경안전학회지, 13권 1호, pp. 29-37. 

  13. 전종갑, 이동규, 이현아(1994),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대설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0권 1호, pp. 97-117. 

  14. 정영근(2005), 호남지방 강설의 경년변동과 대기순환 특성에 따른 계절예측, 2005년도 한국기상학회 논문집, pp. 152-153. 

  15. 정용승, 봉종환(1993), 호우와 대설 주의보 및 경보의 새로운 기준치 선정, 한국기상학회지, 29권 2호, pp. 171-180. 

  16. 최용규, 윤홍주(1999), 1994년 인천 연안역의 열수지. 한국환경과학회지, 9(3), pp 293-297. 

  17. 한영호, 장선덕(1978), 동계의 열수지와 황해냉수와의 관계. 한국어업기술학회지, 14(1), pp 1-14. 

  18. Bong, J. H(1976), Heat exchange at the sea surface in the Korean costal seas. J. of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11, No. 2, pp. 43-50. 

  19. Kang, Y. Q(1983), On the temperature differences across ground and sea sruface in Korea, J. of Korean. Met. Soc., Vol. 19, No. 2, pp. 88-95. 

  20. Park, S. U., Joung, C. H(1984), Air modification over the Yellow Sea during cold-air outbreaks in winter. Journal of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20, No. 2, pp. 35-50. 

  21. Peng C., Shu G., Henry B(2004), Net sediment trassport patterns over the Bohai Strait based on grain size trend analysis. Estuarine, Coastal and helf Science. pp. 203-2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