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유수유 적응 측정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Breast Feeding Adaptation Scale (BFA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39 no.2, 2009년, pp.259 - 269  

김선희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breast feeding adaptation scale (BFAS) to evaluate adaptation to breastfeeding for breastfeeding mothers and their infants and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application of the con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모유수유를 하고 있는 어머니와 아기의 모유수유 적응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을 위한 방법론적 연구로서 개발된 BFAS는 총 27문항의 5점 Likert식 자가 보고형 질문지이다. 기존에 개발된 모유수유 관련 도구는 어머니나 아기 중 어느 한 대상만을 평가하며, 산후 8주 이내 특정 개념만 평가하는 도구인 반면에 BFAS는산후 4주 이후 어머니와 아기의 모유수유 적응행동을 포괄적으로 평가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모유수유 적응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모유수유를 하는 어머니의 모유수유 적응 측정 도구(BFAS)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연구자와 연구보조원이 어머니들에게 연구의 목적, 연구 절차, 연구의 위험성과 이익, 비밀 유지, 설문지를 하는 동안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음을 설명을 한 후에 연구에 참여하겠다고 동의서에 서명한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자가 평가하도록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Roy의 적응이론을 적용하여 산후 4주 이후 우리나라 어머니와 아기를 대상으로 모유수유 적응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생후 1개월의 모유수유율은 어떻게 되는가? 우리나라 생후 1개월의 모유수유율은 80.5%로 과거에 비해 초기 실천율이 크게 증가하였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그러나 모유수유 지속 기간을 보았을 때 많은 어머니들이 모유수유의 권장 기간인 최소 산후 6개월에서 12개월 이전에 중단하고 있다(Dennis, 200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모유수유는 어떤 장점이 있는가? 모유수유는 어머니와 아기에게 건강 유지 및 증진, 모아 간의 유대감 형성과 강화, 경제적 이득 등 여러 가지 장점을 준다. 이에 모유수유 권위자들은 모유수유를 영아에게 영양을 공급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권장하고 있으며 모유수유를 실천하고 있는 어머니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AAP], 200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모유수유 행위를 하는 동안 어머니는 무엇을 해야하는가? 모유수유 행위는 어머니와 아기의 관계 발전과 어머니와 아기의 요구를 서로 만족시키는 복잡한 과정이다(Moran, Dinwoodie, Bramwell, & Dykes, 2000). 출산 후 처음 아기를 만나는 어머니는 몇 주 동안 수유와 관련된 아기의 신호, 감정, 수면 양상을 이해하고 적응해야 한다(Academy of Breastfeeding Medicine Korea, 2006). 어머니와 아기가 기본적인 모유수유 기술을 학습하는데 보통 4-6주가 걸리고, 어머니가 일상생활과 모유수유를 조화시키는 방법을 배우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Huggins & Ziedrich,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cademy of Breastfeeding Medicine Korea. (2006). New mother's guide to breastfeeding. Seoul: $E^{\ast}PUBLIC$ 

  2. Ahluwalia, I. B., Morrow, B., & Hsia, J. (2005). Why do women stop breastfeeding? Findings from the Pregnancy Risk Assessment and Monitoring System. Pediatrics, 116, 1408-1412 

  3.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AAP) Section on breastfeeding. (2005). Breastfeeding and the use of human milk. Pediatrics, 115, 496-506 

  4. Cadwell, K., Turner-Maffei, C., O'Connor, B., Blair, A. C., Arnold, L. D., & Blair, E. M. (2006). Maternal and infant assessment for breastfeeding and human lactation: A guide for the practitioner (2nd ed.). Sudbury, MA: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5. Chezem, J., Friesen, C., & Boettcher, J. (2003). Breastfeeding knowledge, breastfeeding confidence, and infant feeding plans: Effects on actual feeding practices.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2, 40-47 

  6. Dennis, C. L. (2002). Breastfeeding initiation and duration: A 1990- 2000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1, 12-32 

  7. Dennis, C. L., & Faux, S. (1999).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of the breastfeeding self-efficacy scale. Research in Nursing &Health, 22, 399-409 

  8. Hill, P. D., & Humenick, S. S. (1996). Development of the H & H Lactation Scale. Nursing Research, 45, 136-140 

  9. Huggins, K., & Ziedrich, L. (2007). The nursing mother's guide to weaning. Boston, MA: The Harvard Common Press 

  10. International Lactation Consultant Association (ILCA). (2005, June). Clinical guidelines for the establishment of exclusive breastfeeding. Retrieved June 20, 2007, from http://www.ilca.org/ Clinical-Guidelines2005.pdf 

  11. Isabella, P. H., & Isabella, R. A. (1994). Correlates of successful breastfeeding: A study of social personal factor. Journal of Human Lactation, 10, 257-264 

  12. Jeong, G. H. (1997). Effects of th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promoting the breastfeeding practice in primipar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3. Kendall-Tackett, K., & Sugarman, M. (1995). The social consequences of long-term breastfeeding. Journal of Human Lactation, 11, 179-183 

  14. Kim, H. S. (1994). Potential determinant factors of insufficient milk supply syndr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4, 33-46 

  15. Kim, H. S. (1995). Analysis of the content of telephone counseling with breastfeeding mot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5, 17-29 

  16. Kim, S. H. (2001). Breastfeeding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17. Kim, S. J., & Yang, S. J. (1997). A study of primiparous women's breastfeeding experi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7, 477-488 

  18. Kim, Y. M. (2006). Effects of breastfeeding empowerment program on exclusive breastfeed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 Kong, S. K., & Lee, D. T. (2004). Factors influencing decision to breastfeed.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6, 369-379 

  20. Lawson, K., & Tulloch, M. I. (1995). Breastfeeding duration: Prenatal intentions and postnatal practic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2, 841-849 

  21. Lee, K. H., Park, Y. J., Byeon, S. J., Yu, E. G., Lee, M. R., Lee, Y. S., et al. (1998). Women's health nusing I. Seoul: HyeonMoonSa 

  22. Lee, S. O., Chung, E. S., Ahn, S. H., Moon, G. N., & Park, N. H. (2003). A study of predictors of breastfeeding.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9, 368-375 

  23. Lee, Y. S., Im, H. S., Ahn, H. S., & Jang, N. S. (2006). Nutri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2nd ed.). Paju: KyoMunSa 

  24. Leff, E. W., Jeffereis, S. C., & Gagne, M. P. (1994). The development of the Maternal Breastfeeding Evaluation Scale. Journal of Human Lactation, 10, 105-111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July 5).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Nutrition survey. Retrieved October12, 2007, from http://www.mw.go.kr/front/al/sal0301vw.jsp? PAR_MENU_ID04&MENU_ID0403&page1&BOAR D_ID140&BOARD_FLAG&CONT_SEQ38330&SEA RCHKEYTITLE&SEARCHVALUE국민건강영양& CREATE_DATE1&CREATE_DATE2 

  26. Moran, V. H., Dinwoodie, K., Bramwell, R., & Dykes, F. (2000). A critical analysis of the content of the tools that measure breastfeeding interaction. Midwifery, 16, 260-268 

  27. Punthmatharith, B., & Singh, J. (2005). A psychometric assessment of the H & H lactation scale in a sample of Thai mothers using a repeated measurement design. Nursing Research, 54, 313-323 

  28. Roy, S. C., & Andrews, H. A. (1999). The Roy adaptation model (2nd ed.). Stamford, CT: Appleton & Lange 

  29. Streiner, D. L., & Norman, G. R. (2003). Health measurement scales: A practical guide to their development and use (3rd ed.).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30. Tinsley, H. E., & Tinsley, D. J. (1987). Uses of factor analysis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In R. F. DeVellis (Ed.),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pp. 137).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