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유수유중재의 산후 1, 3, 6개월 모유수유율에 대한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Breastfeeding Interventions on Breastfeeding Rates at 1, 3 and 6 Months Postpartum: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7 no.6, 2017년, pp.713 - 730  

박설희 (목포미즈아이병원 간호부) ,  류세앙 (목포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breastfeeding intervention on breastfeeding rates. Methods: Based on the guidelines of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SMA), a systematic search was conduc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모유수유중재의 산후 1, 3, 6개월 모유수유율에 대한 무작위실험연구의 결과를 통합하고 분석하여 효과크기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 따라서 첫 모유수유를 시도했던 임산부들의 60%가 모유수유를 포기하는 시점인 1개월, 모유수유율이 50% 이하로 감소하는 3개월, 그리고 세계보건기구의 완전모유수유 권장시기인 6개월[2,4] 기준의 모유수유율에 대한 모유수유중재의 효과를 종합 분석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무작위실험연구(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를 통해 모유수유중재의 완전모유수유율의 효과를 보고한 연구들을 종합 분석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모유수유율 향상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중재시점과 방법을 규명하는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국내 연구에서는 ‘출산 전 교육’, ‘모유수유 교육프로그램’, ‘모유수유 증진 간호 중재프로그램’, ‘모유수유 임파워먼트 프로그램’, ‘모유수유 클리닉’, ‘모유수유 전화 상담’, ‘모유수유 워크북 프로그램’, ‘모유수유 교육 가정방문’, ‘시스템다이내믹스’(모유수유 지속모델), ‘모유수유 스마트폰 앱’으로 포괄적 추출을 위해 선행문헌을 보고 용어를 추출했다. 일반적으로 PICOTS-SD 중 COTS는 특별히 필요하지 않은 경우 검색어에 포함하지 않지만, 본 연구는 모유수유의 중재의 일차 변수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결과 검색어를 시행하였다. 결과(Outcomes) 에 대한 검색어로 ‘Exclusive breastfeeding’ [Text Word], ‘Breastfeeding rates’ [All Fields], ‘Breastfeeding duration’ [All Fields]이었고 국내 연구에서는 ‘완전 모유수유 실천율’, ‘모유수유실태’, ‘모유수유 지속률’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료선정기준에 따라 체계적 문헌고찰에 포함된 연구의 자료선정과정은? 자료선정기준에 따라 체계적 문헌고찰에 포함된 연구는 총 16편으로 자료선정과정은 다음과 같다. 데이터베이스별 검색 결과PubMed 307편, Cochrane 280편, CINAHL 54편, EMBASE 174편이 검색되었으며, 국내의 경우 무작위실험연구가 없어 총 815편의 논문이 검색되었고, 이 논문들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하여 최종 선택되었다. 먼저 서지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해 중복된 397편을 제외하였다.
모유의 특징은? 모유는 모체로부터 분비되는 완전영양소로 모유수유 시 신생아 감염과 사망률이 감소하며, 부분 모유수유를 하거나 모유수유를 하지 않은 유아에 비해 설사 및 기타 감염으로 인한 사망위험이 14배 낮다[1]. 모유수유는 어린이에게 건강한 미래를 선물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하면서도 쉬운 방법이며 아기에게 공급되는 첫 ‘백신’이자 영양분으로[1], 모유수유를 한 아동은 성장기에 과체중과 비만이 될 가능성이 적고 인공유로 양육한 아이들보다 지능검사 결과에서 3~10점 더 높다[1,2].
모유수유의 장점은? 모유는 모체로부터 분비되는 완전영양소로 모유수유 시 신생아 감염과 사망률이 감소하며, 부분 모유수유를 하거나 모유수유를 하지 않은 유아에 비해 설사 및 기타 감염으로 인한 사망위험이 14배 낮다[1]. 모유수유는 어린이에게 건강한 미래를 선물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하면서도 쉬운 방법이며 아기에게 공급되는 첫 ‘백신’이자 영양분으로[1], 모유수유를 한 아동은 성장기에 과체중과 비만이 될 가능성이 적고 인공유로 양육한 아이들보다 지능검사 결과에서 3~10점 더 높다[1,2]. 이에 부모는 아동의 건강과 영양을 위해 모유수유를 해야 하며, 모든 아동은 좋은 영양분을 공급받을 권리가 있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I like my mother's milk [Internet]. New York: Author; c2016 [cited 2016 Aug 2]. Available from: http://www.unicef.or.kr/news/story_view.asp?idx58788. 

  2. World Health Organization. Infant and young children: Model chapter for textbooks for medical students and allied health professionals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c2009 [cited 2009 Nov 13]. Available from: http://apps.who.int/iris/bitstream/10665/44117/1/9789241597494_eng.pdf?ua1. 

  3.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Internet]. New York: Cornell University ILR School; c1989 [cited 1989 Nov 20]. Available from: https://www.unicef.org/cholera_toolkit/Resources/Annexes/Supporting_Resources/Annex_1A/Convention_Rights_of_the_Child.doc 

  4. Choi EJ, Park EJ, Kim HR, Oh MA, Lee NH, Choi JH. Survey on breastfeeding in Korea.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ASA); 2016 May. Report No.: 2016-17. 

  5. Kim SK, Kim YK, Cho AJ, Kim HR, Lim SE. The 2009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family health and welfare in Korea.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 (KIHASA); 2009 Dec. Report No.: 2009-33. 

  6. Dennis CL. Breastfeeding initiation and duration: A 1990-2000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002;31(1):12-32. https://doi.org/10.1111/j.1552-6909.2002.tb00019.x 

  7. Cho J, Ahn 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breastfeeding promotion program for mothers with breast engorgement following cesarean bir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2):170-178. https://doi.org/10.4040/jkan.2014.44.2.170 

  8. Choi EY, Park BS, Park SJ. Integrative review of domestic research papers on breast-feeding interven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1):441-452. https://doi.org/10.5762/KAIS.2016.17.1.441 

  9. Horta BL, Victora CG. Long-term effects of breastfeeding: A systematic review.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c2013 [cited 2016 Jan 30]. Available from: http://www.who.int/maternal_child_adolescent/documents/breastfeeding_long_term_effects/en/. 

  10. Guise JM, Palda V, Westhoff C, Chan BK, Helfand M, Lieu TA;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The effectiveness of primary care-based interventions to promote breastfeeding: Systematic evidence review and meta-analysis for th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Annals of Family Medicine. 2003;1(2):70-78. https://doi.org/10.1370/afm.56 

  11. Sinha B, Chowdhury R, Sankar MJ, Martines J, Taneja S, Mazumder S, et al. Interventions to improve breastfeeding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cta Paediatrica. 2015;104(S467):114-134. https://doi.org/10.1111/apa.13127 

  12. Jeong GH. Effect of th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promoting the breast-feeding practice in primipara [dissertation]. Seoul: Ewha Women University; 1997. p. 1-145. 

  13. World Health Organization. Evidence for the ten steps to successful breastfeeding [Internet]. Geneva: Authors; c1998 [cited 2009 Nov 13]. Available from: http://www.who.int/maternal_child_adolescent/documents/9241591544/en/. 

  14. World Health Organization. Indicators for assessing infant and young child feeding practices part 3: country profiles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c2010 [cited 2011 Nov 9]. Available from: http://apps.who.int/iris/bitstream/10665/44368/1/9789241599757_eng.pdf. 

  15. Higgins JPT, Green 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Internet]. London (UK): The Cochrane Collaboration; c2011 [cited 2016 Nov 29]. Available from: http://handbook.cochrane.org. 

  16. Wong KL, Fong DY, Lee IL, Chu S, Tarrant M. Antenatal education to increase exclusive breastfeeding: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4;124(5):961-968. https://doi.org/10.1097/aog.0000000000000481 

  17. Sterne JA, Sutton AJ, Ioannidis JP, Terrin N, Jones DR, Lau J, et al. Recommendations for examining and interpreting funnel plot asymmetry in meta-analyses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BMJ. 2011;343:d4002. https://doi.org/10.1136/bmj.d4002 

  18. Mattar CN, Chong YS, Chan YS, Chew A, Tan P, Chan YH, et al. Simple antenatal preparation to improve breastfeeding practic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7;109(1):73-80. https://doi.org/10.1097/01.AOG.0000249613.15466.26 

  19. Yun SE, Lee HK. Effects of breast-feeding adaptation, attitude and practice of primipara depending on method of postpartum breast-feeding educa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2;18(2):75-84. https://doi.org/10.4069/kjwhn.2012.18.2.75 

  20. Pugin E, Valdes V, Labbok MH, Perez A, Aravena R. Does prenatal breastfeeding skills group educatio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a comprehensive breastfeeding promotion program? Journal of Human Lactation. 1996;12(1):15-19. https://doi.org/10.1177/089033449601200105 

  21. Kim HR. Breastfeeding trends, affecting factor and policy option for breastfeeding promotion in Korea.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3;201:49-60. 

  22. Yang HJ, Seo JM. Concept analysis of effective breastfeeding.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1;17(4):317-327. https://doi.org/10.4069/kjwhn.2011.17.4.317 

  23. Cho KJ, Lee KJ, Lee OJ. The effect of the educational program on caring-confidence and rearing attitude in mothers with newbor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999;5(1):84-96. 

  24. Lee AR, Park MH. Primiparas' perceptions of their newborns related to feeding method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995;1(1):16-25. 

  25. Schreck PK, Solem K, Wright T, Schulte C, Ronnisch KJ, Szpunar S. Both prenatal and postnatal interventions are needed to improve breastfeeding outcomes in a low-income population. Breastfeeding Medicine. 2017;12(3):142-148. https://doi.org/10.1089/bfm.2016.0131 

  26. Kluka S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test the effect of an antenatal educational intervention on breastfeeding duration among primiparous women [dissertation]. Vancouver: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2004. p. 1-229. 

  27. Park YH, Park MK. Effects of couple breastfeeding education program for the enhancement of primipara suyu.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7;17(6):329-338. https://doi.org/10.5392/JKCA.2017.17.06.329 

  28. Chapman DJ, Damio G, Young S, Perez-Escamilla R. Effectiveness of breastfeeding peer counseling in a low-income, predominantly Latina popul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ives of Pediatrics and Adolescent Medicine. 2004;158(9):897-902. https://doi.org/10.1001/archpedi.158.9.897 

  29. Bunik M, Shobe P, O'Connor ME, Beaty B, Langendoerfer S, Crane L, et al. Are 2 weeks of daily breastfeeding support insufficient to overcome the influences of formula? Academic Pediatrics. 2010;10(1):21-28. https://doi.org/10.1016/j.acap.2009.09.014 

  30. Jang GJ. Kim SH. Effects of breast-feeding education and support services on breast-feeding rates and infant's grow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2):277-286. https://doi.org/10.4040/jkan.2010.40.2.27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