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상물 시청에 발현된 감성 유인가의 차별적 영향과 편집속도와의 상호작용
Differential effects of the valenced content and the interaction with pacing on information processing while watching video clips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2 no.1, 2009년, pp.33 - 44  

이승조 (중앙대학교 미디어공연영상대학 신문방송학부)

초록

본 연구는 방송 영상물을 시청할 때 나타나는 감성적으로 긍정적 내용과 부정적 내용의 차별적 영향에 대해 탐구하는 한편, 형식적 특성 중 하나인 편집속도와의 상호작용을 고찰하였다. 연구는 실험으로 진행하였으며, 피험자가 메시지를 보는 동안 심박률과 피부 전도성 측정을 통해 주의와 각성 수준을 관찰하였다. 전체 메시지를 다 본 후 피험자들은 자유회상기억에 관한 문항을 작성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각성 수준을 통제하였을 때, 수용자들은 긍정적 내용보다 부정적 내용에 더 주의를 기울였지만 기억하는 정도는 반대로 긍정적 내용이 우세하였다. 한편 편집속도를 높이는 것이 감성적인 내용에 대한 반응에서 각성, 주의, 그리고 기억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 효과는 긍정적, 부정적 내용에 따라 차별적이었다. 편집속도를 높이는 것이 부정적인 내용에는 별로 효력이 없거나 오히려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감성 연구에서 감성 유인가의 비대칭성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또한 감성 유인가적 내용과 형식적인 특성과의 상호작용이라는 새로운 연구 영역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differential impact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content and the interaction with pacing, as a structural feature, on information processing while watching televised video clips with moderately intensive emotional tone. College participants watched six positive messages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는 영상물 제작의 형식적 특성 중 하나인 편집속도의 영향이 긍정적 및 부정적 내용에 대한 수용자의 반응에서 차별적으로 발현하는지에 관해 고찰하였다. 지난 10여 년간 매개 메시지 정보처리과정에서 편집속도의 영향에 관한 상당한 연구가 진척 되었다.
  • 본 연구는 방송 영상물에 담겨있는 감성적으로 긍정적 내용(positive content)과 부정적 내용(negative content)이 수용자 반응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에 대해 조사하는 한편, 형식적 특성 중 하나인 편집속도(pacing)와의 상호작용에 대해 탐구하였다. 감성 연구에서 긍정성과 부정성은 흔히 감성 유인가(emotional valence)라는 포괄적 개념의 하위 구성요소로 지칭하는데, 감성 유인가를 단일체계로 정의하여 긍정적 감성과 부정적 감성을 즐거움-고통이나 쾌-불쾌 등으로 이어지는 대칭적 요소로 이해하려고 하는 오랜 전통이 있다.
  • 본 연구는 방송 영상물을 시청할 때 수용자의 정보 처리과정에서 발현되는 감성적 내용에 대한 차별적 반응과 형식적 특성과의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주요 결과는 첫째, 매개 메시지에 담겨있는 감성적으로 긍정적 내용과 부정적 내용은 주의와 기억에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는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긍정적 감성과 부정적 감성이 서로 독립적인 기원을 갖고 있으며, 다른 기능적 기제를 갖고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본 연구는 특히 서로 다른 분야에서 연구되던 감성 유인가 특성이 이끌어 내는 주의와 기억에 대한 상대적 우위를 통합적으로 보여주는 데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된다.
  • 8) 부정적 내용과 긍정적 내용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각성 수준의 통제가 필수적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각성 수준을 통제하면 주의 반응에서는 부정성 우위가, 기억 반응에서는 긍정성 우위가 나타날 것이라고 예측하고 그 결과를 살펴보았다.
  • 33) 편집속도와 감성의 한 차원인 각성 수준과의 상관관계에 관해서는 상당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현재까지 편집속도와 감성의 다른 주요 차원인 유인가와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는 없다. 본 연구에서는 편집속도가 각성 차원뿐만 아니라 감성 유인가 차원과도 일정한 상관관계를 가질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 12) 편집속도의 적절한 사용과 관련하여 각성 수준과의 상호작용에 관해서는 상당히 연구되었지만 감성 유인가와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는 수행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편집속도와 같은 형식적 특성은 감성 유인가와 같은 내용적 특성과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가정아래, 편집속도가 긍정적 내용과 부정적 내용에 따라 각성, 주의 및 기억 반응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가설 설정

  • 일례로 Lang은 방송영상물과 같은 매개 메시지의 정보에 주의가 많이 기울어진다고 해서 기억도 잘 되리라는 보장은 없다고 주장하였다.15) 어떤 정보는 주의는 많이 끌어도 기억은 잘 되지 않을 수 있고, 반면 상대적으로 주의를 많이 끌지는 못한 정보가 기억은 잘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주의와 기억에 영향을 주는 정보의 속성이나 특성은 다를 수 있다고 가설을 세울 수 있는 근거가 된다.
  • 16) 부정적 정보가 긍정적 정보에 비해 더 주목을 받는 이유는 인간은 근본적으로 부정적 정보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생존을 위해 인간은 생명의 위협을 초래할 수 있는 상황이나 대상에 대해 끊임없이 경계하며 살아가야만 한다.
  • 예컨대, Lang과 동료들은 빠른 편집 속도와 각성 수준이 높은 내용이 결합되면 인지 과부하 상태를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32) 흥분 정도가 높은 내용이나 빠른 편집속도 모두 많은 정신자원의 소모를 요구하기 때문에 두 요소를 결합시키면 인지 과부하 상태를 일으켜 수용자들은 그 내용을 따라가기 벅차게 된다. 그러면 수용자들은 정보수용을 이탈하게 되는데 이는 주의력을 떨어뜨리고 기억을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 가설 1: 감성적으로 긍정적 내용에 비해 부정적인 내용을 담은 방송 영상물을 시청할 때 피험자들의 심박률은 더욱 저하되는 반면, 기억은 부정적 내용에 비해 긍정적 내용이 더 잘될 것이다.
  • 가설 2: 편집속도가 느린 방송 영상물에 비해 빠른 방송 영상물을 시청할 때 피험자들의 피부전도성 반응은 더 증가되고, 심박률은 더 저하되고, 그 내용을 더 잘 기억할 것이다.
  • 가설 3: 편집속도가 느린 방송 영상물에 비해 빠른 방송 영상물을 시청할 때 크게 나타나는 피부 전도성 반응의 증가, 심박률의 저하와 기억 수준의 증가는 긍정적 내용에 비해 부정적 내용에서 더 약하게 나타날 것이다.
  • <가설 2>는 둘째, 편집속도가 느린 영상물에 비해 빠른 영상물에 대한 반응에서 심박률이 더 저하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심박률 자료 분석에서 편집속도 × 시간 상호작용은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F(11, 506) = 4.
  • 46) 하지만 주의와 기억은 기본적으로는 상호 독립적이어서 주의를 많이 기울인다고 기억을 잘한다는 보장이 없으며 상황에 따라서는 주의를 많이 끌지 못한 정보가 더 잘 기억 될 수 있다고 주장이 있었는데,47) 이러한 주장에 대한 중요한 증거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요약하면 본 연구는 주의와 기억의 독립성과 이에 대한 감성 유인가의 차별적 영향이라는 가설을 뒷받침한다. 이것은 미디어 영역에서 감성과 인지의 다양한 상호작용과 관련된 흥미로운 연구 주제를 제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각성 수준을 통제할 때 수용자들은 어떤 내용에 더 집중하는가? 전체 메시지를 다 본 후 피험자들은 자유회상기억에 관한 문항을 작성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각성 수준을 통제하였을 때, 수용자들은 긍정적 내용보다 부정적 내용에 더 주의를 기울였지만 기억하는 정도는 반대로 긍정적 내용이 우세하였다. 한편 편집속도를 높이는 것이 감성적인 내용에 대한 반응에서 각성, 주의, 그리고 기억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적인 내용에 대한 반응에서 편집속도를 높이는 것은 어떤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는가? 연구의 결과는 각성 수준을 통제하였을 때, 수용자들은 긍정적 내용보다 부정적 내용에 더 주의를 기울였지만 기억하는 정도는 반대로 긍정적 내용이 우세하였다. 한편 편집속도를 높이는 것이 감성적인 내용에 대한 반응에서 각성, 주의, 그리고 기억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 효과는 긍정적, 부정적 내용에 따라 차별적이었다.
긍정성과 부정성의 차이로 비친 결과는 실제로는 각성이라는 제3의 변인의 간섭 현상에서 파생된 왜곡일 수 있는 까닭은? 각성이란 감성적 흥분의 강도를 의미한다. 각성을 같은 수준에서 통제하지 않고 감성적 내용을 담은 자극물을 선정하면 대체로 부정적인 내용이 긍정적인 내용보다 높은 각성 수준을 보인다.7) 따라서 긍정성과 부정성의 차이로 비춰진 결과는 실제로는 각성이라는 제 3의 변인의 간섭 현상에서 파생된 왜곡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