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표화 산불피해지의 수종별 임목 고사율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Mortality in Species of Trees after Surface Forest Fire 원문보기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9 no.2, 2009년, pp.39 - 43  

이시영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안상현 (충북대학교 정보산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표화 산불피해지에서 우리나라에 가장 많이 분포하는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리기다소나무, 해송, 삼나무, 참나무류 등 7개 수종의 임목고사율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임목고사율은 삼나무>잣나무>소나무>해송>낙엽송>리기다소나무>참나무류 순이었다. 또한, 수간피해율이 높을수록 고사율이 높게 나타났고, 흉고직경이 클수록 고사율은 낮은 경향이었다. 특히 참나무류의 경우 수간 및 수관피해율이 30%이하에서는 거의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tudied and analyzed a tree mortality of 7 species(Pinus koraiensis etc) in surface forest fire area. In this results, the order of tree mortality was Cryptomeria japonica>Pinus koraiensis>Pinus densiflora>Pinus thunbergii>Larix leptolepis>Pinus rigida>Quercus. More damaged crown was higher tre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산불피해지에서의 수종별 수간 및 수관 피해율과 임목고사율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수종별 산불피해 특성을 구명코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경북 영덕 등 36지역의 지표화 산불피해지에서 수종별 수간 및 수관피해율에 의한 임목고사율을 조사하여 수종별 산불피해특성을 구명코자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상을 입는 주 방향은 무엇인가? 지표화(地表火)가 일어나는 경우에는 관목층의 일부, 초본층의 대부분과 임상(林床)의 낙엽과 낙지 등의 지피물만 타며 교목의 경우에는 화염의 높이나 바람의 방향, 풍속 등의 영향으로 줄기의 어느 정도 높이까지 화상이나 그을음이 형성된다. 화상을 입는 주 방향은 산불이 진행되는 반대방향이며 이를 편면연소(片面燃燒)라고 한다(임야화재대책연구회. 1984).
산불이 발생하면 임목은 무엇에 따라 피해 정도가 달라지는가? 산불이 발생하면 임목은 산불의 강도에 따라 그 피해 정도가 달라진다. 지표화(地表火)가 일어나는 경우에는 관목층의 일부, 초본층의 대부분과 임상(林床)의 낙엽과 낙지 등의 지피물만 타며 교목의 경우에는 화염의 높이나 바람의 방향, 풍속 등의 영향으로 줄기의 어느 정도 높이까지 화상이나 그을음이 형성된다.
표화 산불피해지에서 우리나라에 가장 많이 분포하는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리기다소나무, 해송, 삼나무, 참나무류 등 7개 수종의 임목고사율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지표화 산불피해지에서 우리나라에 가장 많이 분포하는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리기다소나무, 해송, 삼나무, 참나무류 등 7개 수종의 임목고사율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임목고사율은 삼나무>잣나무>소나무>해송>낙엽송>리기다소나무>참나무류 순이었다. 또한, 수간피해율이 높을수록 고사율이 높게 나타났고, 흉고직경이 클수록 고사율은 낮은 경향이었다. 특히 참나무류의 경우 수간 및 수관피해율이 30%이하에서는 거의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채희문 (2003) 산림미세연료에 의한 초기 산불확산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2. 日本 消防序 消防硏究所 (1988) 林野火災に對する硏究. Vol. 21, pp. 1-126 

  3. 日本 林野火災對策硏究會 (1983) 林野火災實務手引書. pp. 1-130 

  4. 日本 森林保存硏究會 (1983) 森林災害の見方, pp. 13-97 

  5. Brown, J. K. and DeByle, N. V. (1987) Fire damage, mortality, and Suckering in aspen. Can. J. For. Res. Vol. 17, pp. 1100-1109 

  6. George R. Fahnestock and Robert C. Hare. (1964) Heating of tree Trunks in Surface fire. Journal of forest. Vol. 62, pp. 799-805 

  7. Peterson, D. L. and Arbaugh, M. J. (1989) Estimating postfire survival of Douglas-fire in the Cascade Range. Can. J. For. Res. Vol. 19, pp. 530-533 

  8. Robert C. H. (1965) Contribution of bark to fire resistance of Southern Tree. Journal of Forestry, pp. 248-251 

  9. Storey, T.G and Merkel, E. P. (1960) Mortality in A Longleaf-Slash Pine Stand Following a Winter Wildfire. Journal of forestry. Vol. 58, pp. 206-210 

  10. Tunstall B. R., Walker J. and Gill A. M. (1975) Temperature Distribution Around synthetic Tree During Grass Fire. For. Sci. Vol. 22, pp. 269-27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