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전통마을 여가공간의 보행동선 분석 - 외암민속마을을 사례로 -
Visitor Circulation in Leisure Spaces using Space Syntax - Focusing on Ouam Traditional Folk Village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7 no.1, 2009년, pp.1 - 8  

송나균 (한국농촌공사) ,  여정태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  고동완 (경기대학교 관광개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여가공간에서의 경험은 이용객들이 움직이는 동안 직접적이고 연속적인 시각적 접촉을 통해 형성된다. 이용객의 움직임은 획득하는 지식과 정보의 양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이다. 따라서 이용객의 움직임을 고려한 보행동선은 시설이용을 용이하게 하여 쾌적하고 활력적인 공간을 조성하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합리적인 동선계획은 공간의 이용 및 활성화, 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궁극적으로 공간의 이용가치를 증대시키는 수단이고, 무질서한 동선체계는 길찾기(wayfinding)의 어려움으로 인해 부정적 경험을 유발한다. 본 연구는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활용하여 여가공간의 공간구조 지표와 보행량의 상관관계, 방문객의 움직임 등 보행동선 체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인 외암마을은 민속마을로 지정되어 많은 관람객이 방문하는 전통마을로 정주공간이 여가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는 대표적 사례이다. 연구 결과, 외암마을의 보행동선 구조는 전형적인 트리(tree)구조를 지니고 있어 자연스러운 동선을 형성하고 있지만, 여가공간의 측면에서는 공간의 인지도가 낮아 방문객들이 공간체험 시 길을 잃을 위험이 많고, 경제적인 관람을 유도하기가 어려운 구조를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정주공간인 전통마을이 여가공간으로 이용되는 과정에서는 추가적으로 보행체계의 조정과 보충이 필요하다. 또한, 공간구문론은 다른 유형의 여가공간에서 공간구조 및 보행체계 분석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er movement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amount of the acquired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space contexts. A reasonable circulation plan affects the spatial usage, space revitalization, and activity satisfaction, and is ultimately a means to increase spatial usefulness. On the 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여가공간의 보행동선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여가공간의 계획설계에서 공간구조적 접근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전통마을로 많은 관광객이 이용하고 있는 외암(外巖)마을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였다.
  • 특히, 본 연구는 정주공간인 전통마을이 여가공간으로 이용되는 과정에서의 보행체계 특성을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보행동선 체계를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방법으로 평가되고 있는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활용하여 외암마을의 보행동선 체계를 분석하고, 보행동선 계획관리의 지침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전통마을의 공간구조와 보행동선 체계의 문제를 여가공간의 측면에서 분석 및 계획관리의 전략을 논의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보행동선 체계를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대표적인 전통마을인 외암마을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정주형 역사환경인 전통마을이 민속마을이라는 문화재로 보존되고, 전통 문화유산이 여가공간으로 이용되는 과정에서의 보행동선 체계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 양승정과 박용환(2005), 장동국과 박강철(2000) 등은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전통마을의 공간구조를 논의하고 있으나 본 연구는 여가공간의 관점에서 전통마을의 공간구조 및 보행특성을 논의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가 여가공간에서 질적으로 가치 있는 경험을 가질 수 있게 하기 위해 여가공간의 동선과 공간의 사용패턴이 일치해야 한다는 전제하에 보행동선 체계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정주공간인 전통마을이 여가공간으로 이용되는 과정에서의 보행체계 특성을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
  • 양승정과 박용환(2005), 장동국과 박강철(2000) 등은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전통마을의 공간구조를 논의하고 있으나 본 연구는 여가공간의 관점에서 전통마을의 공간구조 및 보행특성을 논의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연구의 보행동선 체계 분석은 전통마을 관람객의 보행을 논의하는 것으로 전통 정주공간이 아닌 전통마을의 여가공간화에 따른 공간구조 및 보행동선 체계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가 여가공간에서 질적으로 가치 있는 경험을 가질 수 있게 하기 위해 여가공간의 동선과 공간의 사용패턴이 일치해야 한다는 전제하에 보행동선 체계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정주공간인 전통마을이 여가공간으로 이용되는 과정에서의 보행체계 특성을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보행동선 체계를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방법으로 평가되고 있는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활용하여 외암마을의 보행동선 체계를 분석하고, 보행동선 계획관리의 지침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가공간에서의 경험이 형성되는 과정은? 여가공간에서의 경험은 이용객들이 움직이는 동안 직접적이고 연속적인 시각적 접촉을 통해 형성된다. 이용객의 움직임은 획득하는 지식과 정보의 양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이다.
이용객의 움직임을 고려한 보행동선이 필수적인 이유는? 여가공간에서의 경험은 이용객들이 움직이는 동안 직접적이고 연속적인 시각적 접촉을 통해 형성된다. 이용객의 움직임은 획득하는 지식과 정보의 양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이다. 따라서 이용객의 움직임을 고려한 보행동선은 시설이용을 용이하게 하여 쾌적하고 활력적인 공간을 조성하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보행동선이 인간의 행동을 수용하는 오픈 스페이스의 기능을 담당함에 따라 필요한 것은? 보행동선은 길을 걷는 것과 같은 단순히 통로(route)의 기능뿐만 아니라 인간의 행동을 수용하는 오픈 스페이스의 기능도 담당한다. 따라서 보행동선은 동선 자체가 가지고 있는 통로로서의 독자성을 나타내야 하고, 또한 그것이 쉽게 식별되어야 하며, 그에 연속성과 방향성이 주어져야 한다(이규목, 1987). Passini(1984)에 따르면 움직임(流動)이란 환경을 지각, 인지하고 여기서 얻어진 정보를 바탕으로한 판단과정을 반복하는 의사결정의 반복이라고 하였다(김지은,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강성래(2002) 공간구문론에 의한 가로배치 형태와 상업분포패턴의 상관성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영환(2001) 도시의 공간구조와 움직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1(1): 431-434 

  3. 권영환, 최윤경(2003) 도시공간구조의 보행자 움직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9(1): 89-96 

  4. 김승재(1988) Space Syntax에 관한 기초적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4(3): 149-156 

  5. 김영욱(2000) 공간형태와 공간인식의 상호관련성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6(10): 37-44 

  6. 김영욱(2003) Space Syntax를 활용한 공간구조속성과 공간사용패턴의 상호관련성 연구. 대한국토 . 도시계획학회지 38(4):4-17 

  7. 김원, 이규목(1997) 공원계획과 설계. 조경연구회 

  8. 김지은(2003) 공간구문과 이용자 움직임을 고려한 지하 복합상업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찬주(2002) 옥외공간의 공간구성 연계성에 따른 아파트 거주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형국(1997) 한국공간구조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1. 박인환, 정보광, 장갑수(2007) 공간구문론과 ERAM 모델을 활용한 대학 캠퍼스 내 '소로' 특성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5(4): 32-39 

  12. 신행우(2003)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도시 공간구조 분석. 대한건축학회지 23(2): 767-770 

  13. 안은희, 강석진(2002) 대규모 지하 상업공간에서의 보행자의 움직임과 경로선택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0(9): 21-28 

  14. 양승정, 박용환(2005) 길의 구조로 본 한국전통마을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1(7): 39-48 

  15. 유신영(1996) 건축 평면 구조가 건물 이용자의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2(6): 105-112 

  16. 윤용우(2005) 공간형태와 공간인식: 공간인식에서 공간깊이와 물리적인 거리의 역할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규목(1987) 도시속의 길. 공간 

  18. 이규인(1993) 공동주택단지 공간구조의 분석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이규인, 이광노(1993) 공동주택단지 공동공간의 공간구조 분석 및 계획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9(2): 107-114 

  20. 이규인(1995) 공동주택단지 동선의 사회적 특성과 통행량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학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11(1): 113-121 

  21. 이규인(1996)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동선체계 합리화 연구.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22. 이중구(1998) '여가문화와 놀이'. 대경 

  23. 임현식, 김영욱(2003) Space Syntax를 활용한 보행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기초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3(1): 551-554 

  24. 장동국, 박강철(2000) 공간구문모델에 의한 한국전통마을 공간구조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6(1): 33-43 

  25. 최윤경, 민병호(1998). 공간 구조와 학습이 길찾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4: 53-60 

  26. 최재필, 이기완(2002)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범죄 취약공간 해석에 관한 연구 -아파트단지 주호 절도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 18(3): 53-61 

  27. Berg, Mary and Elliott A. Medrich(1980) Children in four neighborhoods-The physical environment and its effect on play and play pattern, Environment and Behavior 12(3): 320-348 

  28. Down, R and D. Stea(1973) Cognitive Maps and Cognitive Maps: Press and Product. In Roger eds. Image and Environment: Cognitive Maps and Cognitive Maps. Aldine 

  29. Gold, Seymour M.(1980), Recreation Planning and Design, McGraw-Hill 

  30. Hillier, B.(1996) Space is The Machine. Cambridge University 

  31. Hillier, B., A. Hanson, J. Grajewski T., and J. Xu(1992) Natural movement: or, configuration and attraction in urban pedestrian movement.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20: 29-66 

  32. Hillier, B. and J. Hanson(1984)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 Press 

  33. Lynch, K.(1960) The Image of the City. MIT Press 

  34. Passini, R.(1984) Wayfinding in Architecture. New York NY: Van Noatrand Reinhold 

  35. Werner, R.(1984) Orientation in the built environ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Systems 13(4): 291-3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