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마을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전통마을 공간 구조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Spatial Structure of Traditional Villages for Revitalization of the Community in Urban Villages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19 no.6, 2008년, pp.85 - 93  

문지원 (경북대학교) ,  김주현 (경북대학교 건축공학과) ,  하재명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areas, traffic lines and characteristics of block of traditional villages in order to suggest how to build urban village in the way that can solve problems occurring in residential areas these days.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1) Traditional villages have definite b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도시마을의 커뮤니티 활성화에 도움이 될 물리적 특성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선행연구(박선경, 2004)에서 다루었던 도시마을을 커뮤니티 측면에서 재검토하여 물리적 특성들을 도출한 후, 그 특성들이 과연 과거 우리네의 전통적인 마을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전통마을에서도 이러한 특성들이 유사하게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2) 다시 말해, 도시마을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계획원리들에 대한 근거를 전통마을의 공간구조 특성에서 찾아보고자 하였다.
  • 또한, 하재명(1989)은 이웃과의 관계 형성을 통해 생기는 근린의식은 사회 경제적인 변인 뿐만 아니라 주거지내 도로망의 체계에 의해서도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결과를 제시하였고, 김영재(2002)는 근린관계라는 것이 물리적 환경과 거주자들의 행태들간에 형성된 일정한 패턴들의 반복을 통해서 만들어지므로 물리적 환경(공간구조, 근린주변환경)이 근린의식과 근린관계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들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도시마을의 공간구조 분석을 통해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키는데 필요한 물리적 특성들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선 체계”를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물리적 특성으로 추출하여 전통마을에서도 이러한 특성들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을의 영역”을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물리적 특성으로 추출하여 전통마을에서도 이러한 특성들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구 특성”을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물리적 특성으로 추출하여 전통마을에서도 이러한 특성들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바람직한 도시마을 조성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도시마을 커뮤니티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활성화시키는데 필요한 물리적 특성들을 과거 우리네 마을들의 공간구조 특성 분석을 통해 찾아보고자 하였다. 즉, 선행연구에서 다루었던 도시마을을 커뮤니티 측면에서 재검토하여 물리적 특성들을 도출한 후, 그 특성들이 과연 과거 우리네의 전통적인 마을들, 특히 전통마을에서도 이러한 특성들이 유사하게 나타나는지 검증함으로써 도시마을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계획원리들에 대한 근거를 전통마을의 공간구조 특성에서 찾아내고자 하였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 또한 도시마을의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키는데 필요한 물리적 특성들을 과거 우리네 마을들의 공간구조 특성 분석을 통해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도시마을의 커뮤니티 활성화에 도움이 될 물리적 특성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선행연구(박선경, 2004)에서 다루었던 도시마을을 커뮤니티 측면에서 재검토하여 물리적 특성들을 도출한 후, 그 특성들이 과연 과거 우리네의 전통적인 마을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전통마을에서도 이러한 특성들이 유사하게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2) 다시 말해, 도시마을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계획원리들에 대한 근거를 전통마을의 공간구조 특성에서 찾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전통마을 공간구조 분석을 통해서 현대 도시마을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계획원리의 근거를 찾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하지만, 전통마을의 커뮤니티 구성 원인이나 커뮤니티와 그 환경과의 관계 측면을 간과하고 물리적 측면만을 강조한 점, 그리고 과거의 우리네 마을들 중 전통마을만을 다루었다는 점에서는 연구의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본 장에서는 앞서 도출한 커뮤니티 활성화 측면에서의 도시마을 물리적 특성들을 토대로 과거 우리네 마을들에서도 이와 유사한 특성들이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자연적으로 형성되었던 과거 우리네 마을들 중 가장 오래된 전통마을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 또한 도시마을의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키는데 필요한 물리적 특성들을 과거 우리네 마을들의 공간구조 특성 분석을 통해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도시마을의 커뮤니티 활성화에 도움이 될 물리적 특성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선행연구(박선경, 2004)에서 다루었던 도시마을을 커뮤니티 측면에서 재검토하여 물리적 특성들을 도출한 후, 그 특성들이 과연 과거 우리네의 전통적인 마을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전통마을에서도 이러한 특성들이 유사하게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바람직한 도시마을 조성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도시마을 커뮤니티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활성화시키는데 필요한 물리적 특성들을 과거 우리네 마을들의 공간구조 특성 분석을 통해 찾아보고자 하였다. 즉, 선행연구에서 다루었던 도시마을을 커뮤니티 측면에서 재검토하여 물리적 특성들을 도출한 후, 그 특성들이 과연 과거 우리네의 전통적인 마을들, 특히 전통마을에서도 이러한 특성들이 유사하게 나타나는지 검증함으로써 도시마을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계획원리들에 대한 근거를 전통마을의 공간구조 특성에서 찾아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커뮤니티 와해 문제를 좀 더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는 이유는? 그 중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티 와해 문제를 좀 더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왜냐하면,주차문제는 공지손실이 발생하여 커뮤니티 와해의 원인이 되고 있고, 단독주택지역 안에 다세대주택이나 근린생활시설 등이 신축되는 현상들은 결과적으로는 마을 주민들의 커뮤니티 시설이 될 수 있는 오픈 스페이스 부족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자연 발생적으로 형성된 노후화된 주거지의 기반시설을 확보하고자 시행된 재개발사업이나 주거환경개선사업은 기존에 형성되었던 커뮤니티를 해체시키고, 획지분할에 치중한 주거지를 조성하여 이웃과의 관계를 단절시키는 주된 원인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우리나라 대부분의 도시마을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은 거주자의 이용행태 및 주거 생활을 고려하지 않고 주택지내 가로망 계획에 치중하여 개발했기 때문에 나타난 것들로 이로 인해 획일적이고, 평면적이며 비영역적인 가로공간이 조성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하재명, 2005), 우리나라 전통적인 과거의 마을에서 볼 수 있었던 근린공동체 의식마저 붕괴되고 있는 실정이다(박선경, 2004).
마을이란? 마을이란,물리적 범위만을 의미하는 동네와 달리 마을 사람들과 마을 공동체까지를 포함하고 있어 다양한 공동체적인 경험을 공유하고 생활환경의 개선을 모색하는 주체로서의 의미를 담고 있다(이경희, 2000).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현대 우리의 주거지가 70% 이상 차지하고 있는 도시에는 마을다운 “마을”이 없다.
도시에 형성된 주거지는 어떻게 구분되어 지는가? 도시에 형성된 주거지는 크게 공동주택지와 단독주택지로 구분되어진다. 이 중 과거 전통마을과 유사한 형태인 단독주택지는 공급자 위주의 개발방식으로 실제 거주자들의 편의와 기호를 배제한 채 계획, 공급되어 다양한 주거 환경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정재용,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이경희(2000), 더불어 사는 마을 만들기, 한국주거학회 추 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2. 정재용(2006), 서울 단독주택지의 주거환경 문제와 개선방 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2), 163 

  3. 김귀용(2003), 우리나라 단독주택지역에 적용 가능한 가구 형 집합주택 계획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이정형(2002), 주거환경정비와 경관계획, 대한건축학회지 건축, 25 

  5. 김철영(2006), 분당신도시 단독주택지 개발실태 분석에 따 른 도시설계지침의 문제점과 개선과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5), 200-201 

  6. 하재명(2007),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주거지 계획방향, 한국주거학회 국제학술발표대회논문집 

  7. 하재명(2005),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도시 단독주택지 가 로공간 계획,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1(4), 159 

  8. 박선경(2004), 마을형 단독주택지의 물리적 특성과 주거만 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5(1), 153, 154-155 

  9. 한필원(1996), 전통마을의 환경생태학적 해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7), 121-122 

  10. 고석철(2002), 전통마을의 문화지속성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29(6) 

  11. 한필원(2003), 한국 남부 씨족마을과 중국 여강지역 납서 족마을의 수체계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1) 

  12. 서기영(2004), 전통주거지에 내재된 지속가능한 계획요소 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9) 

  13. 박성희(2006), 한국전통건축 생태요소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9) 

  14. 양승정(2006), 한국전통마을 공간구성의 시설배치특징에 관 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40), 169 

  15. 제해성(1990), 주거지역의 도로유형과 영역성능의 평가; 쿨 데삭과 통과도로의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6(3), 125 

  16. 김영석(2001), 도시단독주택지에 있어서 환경과 행동과의 상호침투관계 고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7(10) 

  17. 하재명(1989), 주거지내 도로망유형에 따른 거주자의 근린 의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5(5) 

  18. 김영재(2002), 도시 주거지 근린관계분석을 위한 방법론연 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11) 

  19. 변희협(1988), 근린의식 향상을 위한 반사적 영역의 계획 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8(1), 201 

  20. 김철수(2007), 단지계획, 기문당 

  21. 한필원(2004), 한국의 전통마을을 가다, 북로드 

  22. 김재중(2003), 안도 타다오의 전시시설에 있어서 동선체계 의 유형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이서경(2006), 상업화에 따른 단독주택지역 가로구조의 변 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10), 255 

  24. 강선중(1984), 한국 전통마을의 공간구성방법에 대한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양승정(2005), 길의 구조로 본 한국전통마을의 공간적 특 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1(7), 40 

  26. 우은경(2001), 마을형 단독주택지의 주거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