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출법에 따른 참당귀의 부위별 정유성분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Compounds in Plant Parts of Angelica gigas Nakai by Extracting Methods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7 no.6, 2009년, pp.427 - 433  

임상현 (강원도 농업기술원 농산물이용시험장) ,  박유화 (강원도 농업기술원 농산물이용시험장) ,  함헌주 (강원도 농업기술원 농산물이용시험장) ,  김희연 (강원도 농업기술원 농산물이용시험장) ,  정햇님 (강원도 농업기술원 농산물이용시험장) ,  김경희 (강원도 농업기술원 농산물이용시험장) ,  안영섭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the shoot and root of Angelica gigas Nakai were extracted by HE (Hydrodistillation extraction), SDE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 extraction), and SFE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ystem), and analyzed by GC-MS. The amount and the number of chemical compone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참당귀 지상부와 지하부의 정유를 여러 추출방법별로 얻어 분석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어져 왔지만 지상부와 지하부의 정유를 추출법별로 동시에 비교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지하부만 한약재로 사용되고 지상부는 폐기되고 있는 참당귀의 지상부 활용방안을 찾고, 한약재로만 사용되는 지하부의 새로운 가공 활용 방안을 찾고자 추출방법별 얻어지는 정유의 수율 및 성분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참당귀란? 참당귀 (Angelica gigas Nakai)는 미나리과의 Angelica속 식물로, 우리나라와 중국의 동북부 지역에 자생하며 경북 봉화, 강원 평창, 삼척, 정선, 인제 등지에서 재배되고 있으며(Cho et al., 2003), 개화기 전의 뿌리를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한다.
참당귀가 가진 작용은? , 2003), 개화기 전의 뿌리를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한다. 참당귀는 진정작용, 진통억제, 강장제뿐만 아니라 빈혈치료에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한약재로 토끼의 호흡억제와 혈압강하작용, 생쥐의 수면작용 변동효과 자발작용 억제 효과, 항암활성 등의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Kim, 2005; Lee et al., 2008; Lee, 2008).
참당귀의 향기성분 중 휘발성 성분에는 무엇이 있는가? 참당귀 전초와 뿌리의 정유 성분을 분석한 결과 주요 성분에 있어서 정성적 차이는 없었으나, 함량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였다. 주요 휘발성 성분은 nonane, α-pinene, limonene, β-phellandrene이였으며 이중 nonane과 α-pinene의 경우 전초에서는 7.5%, 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i HJ and Kim HS. (1988). Studies on essential oils of plants of Angelica genus in Korea (I). Essential oils of Angelica gigantis Radix.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19:239-247 

  2. Choi HJ, Wang HY, Kim YN, Heo SJ, Kim NK, Jeong MS, Park YH and Kim SM. (2007). Composition and cytotoxicity of essential oil extracted by steam distillation from horseweed (Erigeron canadensis L.)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51:55-59 

  3. Choi SH and Kim HJ. (2000).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Angelica gigas Nakai by the storage condition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2:513-518 

  4. Choi JE, Joo OJ, Bae GN, Lee SB, Moon GJ and Yoon SC. (2005). Effect of α-pinene concentration on the photochemical reaction of Toluene-NO_x-air mixture. Proceeding of the 40th Meeting of KOSAE Korean Society for Atomospheric Environment. 468-489 

  5. Cho MG, Bang JK and Chae YA. (2003). Comparison of volatile compounds in plant parts of Angelica gigas Nakai and A. acutiloba Kitagawa.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1:352-357 

  6. Kawg JJ, Lee JG, Chang HH and Kim OC. (1998).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the domestic angelica root (Angelica gigas Nakai) extra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obacco Science. 20:210-217 

  7. Kim MR. (2005). A new analytical method for volatile components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in Korean medicinal plants, Danggui. Ph. D.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 1-74 

  8. Lee SE, Park CG, Seo JS, Kim GS, Ahn TJ and Seong NS. (2008). A reasonable collecting time of Angelica gigas Nakai and Atractylodes macrocephala according to collecting time and antioxidant activity.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Crop Science (Supplement I). 16:273-274 

  9. Lee SG. (2008). Comparison of activity of Angelica Gigas and Angelica Acutiloba from Kangwon.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2:1158-1162 

  10. Park YH and Kim SM. (2008). Composition and cytotoxicity of essential oil from korean rhododendron (Rhododendon mucronulatum Turcz. var. ciliatum Nakai).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51:233-237 

  11. Sin GH. (1996). Studies on the exploitation of traditional perfumery resources from aromatic plants. Seoul University. Research Report. p. 22-4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