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참당귀 잎, 줄기혼합물과 뿌리 추출물의 생리활성물질 및 그 활성작용
Bioactive Materials and Biological Activity in the Extracts of Leaf, Stem Mixture and Root from Angelica gigas Nakai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0 no.5 = no.121, 2010년, pp.750 - 759  

허진선 ((재)산청한방약초연구소) ,  차재영 (대선주조(주) 기술연구소) ,  김현우 (대선주조(주) 기술연구소) ,  안희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의생명과학과) ,  엄경은 (동아대학교 대학원 의생명과학과) ,  허수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의생명과학과) ,  조영수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리산 청정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참당귀의 생리활성 물질과 효능을 이용한 건강 기능성 식품 또는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참당귀의 잎, 줄기 혼합물 및 뿌리의 추출방법에 따른 phenolic compounds, flavonoids, minerals, decursin 및 decursinol angelate 등의 생리활성 물질 분석과 항산화 활성환원력을 측정하였다. 당귀 뿌리의 온수 추출물 수율은 21.89%로 가장 높았다. 페놀성 화합물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참당귀 잎, 줄기 혼합물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참당귀 뿌리 보다는 잎, 줄기 혼합물에서 높았고, 수용성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았다. 미네랄함량은 참당귀 잎, 줄기 혼합물 및 뿌리 모두에서 K, Mg, Fe, Na, Ca, Mn, Zn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HPLC 분석에 의한 참당귀 잎, 줄기, 뿌리의 decursin 및 decursinol angelate의 혼합 면적 비율은 각각 66.1%, 82.2%, 79.8%로 나타났으며, decursin은 13.0%, 37.6%, 47.1%로 뿌리에서 가장 높았고 decursinol angelate는 53.2%, 44.6%, 32.6%로서 잎에서 가장 높았다. Free radical scavenging 항산화활성은 참당귀 잎, 줄기 혼합물 및 뿌리 각각의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으며, 뿌리보다는 잎, 줄기 혼합물의 모든 추출물에서 항산화 활성이 높았다. Fe 및 Cu 환원력은 참당귀 잎, 줄기 혼합물 및 뿌리의 온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참당귀 잎, 줄기 혼합물의 추출물이 뿌리 추출물 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는데 이는 페놀성 화합물이나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참당귀 잎, 줄기 혼합물 및 뿌리의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결과 참당귀에탄올 추출물에서는 페놀성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환원력이 높았으며, 열수 추출물에서는 항산화 효과가 높아 참당귀 유래의 생리활성물질과 그 활성을 이용한 제품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해주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ioactive materials (phenolic compounds, flavonoids, minerals,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and biological activities (DPPH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capability, reducing power, and tyrosinase activity) in the extract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러한 약용식물을 이용한 건강증진 음료 개발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아직까지 미진한 상태이지만, 최근 들어 음료소비량이 많은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한 천연소재를 이용한 건강 지향적 음료개발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청정지역으로 알려진 지리산 일대에서 농가 소득 작목으로 많이 재배되고 있는 참당귀의 이용 가치를 높이고자 건강 지향적 식품 및 음료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우선 추출조건에 따른 생리활성 물질 및 그 활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참당귀의 한방 생리적 약효 성분은 무엇이 있나요? 또한 당귀는 혈류 개선 효과가 있어서 혈액순환 촉진 작용에 의한 노화 방지, 자외선 차단에 의한 주름개선, 조직 재생 및 tyrosinase 저해에 의한 미백효과도 알려져 있다[17]. 국내에서 자생되고 있는 참당귀의 한방 생리적 약효성분으로는 coumarine계의 decursin, decursinol, decursinol angelate, nodakenetin, nodakenin, umbelliferone, β-sitosterol, α-pinene, limonene 등이 함유되어 있다[10,20,33]. 특히 당귀 뿌리의 주요 성분인 decursin 및 decursinol angelate는 각각 봉화산 4.
봉화산, 영천산, 수원산의 참당귀의 뿌리 주요성분을 분석한 결과 decursin과 decursinol angelate의 비율은 각각 어떻게 나왔나요? 국내에서 자생되고 있는 참당귀의 한방 생리적 약효성분으로는 coumarine계의 decursin, decursinol, decursinol angelate, nodakenetin, nodakenin, umbelliferone, β-sitosterol, α-pinene, limonene 등이 함유되어 있다[10,20,33]. 특히 당귀 뿌리의 주요 성분인 decursin 및 decursinol angelate는 각각 봉화산 4.86 및 3.46%, 영천산 4.75 및 3.23%, 수원산 2.33 및 1.49%로 두 성분의 구성 비율은 6:4 정도로 재배환경에 따라 당귀의 유효성분이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34]. 참당귀의 주요 약효성분인 decursin과 decursinol angelate의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출 및 정제 방법에 관한 연구도 많이 진행되었다[12,32].
당귀란? 유용 식물자원으로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당귀는 주로 한국, 중국, 일본에서 한방 생약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예로부터 질병치료와 건강증진 목적으로 널리 이용 되어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생약재로서 방약합편의 한방약재 처방전에서도 감초 다음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약재로 수록되어 있다[9]. 당귀의 종류는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참당귀 또는 토당귀(Angelica gigas Nakai)와 중국당귀(Angelica acutiloba Kitagawa) 및 일본당귀(Angelica sinensis Diels)로 구분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be, N., T. Murata, and A. Hirota. 1998. Novel DPPH radical scavengers, bisorbicillinol and demethyltrichodimerol, from a fungus. Biosci. Biotechnol. Biochem. 62, 661-666. 

  2. AOAC. 197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2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3. Cabanes, J., S. Chazarra, and F. Garcia-Carmona. 1994. Kojic acid, a cosmetic skin whitening agent, is a slow binding inhibitor of catecholase activity of tyrosinase. J. Pharm. Pharmacol. 46, 982-985. 

  4. Cha, J. Y., H. J. Kim, C. H. Chung, and Y. S. Cho. 1999.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10-1315. 

  5. Cha, J. Y., Y. S. Cho, I. Kim, T. Anno, S. M. Rahman, and T. Yanagita. 2001. Effect of hesperetin, a citrus flavonoid, on the liver triacylglycerol content and phosphatidate phosphohydrolase activity in orotic acid-fed rats. Plant Foods Human Nutr. 56, 349-358. 

  6. Cha, J. Y., H. Y. Ahn, K. E. Eom, B. K. Park, B. S. Jun, and Y. S. Cho. 2009. Antioxidative activity of Aralia elata shoot and leaf extracts. J. Life Sci. 19, 652-658. 

  7. Duncan, D. B. 1959.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Biometrics 1, 1-42. 

  8. Han, G. J., D. S. Shin, and M. S. Jang. 2008. A study of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Aralica continentalis Kitagawa and Aralica continentalis Kitagawa leaf.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80-685. 

  9. Hong, M. W. 1972. Statistical studies on the formularies of oriental medicine(I) prescription frequency and their origin distribution of herb drugs. Korean J. Pharmaco. 3, 57-64. 

  10. Hwang, J. B. and M. O. Yang. 1997. Comparison of chemical components of Angelica gigas Nakai and Angelica acutiloba Kitagaw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113-1118. 

  11. Jayaprakasha, G. K., R. P. Singh, and K. K. Sakariah.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grape seed (Vitis vinifera) extracts on peroxidation models in vitro. Food Chem. 73, 285-290. 

  12. Jeong, H. S., J. G. Han, J. H. Ha, Y. Kim, S. H. Oh, S. S. Kim, M. H. Jeong. G. P. Choi, W. Y. Park, and H. Y. Lee. 2009. Enhancement of anticancer activities of 

  13. Jia, Z., M. Tang, and J. Wu.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ie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4. Johnson, J. E., R. Walford, D. Harma, and J. Miquel. 1986. In 'Free radicals, aging and degenerative disease', Alen R. Liss, N.Y. 

  15. Jung, S. W., N. K. Lee, S. J. Kim, and D. S. Han. 1995.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 from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91-896. 

  16. Jung, W. S., C. Y. Yu, J. G. Park, M. J. Kim, J. H. Kim, and J. K. Kim. 2006.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in extracts from Oplopanax elatu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 630-631. 

  17. Kim, C. H., M. C. Kwon, H. G. Han, C. S. Na, H. G. Kwak, G. P. Choi, U. Y. Park, and H. Y. Lee. 2008. Skin-whitening and UV-protective effects of Angelica 

  18. Kim, E. Y., I. H. Baik, J. H. Kim, S. R. Kim, and M. R. Rhyu.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19. Kim, H. S. and S. W. Joung. 2006. Effective components and nitrile scavenging ability of root and leaves a Angelica gigas Nakai.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957-965. 

  20. Kim, K. M., J. Y. Jung, S. W. Hwang, M. J. Kim, and J. S. Kang. 2009.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in Angelica gigas Naka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653-656. 

  21. Kim, S. B., Y. H. Kim, C. W. Lee, S. M. Park, K. S. Ahn, I. H. Kim, and H. M. Kim. 1998. Characteristic immunostimulation by angelan isolated from Angelica gigas Nakai. Immunopharmacol. 40, 39-48. 

  22. Kim, S. J., M. Y. Heo, K. H. Bae, S. S. Kang, and H. P. Kim. 2003.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plant extract (III): Fifty Korean indigenous plants. J. Applied Phamacol. 11, 245-248. 

  23. Lee, J. H. and S. R. Lee. 1994. Analysis of phenolic substances content on Korea plan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10-316. 

  24. Lee, J. J., A. R. Kim, Y. N. Seo, and M. Y. Lee. 2009.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three species of genus Angelica. Korean J. Food Preserv. 16, 94-100. 

  25. Lee, S. O., H. J. Lee, M. H. Yu, H. G. Im, and I. S. Lee.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243. 

  26. Lee, Y. Y., S. Lee, J. L. Jin, and H. S. Yun-Choi. 2003. Platelet anti-aggregatory effects of coumarins from the roots of Angelica genuflexa and A. gigas. Arch Pharm. Res. 26, 723-726. 

  27. Luthringer, C. Y. Rayssiguier, E. Gueux, and A. Berthelot. 1988. Effect of moderate magnesium deficiency on serum lipids, blood pressure and cardiovascular reactivity in normotensive rats. Br. J. Nutr. 59, 243-250. 

  28. Maxson, E. and L. Rooney. 1972. Evaluation of methods for tannin analysis in sorghum grain. Cereal Chem. 49, 719-729. 

  29. Masamoto, Y., H. Ando, Y. Murata, Y. Shimoishi, M. Tada, and K. Takahata. 2003. Mushroom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esculetin isolated from seeds of 

  30. Oh, S. H., Y. S. Cha, and D. S. Choi. 1999. Effects of Angelica gigas Nakai diet on lipid metabolism, alcohol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of rats administered with chronic ethanol.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2, 29-33. 

  31. Oh, S. L., S. S. Kim, B. Y. Min, and D. H. Chung. 1990. Composition of free sugars, free amino acids, non-volatile organic acids and tannins in the extracts of L. chinensis M., A. acutiloba K., S. chinesis B. and A. sessiliflorum S.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76-81. 

  32. Park, K. W., S. R. Choi, M. E. Shon, I. Y. Jeong, K. S. Kang, S. T. Lee, K. H. Shim, and K. I. Seo. 2007. Cytotoxic effects of decursin from Angelica gigas Nakai in huma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385-1390. 

  33. Ryu, K. S., N, D, Hong, and Y. Y. Kim. 1990. Studies on the coumarin constituents of the root of Angelica gigas Nakai. Isolation of decursinol angelate and assay of decursinol angelate and decursin. Korean J. Pharmaco. 21, 64-68. 

  34. Seong, N. S., S. W. Lee, K. S. Kim, and S. T. Lee. 1993. Environmental variation of decursin content in Angelica gigas. Korean J. Crop Sci. 38, 60-65. 

  35. Shon, M. E. 2007.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Poria cocos and Machilus thunbergii fermented with mycelial mushrooms. Food Indus. Nutr. 12, 51-57. 

  36. Swain, T., W. E. Hillis, and M. Oritega.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tunus domestica. I.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83-88. 

  37. Vile, G. F. and R. M. Tyrrell. 1995. UVA radiation-induced oxidative damage to lipid and protein in vitro and in human skin fibroblast is dependent on iron and singlet oxygen. Free Radical Biol. Med. 18, 721-730. 

  38. Zhu, Q. V., R. M. Hackman, X. X. Jodilensunsa, R. R. Holt, and C. L. Keen. 2002. Antioxidative activities of Oolong tea. J. Agric. Food Chem. 50, 6229-69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