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복분자 주요 산지별 복분자주 제조 및 발효특성 분석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Raspberry Wines from Different Regions During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1 no.6 = no.208, 2009년, pp.662 - 667  

이승주 (세종대학교 외식경영학과) ,  안봄이 (한국식품연구원 전통식품연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복분자 생산 주요 산지인 고창, 순창, 정읍과 횡성산 복분자를 수거하여 각 산지별 복분자주를 제조하고 이들 시료의 발효 및 숙성과정에서 이화학적 성분 변화를 관찰하였다. 원료 복분자의 pH는 3.43-3.52 수준으로 산지별 차이가 없었고 발효과정 중에도 pH는 산지별 비슷한 수치를 보이며 변화하였다. 총산도는 고창산 복분자주가 발효초기(9.98 g/L)와 발효 후(13.43 g/L) 모두 다른 산지의 복분자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원료 복분자의 초기 당도는 $6.9-7.8^{\circ}Bx$로 비슷하였고, 발효 후 복분자주의 알코올 함량은 15.8-16.4% 범위였다. 환원당 함량은 원료복분자의 경우 2.57-4.49 g/100 mL이었고, 복분자주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당이 알코올로 발효되면서 감소하여 최종 1.3-1.47 g/100 mL로 나타났다. 산지별 차이를 많이 보인 이화학적 특성으로는 총 페놀함량과 색도, hue, intensity를 들 수 있다. 총 페놀함량은 정읍산 복분자주(4405.5 mg/L)가 다른 지역산 시료에 비해 2배 정도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고, 색도 또한 정읍산이 원료 복분자와 최종 복분자주에서 모두 다른 시료에 비해 낮게 나타나 가장 짙고 불투명한 붉은색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고창, 횡성, 순창산 복분자주는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고, 정읍 제품은 차이를 보였다. 향후 복분자주에 대한 품질 관리 및 개선을 위해 연도별 및 지역별 복분자 및 복분자주의 다양한 이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 작업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four Korean black raspberry wines were developed using raspberries from different regions in Korea; Gochang (G), Hoengseong (H), Jeongeup (J), Sunchang (S). Sample wines were monitored for titratable acidity, ethanol, pH, reducing sugar content, color intensity, hue, total phenolic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면 복분자주에 관해서는 Choi 등(1,9)의 효모 균주를 달리한 발효 특성에 대한 연구와 Moon 등(10,11)의 활성건조효모를 이용한 복분자주의 발효 및 아미노산 함량 변화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었으나, 복분자주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소인 산지, 기후, 토양과 제조 방법 등에 따른 다양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분자주의 품질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원재료인 복분자의 국내 주요 산지별(고창, 순창, 정읍, 횡성) 복분자주를 제조하여 발효 및 숙성 중 이화학성분의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복분자주의 품질관리 및 제품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분자주의 품질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원재료인 복분자의 국내 주요 산지별(고창, 순창, 정읍, 횡성) 복분자주를 제조하여 발효 및 숙성 중 이화학성분의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복분자주의 품질관리 및 제품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분자주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소는 무엇인가? 기존의 국내산 복분자 원료에 관해서는 다양한 생리 기능성 관련 연구가 진행되어, 항암활성 및 면역증진효과(4), Hepatitis B virus 억제(5), anaphylaxis 억제(6), 항산화 및 항균효과(7) 등 생리활성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져 왔으며, 항산화활성을 지닌 5종의 phenolic acid와 2종의 유기산이 동정되었다(8). 반면 복분자주에 관해서는 Choi 등(1,9)의 효모 균주를 달리한 발효 특성에 대한 연구와 Moon 등(10,11)의 활성건조효모를 이용한 복분자주의 발효 및 아미노산 함량 변화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었으나, 복분자주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소인 산지, 기후, 토양과 제조 방법 등에 따른 다양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분자주의 품질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원재료인 복분자의 국내 주요 산지별(고창, 순창, 정읍, 횡성) 복분자주를 제조하여 발효 및 숙성 중 이화학성분의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국내 복분자 생산 주요 산지인 고창, 순창, 정읍과 횡성산 복분자를 수거하여 각 산지별 복분자주를 제조하고 이들 시료의 발효 및 숙성과정에서 이화학적 성분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국내 복분자 생산 주요 산지인 고창, 순창, 정읍과 횡성산 복분자를 수거하여 각 산지별 복분자주를 제조하고 이들 시료의 발효 및 숙성과정에서 이화학적 성분 변화를 관찰하였다. 원료 복분자의 pH는 3.43-3.52 수준으로 산지별 차이가 없었고 발효과정 중에도 pH는 산지별 비슷한 수치를 보이며 변화하였다. 총산도는 고창산 복분자주가 발효초기(9.98 g/L)와 발효 후(13.43 g/L) 모두 다른 산지의 복분자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원료 복분자의 초기 당도는 6.9-7.8° Bx로 비슷하였고, 발효 후 복분자주의 알코올함량은 15.8-16.4% 범위였다. 환원당 함량은 원료복분자의 경우 2.57-4.49 g/100 mL이었고, 복분자주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당이 알코올로 발효되면서 감소하여 최종 1.3-1.47 g/100 mL로 나타났다. 산지별 차이를 많이 보인 이화학적 특성으로는 총 페놀함량과 색도, hue, intensity를 들 수 있다. 총 페놀함량은 정읍산 복분자주(4405.5 mg/L)가 다른 지역산 시료에 비해 2배 정도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고, 색도 또한 정읍산이 원료 복분자와 최종 복분자주에서 모두 다른 시료에 비해 낮게 나타나 가장 짙고 불투명한 붉은색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고창, 횡성, 순창산 복분자주는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고, 정읍 제품은 차이를 보였다. 향후 복분자주에 대한 품질 관리 및 개선을 위해 연도별 및 지역별 복분자 및 복분자주의 다양한 이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 작업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복분자주의 특징은? 복분자주는 강장효과가 높고 향취미가 있는 술로(1), 최근 건강을 고려한 저도주에 대한 관심 증가로 국내 복분자주 시장은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2). 국내 관련 주류 시장 현황을 살펴보면 매출액이 감소하고 있는 약주의 시장과는 달리 국내 복분자주 시장의 규모는 2004년 400억 원, 2005년 650억 원, 2006년 800억원으로 연평균 30%씩 꾸준히 증가하여 2007년에는 1,000억 원을 돌파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oi HS, Kim MK, Park HS, Kim YS, Shin DH. Alcoholic fermentation of Bokbunja (Rubus coreanus Miq.)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43-547 (2006) 

  2. Korea alcohol Liquor Industry Association. Alcohol Beverage News 3: 11 (2001) 

  3. Ahn YH, Kim YH.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tive Rubus coreanus in Korea. Korean J. Env. Eco. 21: 176-185 (2007) 

  4. Lee MK, lee HS, Choi GP, Oh DH, Kim JD, Yu CY, Lee HY.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Rubus coreanum Miq. Korea L. Med. Crop Sci. 11:5-12 (2003) 

  5. Chung TH, Kim JC, Lee CY, Moon MK, Chae SC, Lee IS, Kim SH, Hahn KS, Lee IP. Potential antiviral effects of Terminalis chebula, Sanguisorba officinalis, Rubus coreanus, and Rheum palmatum against duck hepatitas B virus (DHBV). Phytother. Res. 11:179-182 (1997) 

  6. Shin TY, Kim SH, Lee ES, Eom DO, Kim HM. Action of Rubus coreanus extract on systemic and local anaphylaxis. Phytother. Res. 16:508-513 (2002) 

  7. Cha HS, Park MS, Park KM.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409-415 (2006) 

  8. Yoon I, Cho JY, Kook JH, Wee JH, Jang MY, Ahn TH, Park KH. Identification and activity of antioxidative compounds from Rubus coreanus fruit.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898-904 (2002) 

  9. Choi HS. Kim MK, Park HS, Shin DH.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okbunja (Rubus coreanus Miq.) wine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574-578 (2005) 

  10. Moon YJ, Lee MS, Sung CK. Contents of amino acids in raspberry wine using active dry yeast strains. Korean J. Food Nutr. 19: 392-397 (2006) 

  11. Moon YJ, Lee MS, Sung CK.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aspberry wine using active dry yeast strains. Korean J. Food Nutr. 18: 302-308 (2005) 

  12.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AOAC Intl. 16th ed. Method 991.43.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ommunities, Arlington, VA, USA (1995) 

  13. Miller GL.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1959) 

  14. Che SK, Kang KS, Ma SJ, Bang KU, Oh MH. Standard Food Analysis. Ji-gu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45-52 (2000) 

  15. Ough, CS, Amerine MA. Methods for Analysis of Musts and Wines 2nd ed.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NY, USA. pp. 85-93 (1988) 

  16. Zoecklein BW, Fugelsang KC, Gump BH, Nury FS. Production Wine Analysis.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NY, USA. pp. 129-168 (1990) 

  17. Bruce WZ, Kenneth CF, Barry HG, Fred SN. Wine Analysis and Production. Chapman & Hall, New York, NY, USA. pp. 447-449 (1995) 

  18. Cha HS, Youn AR, Park PJ, Choi HR, Kim B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ubus coreanus Mique during matur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476-479 (2007) 

  19. Lee JE, Shin YS, Sim JK, Kim SS, Koh KH. Study on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win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64-169 (2002) 

  20. Kim JS, Kim SH. Han JS, Yoon BT, Yook C. Effects of sugar and yeast addition on red wine fermentation using Campbell Early.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516-521 (1999) 

  21. NTSTS Institute. Textbook of alcoholic beverage-making. National Tax Service Technical Service Institute. Seoul, Korea. pp. 135-136 (1997) 

  22. Lee JE, Won YD, Kim SS, Koh KH.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wine with different grape varie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51-156 (2002) 

  23. Lee SJ, Lee JE, Km SS. Development of Korean Red Wines Using Various Grape Varieties and Preference Measure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911-918 (2004) 

  24. Boulton RB, Singleton VL, Bisson LF, Kunkee RE. Principles and Practices of Wine Making. Aspen Publishers, Inc., Gaithersburg, ML. USA. pp. 174-185 (1996) 

  25. Park WM, Park HG, Rhee SJ, Lee CH, Yoon KE. Suitability of domestic grape, cultivar Campbell's Early for production of red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590-596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