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지별 복분자와 시판 복분자주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Raspberry Fruits (Bokbunja) and Wine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5 no.4, 2013년, pp.451 - 459  

이승주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주요 산지 9개소(전북 고창, 순창, 정읍, 전남 함평, 강원도 횡성, 충남 당진, 충남 논산, 경남 거창, 전남 곡성)에서 생산된 복분자와 전국에서 시판되는 24종의 복분자주를 수거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각 지역별 복분자와 시판 복분자주의 이화학적 특성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특히 당도와 총산도, L값, b값, Hue, Intensity와 같이 색상관련 항목과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phenolic), 유기산 함량에서 시료간의 차이가 컸다. 일반적으로 음료 및 주류로의 제품화에서 주요 항목인 총 산도, Brix, 환원당에서 정읍(naja) 시료가 다른 지역의 복분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반면 곡성(woori)과 논산(neulso) 시료의 경우 색상 진하기 정도인 Intensity,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유기산 수준에서 다른 시료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을 보여 착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품종 개량이나 재배 환경 최적화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현재 복분자 품종에 대한 정확한 조사 및 관리가 명확하지 않아 품종이나 지역 간의 비교가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 하고 있다. 향후 복분자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원료인 복분자의 품종, 재배지역 및 재배 방법 등에 따른 다양한 이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분석과 데이터베이스화 작업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복분자주의 경우도 이화학적 특성에서 지역 간의 차이보다 각각 시료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향후 관능특성 및 소비자 기호도 조사를 통한 좀 더 상세한 연계조사가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black raspberry fruits (bokbunja) were collected from 11 different producing regions, and commercial black raspberry wines were obtained from 24 manufacturers. Samples were analyzed for soluble solids, titratable acidity, pH, reducing sugar content, hunter color values, intensity, hue, tot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전국에서 다양한 복분자주가 생산되고 있으나 이의 기초적인 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부족하여 향후 지역별 특산주로의 개발을 위한 자료가 시급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복분자 산지 9개소에서 재배된 복분자와 국내에서 시판되는 24종의 복분자주를 수거하여 이들 시료의 이화학적 분석을 통해 복분자관련 가공 및 제품개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oi HS. Kim MK, Park HS, Kim YS, Shin DH. Alcoholic fermentation of Bokbunja (Rubus coreanus Miq.)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43-547 (2006) 

  2. Ahn YH, Kim YH.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tive Rubus coreanus in Korea. Kor. J. Env. Eco. 21: 176-185 (2007) 

  3. Kim MJ, Kim SH, Lee U. Selection of Korean black raspberry (Rubus coreanus Miq.) for larger fruit and high productivity. J. Korean For. Soc. 91: 96-101 (2002) 

  4. Korea Alcohol Liquor Industry Association. Currents in domestic alcoholic beverage market. Alcohol Beverage News 3: 11 (2011) 

  5. Lee MK, Lee HS, Choi GP, Oh DH, Kim JD, Yu CY, Lee HY.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Rubus coreanum Miq.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1: 5-12 (2003) 

  6. Lee MW. Phenolic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Rubus coreanum. Yakhak Hoeji 39: 200-204 (1995) 

  7. Kim TG, Kang SY, Jung KK, Kang JH, Lee E, Han HM, Kim SH. Antiviral activities of extracts isolated from Terminalis chebula Retz., Sanguisorba officinalis L., Rubus coreanus Miq., and Rheum palmatum L. against hepatitis B virus. Phytother. Res. 15: 718-720 (2001) 

  8. Choi J, Lee KT, Ha J, Yun SY, Ko CD, Jung HJ, Park HJ.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Niga-ichigoside F1 and 23-hydroxytormentic acid obtained from Rubus coreanus. Biol. Pharm. Bull. 26: 1436-1441 (2003) 

  9. Chung TH, Kim JC. Lee CY. Moon MK. Chae SC, Lee IS. Kim SH, Hahn KS, Lee IP. Potential antiviral effects of Terminalis chebula, Sanguisorba officinalis, Rubus coreanus and Rheum palmatum against duck hepatitas B virus (DHBV). Phytother. Res. 11: 179-182 (1997) 

  10. Cha HS, Park MS, Park KM.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409-415 (2001) 

  11. Yang HM, Lim SS, Lee YS, Shin HK, Oh YS, Kim JK. Comparison of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extracts from Rubus coreanus and Rubus occidentali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342-347 (2007) 

  12. Ohtami K, Miyajima C, Takahasi T, Kasai R, Tanaka O, Hahn DR, Naruhashi N. A dimeric triterpene-glycoside from Rubus coreanus. Phytochemistry 29: 3275-3280 (1990) 

  13. Cha HS, Youn AR, Park PJ, Choi HR, Kim B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ubus coreanus Mique during matur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476-479 (2007) 

  14. Kim JM, Shin MS. Characteristics of Rubus coreanus Miq. fruits at different ripening stag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341-347 (2011) 

  15. Lee SJ, Ahn BM.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raspberry wines from different region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662-667 (2009) 

  16.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AOAC Intl. 16th ed. Method 991.43.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ommunities, Arlington, VA, USA (1995) 

  17. Miller GL.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1959) 

  18. Ough CS, Amerine MA. Methods for analysis of musts and wines (2nd Ed).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NY, USA. pp. 85-93 (1988) 

  19. Zoecklein BW, Fugelsang KC, Gump BH, Nury FS. Production wine analysis.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NY, USA. pp. 129-168 (1990) 

  20. Zoecklein BW, Fugelsang KC, Gump BH, Nury FS. Wine analysis and production. Chapman & Hall, New York, NY, USA. pp. 447-449 (1995) 

  21. Lee JE, Shin YS, Sim JK, Kim SS, Koh KH. Study on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win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64-169 (2002) 

  22. Yoshizawa S, Horiuchi T, Fujiki H, Yoshida T, Okuda T, Sugimura T. Antitumor promoting activity of (-)-epigallocatechin gallate, the main constitutent of tannin in green tea. Phytother. Res. 1: 44-47 (1987) 

  23. Wang SY, Lin HS. Antioxidant activity in fruits and leaves of blackberry, raspberry and strawberry varies with cultivate and developmental stage. J. Agr. Food Chem. 48: 140-146 (2000) 

  24. Cha HS, Lee MK, Hwang JB Park MS, Park KM.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ubus coreanus Mique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021-1025 (2001) 

  25. Park WM, Park HG, Rhee SJ, Lee CH, Yoon KE. Suitability of domestic grape, cultivar Campbell's Early for production of red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590-596 (2002) 

  26. Amerine MA, Singleton VL. Wine: An introduction, second edi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CA, USA. pp. 117-133 (1976) 

  27. Lee SJ, Lee JE, Kim SS. Development of Korean red wines using various grape varieties and preference measure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911-918 (200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