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 빈곤의 격차와 요인에 관한 연구
Determinants of Regional Poverty in Korea 원문보기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61 no.2, 2009년, pp.85 - 106  

김교성 (중앙대학교) ,  노혜진 (중앙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광역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지역간 빈곤의 실태를 비교하고, 지역의 경제 사회적 특성에 기초한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1998년부터 2006년까지 제주도를 제외한 15개 광역 시 도의 빈곤율을 한국노동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측정하고, 각 지역의 정치, 경제, 인구구조, 고용, 산업구조, 재정 측면의 다양한 변수를 포함하여 결합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우리나라 절대적 빈곤율의 평균 수치는 13.19%이고, 상대적 빈곤율은 15.50%이며, 최근 들어 두가지 지표 모두 악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강원도와 충청남도의 빈곤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며, 서울특별시와 울산광역시에서 낮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높은 수준의 재정자립도, 사회복지비 지출 수준, 상용직 비율과 제조업 종사자 비율 등이 지역의 빈곤율을 감소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기존의 사람에 기반(people-based)한 반빈곤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에 기반(place-based)한 다양한 정책적 모색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determinants of regional variations of poverty in Korea. Poverty rates and independent variables in Seoul, 6 other metropolitan areas, and 8 provinces except Jejudo from the year of 1998 through 2006 were pooled as unit of analysis. The po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빈곤은 해결되지 않은 대표적인 사회문제 중의 하나로서 지금까지의 빈곤 정책은 대부분 사람을 돕는 정책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지방분권화의 도입과 더불어 지역 빈곤의 문제와 불균형적인 복지 공급의 문제가 동시에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15개 광역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지역 빈곤율을 측정하여 그 차이를 비교해 보고, 9년간의 변화 추이를 관찰하였으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 2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각 영역을 대표하는 모든 하위 변수들을 분석 모형에 포함하고자 노력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변수들은 단체장의 소속정당, 1인당 GDP, 부양인구비율, 노인인구비율, 아동인구비율, 고용율, 실업율,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 상용직 비율, 제조업 종사자 비율, 서비스업 종사자 비율, 재정자립도, 사회복지비 지출 비율, 경제개발비 지출 비율, 1인당 사회복지비, 1인당 경제개발비 등의 16개이며, 변수간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다섯 개의 모델을 구성하였다.
  • 모델 (2)에서는 제조업 종사자 비율 대신 서비스업 종사자 비율을 포함하여, 절대 빈곤에 대한 산업구조의 영향력을 보다 정확하게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서비스업 종사자 비율은 절대적 빈곤율과 정적인 관계를 보이나,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다.
  • 본 연구는 우선 기술적 분석을 통해 지역별 빈곤 수준의 규모와 변화, 그리고 독립변수들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상관분석을 통해 독립변수간 다중공선성 문제를 진단하여 최종 분석 모델을 확정하였다.
  • 아래 <표 4>는 지역의 절대적 빈곤율에 대한 결합회귀분석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이론적 근거에 기초하여, 절대적 빈곤율의 변화를 설명하는 모든 독립변수를 포괄하여 하나의 모델을 구성하고자 하였으나, 독립변수간 다중공선성으로 인하여 분석 모델을 다양하게 구성하였다. <표 4>는 다섯 개의 모델을 포함하고 있는데, 개별 모델의 통계적 유의미성은 확보되고 있으며, 독립변수의 설명력도 56% 이상으로 모두 양호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 그러므로 추정 방식을 활용한 기초 지방자치단체 단위의 분석은 보다 더 큰 맥락을 살피기 이전에 차이부터 강조하는 우를 범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는 분석의 단위를 광역 지방자치단체로 한정하여, 지역의 빈곤 격차와 요인에 주목하고자 한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빈곤율 측정을 위한 기본 자료의 사례수가 너무 부족하여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광역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지역간 빈곤의 실태를 비교하고, 1998년부터 2006년까지의 종단자료의 구축을 통해 그 변화 추이를 추적하며, 지역의 다양한 경제․사회적 특성에 기초하여 빈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주도를 제외한 15개 시․도의 절대적 빈곤율과 상대적 빈곤율을 측정하였으며, 보다 정확한 계측을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의 2~10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뚜렷한 성과를 내기 힘든 이유는 무엇인가? 정부는 빈곤층의 최저 생활을 보장하고, 자활능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라는 새로운 형태의 사회부조제도를 도입하였지만, 그 성과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1) 여기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우선 우리나라의 고용구조가 빈곤계층의 노동시장 진입은 물론 고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안정적이지 않기 때문이다(김교성·반정호, 2004). 또한 자활지원사업의 관리운영구조가 형식적이고, 다양하고 실질적인 프로그램이 부족하며, 사례관리 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아 수요자 중심의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못하는데도 그 이유가 있다(김교성·강철희, 2003). 이러한 제도 운영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지원과 협력을 강조하는 지역중심(지역기반)형 자활사업의 실시가 제안되고 있다(류만희, 2008: 133-134).
정부는 무엇을 위하여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를 도입하였는가? 그러나 위기를 경험하면서 문제 해결을 위한 시각의 전환이 이루어졌으며, 정책의 변화도 동반하였다. 정부는 빈곤층의 최저 생활을 보장하고, 자활능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라는 새로운 형태의 사회부조제도를 도입하였지만, 그 성과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1) 여기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우선 우리나라의 고용구조가 빈곤계층의 노동시장 진입은 물론 고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안정적이지 않기 때문이다(김교성·반정호, 2004).
우리나라 광역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지역간 빈곤의 실태를 비교하고, 지역의 경제 사회적 특성에 기초한 요인을 분석 한 결과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1998년부터 2006년까지 제주도를 제외한 15개 광역 시 도의 빈곤율을 한국노동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측정하고, 각 지역의 정치, 경제, 인구구조, 고용, 산업구조, 재정 측면의 다양한 변수를 포함하여 결합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우리나라 절대적 빈곤율의 평균 수치는 13.19%이고, 상대적 빈곤율은 15.50%이며, 최근 들어 두가지 지표 모두 악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강원도와 충청남도의 빈곤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며, 서울특별시와 울산광역시에서 낮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높은 수준의 재정자립도, 사회복지비 지출 수준, 상용직 비율과 제조업 종사자 비율 등이 지역의 빈곤율을 감소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기존의 사람에 기반(people-based)한 반빈곤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에 기반(place-based)한 다양한 정책적 모색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제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