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되기와 빈곤 -빈곤 궤적의 연령집단 차이를 중심으로
Aging and Poverty -Focusing on Age Group Differences in Poverty Trajectori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5, 2020년, pp.261 - 273  

이지인 (경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주은선 (경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동태적 관점에서 중·고령자의 노인기로의 이행과정에서 다차원 빈곤의 변화 궤적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한국복지패널(2006년~2018년) 자료를 활용하여, 2006년 만 55세 이상 중·고령자 중 예비노인과 전기노인 집단별로 13년간의 다차원 빈곤 변화 궤적을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다차원 빈곤은 경제(소득, 고용), 환경(주거), 건강, 사회문화(여가, 가족관계, 사회적 관계) 등 4영역에서 7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다차원 빈곤 궤적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 수준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빈곤 수준은 전기노인이 예비노인과 전체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독립변수를 투입한 조건모형 분석결과 예비노인은 배우자유무와 교육수준, 전기노인은 성별과 교육수준 순으로 빈곤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차원 빈곤은 점차 개선되고 있으나, 연령집단별로 변화율 및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다르므로, 노후빈곤 대책 마련 시 연령 집단별 특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ajectories of multi-dimensional poverty in the process of transitioning from middle age to old age,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m. Using the Korea Welfare Panel Data(2006 ~ 2018), we examined the trajectory of changes in multi-dimension...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빈곤 차원과 지표 선정, 빈곤선 설정에서의 객관성 확보가 어렵다는 점, 다음으로 전체 다차원 빈곤이 아닌 각 차원별 빈곤의 차이를 확인하지 못한 점, 마지막으로 노인빈곤에 있어서 남녀 빈곤 차이가 존재함에도 젠더차이를 함께 다루지 못했다는 점에서 노인 빈곤의 특수성에 대해 정교하게 해석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의 1~13차까지의 종단 자료를 활용하여 나이듦에 따른 노인의 다차원빈곤 궤적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는 다른 차별화를 시도하였다. 이와 함께, 현재의 사회경제적 상태의 차원을 넘어 빈곤에 대한 다양한 생활영역에서의 배제의 현실을 확인했다는 점, 예비노인과 전기노인의 연령집단별 빈곤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검증함으로써 노인기로의 이행기에 있어서 빈곤의 변화 양상에 대해 보다 자세한 메커니즘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즉, 종단자료를 통한 노인의 다차원 빈곤의 변화 궤적을 살펴본 선행 연구는 아직까지 많이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상에서 제시된 선행연구들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13년간의 장기간의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중․고령자가 노인이 되는 이행기에서의 다차원 빈곤 변화 궤적을 연령집단별로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노인의 빈곤이 어떠한 변화 궤적을 보이는지를 다차원 빈곤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령대별 다차원 빈곤 수준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빈곤 상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했다.
  • 본 연구는 다차원 빈곤에 대한 성별, 교육수준, 장애유무, 배우자 유무, 독거여부, 최초 고용형태 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에 성별은 여성 1, 남성 0으로 재구성하였고, 교육수준은 본 연구의 대상이 55세 이상 중·고령자라는 점을 감안하여 고졸 미만 1, 고졸 이상 0으로 구분하였다.
  •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노인기로의 이행과정에서 다차원 빈곤의 변화 궤적을 살펴보고 빈곤 변화 궤적에 개인의 인구학적 특성(성별, 교육수준, 배우자 유무, 장애여부, 독거여부, 최초고용형태)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령대별 다차원 빈곤 수준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빈곤 상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 연구는 기존에 규명되지 않았던, 생애 과정을 거치면서 생애 후반기에 빈곤이 발생하거나 유지되거나 완화되는 양상과 그 영향 요인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이는 지금의 광범위하고 극심한 노인빈곤 현상을 동태적 관점에서 이해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이 연구는 동태적 관점에서 한국 노인빈곤의 특성을 변화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특히, 노인기 생애과정 변화에 따른 빈곤상태 변화에 연령 집단별 차이가 작동하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노인의 빈곤이 어떠한 변화 궤적을 보이는지를 다차원 빈곤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령대별 다차원 빈곤 수준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빈곤 상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 연구는 기존에 규명되지 않았던, 생애 과정을 거치면서 생애 후반기에 빈곤이 발생하거나 유지되거나 완화되는 양상과 그 영향 요인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 이러한 연구들은 소득빈곤에 국한되지 않는 주거, 건강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생활상의 결핍을 탐색함으로써 현재 한국의 노인 빈곤이 가지는 다양한 특징들, 즉 한국 노인빈곤 문제가 보다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노인의 복지상태를 더욱 종합적으로 보여준다는 면에서 다차원 빈곤 관점을 채택하여 노인빈곤 특성의 변화를 보여주고자 한다.
  • 정리하면, 본 연구는 생애 과정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의 변화 방향과 정도 등에 있어서 연령 집단별 차이에 주목하여 다차원 빈곤 측면에서 나이 듦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 변화, 특히 빈곤의 변화를 탐구하고자 한다. 생애 후반기의 한국사회 성원들은 나이듦에 따라 빈곤 지위 및 특성에 어떤 변화를 경험해 왔는가? 다차원 빈곤측면에서 빈곤특성에 어떤 변화를 경험해 왔는가?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노인기로의 이행과정에서 다차원 빈곤의 변화 궤적을 살펴보고 빈곤 변화 궤적에 개인의 인구학적 특성(성별, 교육수준, 배우자 유무, 장애여부, 독거여부, 최초고용형태)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특히, 노년기 빈곤의 다양한 변화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연령 집단별(예비노인, 전기노인)로 변화 궤적의 차이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13차까지 13년도의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동태적 관점에서 한국 노인빈곤의 특성을 변화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특히, 노인기 생애과정 변화에 따른 빈곤상태 변화에 연령 집단별 차이가 작동하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 한편, 본 연구에서는 빈곤 특성을 다차원 빈곤 관점에서 조명한다. 정의진(2019)과 김수영․박병현( 2018)등의 선행 연구에 의하면, 한국 노인은 소득이나 건강 등 특정한 차원에서의 단편적인 빈곤이 아니라, 환경이나 관계적 측면에서도 빈곤을 경험하고 있어서 다차원으로 결핍된 특성을 갖고 있다.

가설 설정

  • 가) 소득 : 소득빈곤은 상대적 빈곤 개념이 반영된 변수를 활용하였다. 즉, 가구원 수를 고려한 균등화 소득의 중위소득 60%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를 빈곤가구 1, 그보다 높은 소득 수준의 경우를 비 빈곤 가구 0으로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S. H. Park. (2011). The Effect of Subjective Perception on the Change of Status of Retired Men on Family Relationships.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2. Y. J. Yeo. (2019). Elderly poverty and retirement income guarantee in Korea. Health and Welfare Issue & Focus, 364, 1-8. 

  3. S. Y. Kim & B. H. Park. (2018). A Study on Multidimensional Poverty Types and Social Security of Korean Elderly. Social welfare policy, 45(4) , 1-30. 

  4. N. H. Hwang, J. H. Kim & J. W. Jung. (2015). Longitudinal Study on Multidimensional Poverty in Korean Elderly; Comparison of Welfare Service Use Experiences by Poverty by Dimension. Korean Welfare Panel Conference, 8, 255-275. 

  5. S. W. Kim & Y. M. Cho. (2006). An Analysis of Income Composition and Poverty Rate of Elderly Households in Korea-Focused on the share of earned income and public pension income by household type and poverty elimination effect. Social Welfare Research, (29), 5-37. 

  6. S. H. Suk & H. S. Kim. (2012). Analysis of Determinants and Determinants of Elderly Poverty-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Lifetime Work History. Finance Research, 5(3), 99-124. 

  7. S. J. Lee & Y. J. Kim. (2019). Poverty Status and Physical Health of the Elderly. Relationship with mental and social health. Journal of the Arts, Humanities and Social Convergence Multimedia, 8(12), 771-779. 

  8. H. S. Choi & Y. K. Ryu. (2003). A Study on the Trend of Elderly Poverty and Poverty. Composition in Korea. Korean age, 23(3), 143-160. 

  9. B. E. Hong. (2005). A Study on the Causes of Elderly Poverty in Korea. Korean Social Welfare, 57(4), 275-290. 

  10. O. K. Choi. (2007).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Elderly Poverty_Analyze using Panel Data. Korean Social Welfare, 59(1), 5-25. 

  11. J. S. Choi. (2009). Causes of Poverty and Improvement in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23(1), 457-476. 

  12. J. H. Mo & C. H. Ham. (2009). Multi-layered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Elderly Poverty. Social research, 2(2), 175-194. 

  13. Y. J. Yeo. (2013). Analysis of Poverty Reduction Effects of Poverty and Public Transfer by Elderly Household Type: Focused on Policy Implications. Critical Social Policy, 40, 185-219. 

  14. H. J. Jang. (2013). Effects of Basic Old-age Pension Reduction on Elderly Poverty. Modern society and administration, 23(2), 121-146. 

  15. B. S. Seo. (2013). Review of the establishment plan of the minimum income security system for old age to solve the elderly poverty. Poverty Free World Research Report, 1-20. 

  16. J. Y. Chang & S. K. Yang. (2007) Non-standard employment in view of social exclusion. Labor Policy Research, 7(1), 1-22. 

  17. S. K. Lee & J. H. Yoon. (2007). Can irregular workers be converted to full-time workers?. Economic Development Research, 13(2), 81-107. 

  18. H. Y. Baek & I. H. Ko.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Irregular Labor and Working Poverty: Emphasis on Wage Discrimination and Working Hours. Labor Policy Research, 10(3), 87-117. 

  19. Y. N. Kim. (2015). Occupational Movement of Non-regular Workers. Intragenerational Transfer and Intergenerational Success, Ph.D. 

  20. S. J. Lee. (2012). A Study on Multidimensional Poverty Analysis and Influencing Factors of Korean Elderly.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21. E. J. Jung. (2012). Multidimensional Poverty Structure Analysis of Korean Elderly.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2. M. G. Kim & S. A. Kim. (2018). Multidimensional Poverty Changes and Intergenerational Comparisons. Korean Society of Social Security and Economics Joint Conference, 1-39. 

  23. S. H. Choe. (1999). Causes of Poverty among Elderly Women in the Life Cycle. Korean Family Welfare, (3), 187-211. 

  24. H. K. Choi. (2005). Analyzing the Life and Poverty Formation of Elderly Women in Poverty. Elderly Welfare Research, (27), 147-174. 

  25. M. S. Jung. (2006). A Study on the Family Experience and Poverty Process of Low-income Female Households: Focusing on Social Exclusion Perspectives.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6. M. Y. Song. (2008). Poverty of Elderly Women in Korea: From a Gender Social Exclusion Perspective. Korean Age Studies, 17, 49-72. 

  27. S. J. Kim. (2007). Gender gap between the causes of poverty and the risk of poverty among female households. Feminism Studies, 7(1), 81-122. 

  28. S. E Suk & J. G. Lim. (2007). Income gaps between women and men and differences in income sources and determinants. Korean age, 27, 1-22. 

  29. S. W. Kim. (2010). A Comparative Study on the Elderly Poverty of Female Householders in the Welfare State. Social Security Research, 26(2), 285-316. 

  30. B. H. Bae. (2012).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Social Exclusion of Women and Men in Korean Society.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Gyeonggi. 

  31. S. Y. Son. (2015). Poverty vulnerability and gender specificity of elderly women. Gender Research, 20, 1-30. 

  32. C. J. Lee & J. S. Lee. (2016). Decomposition of Poverty Disparity Factors among Male and Female Households in Elderly Households-Focusing on the Basic Age Pension and Basic Pension. Korean Welfare Panel Conference, 9, 3-14. 

  33. S. H. Seok. (2009). Dynamic Analysis of Elderly Poverty. Social Security Research, 25(4), 77-99. 

  34. I. H. Ko. (2005). Dynamic Analysis of Poverty: Duration of Poverty and its Determinants. Korean Social Welfare, 57(2), 351-374. 

  35. K. S. Kim & J. H. Ban. (2004). A Study on the Effect of Employment Status and Poverty Experience on Poverty Migration. Social welfare policy, 18, 31-54. 

  36. K. J. Hong. (2004). Dynamic Analysis of Poverty: Focusing on the Poverty Cycle. Social Welfare Research, 24, 187-210. 

  37. S. W. Bae & S. M. Park. (2008). Factors Aff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Poverty Older Households and Elimination of Poverty. Geriatric Welfare Research, (42), 291-318. 

  38. S. M. Kim. (2018). A Study on Income Poverty and Multidimensional Poverty in Elderly Households.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175-193. 

  39. K. S. Kim & Y. Choi. (2006). Multi-layered Analysis of Determinants of Poverty in Working Classes. Korean Social Welfare, 58(2), 119-141. 

  40. K. H. Jung & S. H. Lee. (2015). The Impact of Parental Abuse Perceived by Adolescents on Cyberflight: Focusing on the Mediating Aggression. Youth Welfare Research, 17(4), 171-19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