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센(Sen)의 능력 접근을 통한 빈곤 여성가장 가계의 생활실태에 대한 질적 평가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Low-Income Single Mother Families' Poverty Status According to the Capability Approach of Amartya Sen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7 no.2 = no.98, 2009년, pp.77 - 97  

이성림 (성균관대학교 소비자가족학과) ,  손상희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생활과학연구소) ,  진미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성미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s the poverty experiences of low-income single mothers according to the Capability Approach of Amartya Sen. In this approach, the capability to achieve the basic functionings of life, not income itself, is the criterion of poverty. 26 single mothers were interviewed using focus-g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가장 가계의 빈곤은 어떤 면에서 더 주목할 필요가 있는가? 빈곤의 영향은 연령과 성별에 관계없이 심각성을 가지지만, 여성가장 가계의 빈곤은 만성적이고 장기화되기 쉽다는 면에서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00년 당시 남성 가구주의 빈곤률은 7.
여성가장이 남성가장에 비해 빈곤에 노출되기 쉬운 이유는 무엇인가? 여성가장은 남성가장에 비해 학력이 낮고 취업가능성도 낮으며, 보다 낮은 고용지위에 머무르는 경향이 두드러지기 때문에 빈곤에 노출되기 쉽다. 이러한 사회구조적 문제뿐만 아니라 가족내적으로 볼 때 여성가장은 제한된 경제적, 시간적 자원을 가지고 부양자의 역할과 자녀양육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어려움이 두드러진다.
빈곤 여성가장 가계의 건강 문제를 단지 신체적인 원인에서 비롯되기 보다는 빈곤 상태의 총체적 증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는 이유는 무엇인가? 건강은 일․노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되고, 식생활, 주생활과 같은 일상적 생활환경과도 밀접하게 관련된다. 따라서 빈곤 여성가장 가계의 건강 문제는 단지 신체적인 원인에서 비롯되기 보다는 빈곤 상태의 총체적 증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강남식.백선희(2001). 여성복지적 관점에서의 자활지원 사업 분석과 활성화 방안. 사회보장연구, 17(2), 49-78 

  2. 공선영(2001). 모자가족의 경험과 적응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13(1), 75-105 

  3. 교육인적자원부(2005). 교육통계연보 

  4. 구인회(2003). 가족배경이 청소년의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가족구조와 가족소득, 빈곤의 영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22, 5-32 

  5. 구인회(2005). 빈곤의 동태적 분석. 빈곤 지속기간과 그 결정요인. 한국 경제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문 

  6. 김승용(2005). 빈곤여성의 가족기능과 관련 요인. 한국가족관계학회, 10(3), 107-124 

  7. 김안나(2006). 한국사회 여성빈곤과 빈곤대책. 보건사회연구, 26(1), 37-68 

  8. 김영희(1996). 빈곤층 편모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원에 관한 질적 내용분석. 안성산업대 논문집 28, 245-252 

  9. 박영란.황정임(2002). 여성의 빈곤실태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10. 석재은(2004). 한국의 빈곤의 여성화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사회복지학, 56(2), 167-194 

  11. 성정현.송다영(2006). 근로빈곤층 여성가장 가구의 생활실태와 심리사회적 문제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25, 81-106 

  12. 송다영(2006). 한부모가족과 여성사회권. 사회복지정책, 27, 171-199 

  13. 아마티아 센(1992). 이상호.이덕재 역(1999). 불평등의 재검토. 서울: 

  14. 아마티아 센(1999). 박우희 역(2001). 자유로서의 발전. 서울: 세종연구원 

  15. 여지영(2003). 여성가장과 남성가구주의 빈곤차이에 관한 연구 :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오승환(2006). 저소득층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결정요인:적응유연성 요인의 탐색. 한국아동복지학, 21, 181-205 

  17. 옥선화.성미애(2004). 빈곤여성가장의 삶. 서울: 하우 

  18. 옥선화.성미애.배희분.이재림(2002). 빈곤 여성가장의 대처 전략에 관한 질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6), 223-243 

  19. 옥선화.성미애.이재림(2003). 빈곤 여성가장의 삶의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2), 65-92 

  20. 유정원(2000). 한국여성 빈곤의 특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윤홍식.김광혁(2006). 여성과 남성 공공근로사업 참여자의 (재)취업 결정요인. 사회복지정책, 24(4), 89-116 

  22. 이상호(2001). 센의 능력과 사회정의: 롤즈의 정의관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경제평론, 17. 283-316 

  23. 이성림(2004). 편모가계 여성가장의 취업 및 가계의 경제상태:양부모 가계와의 비교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1), 169-179 

  24. 이성림.김민정(2001). 여성가장 가구의 인구학적 동향과 경제적 복지상태. 소비자학연구, 12, 17-30 

  25. 이성림(2007). 센의 빈곤개념-능력 접근에 대한 일 고찰, 한국소비문화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6. 이재기.이은우.김재홍(1998). 삶의 질의 개념, 구성요소 및 측정방법: A Survey. 울산대학교 사회과학논집 8(2) 

  27. 이혜경(1998). 빈곤의 여성화: 한국 여성 빈곤의 원인과 결과.빈곤퇴치: 한국의 경험과 교훈. 서울: UNDP한국대표부 

  28. 조용환(1997). 질적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29. 정미숙(2001). 여성가장, 성별화된 빈곤 그리고 일. 경제와 사회. 경제와 사회, 5, 38-67 

  30. 정영숙.박충선(1998). 편모가계와 편부가계의 빈곤개념-상대적 빈곤과 주관적 빈곤의 비교적 접근. 사회과학연구, 54, 73-88 

  31. 정원오.김진구(2005). 자활사업에 대한 참여자들의 주관적 평가와 자립전망: 경기지역 참여자들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28, 35-67 

  32. 진미정.김은정(2005). 빈곤 여성가장 가족의 소득구성과 물질적 곤궁 경험. 사회복지연구. 27. 163-188 

  33. 최균.서병수(2006). 빈곤연구의 대안 패러다임으로서 Sen의 가능성접근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복지정책, 25(8), 333-362 

  34. 한국자활후견기관협회(2006). 자활사업 종합 보고서 

  35. 한경혜.성미애.진미정(2006). 가족발달.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36. 한성덕(1998). 삶의 질 지표체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사회과학연구, 4(3) 

  37. 황미영(2005). 여성 한부모에 대한 관점에 따른 노동연계복지 전략의 차별성: 미국과 영국의 복지개혁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3(12), 345-369 

  38. 황정임.송치선(2006). 자활공동체 유형별 빈곤여성의 자활 경험에 관한 연구-자활공동체가 갖는 대안적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탐색. 여성연구, 70, 85-120 

  39. Alderfer, P.(1972). Existence, Relatedness, and Growth: Human Needs in Organizational Settings. N.Y.: Free Press 

  40. Sen, A.(1983). Poor, Relatively Speaking. Oxford Economic Papers, New Series, 35(2), 153-169 

  41. Sen, A.(1984). The Living Standard. Oxford Economic Papers: New Series, 36, 74-90 

  42. Strauss, A. L.(1987). Qualitative Analysis for Social Scientists. N.Y.: Cambridge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