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기 자녀 성학대 자기보호 교육을 위한 부모 교육프로그램 개발 기초 연구
A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a Parent Education Program Concerning Young Child Sexual Abuse Self-Protection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7 no.2 = no.98, 2009년, pp.213 - 226  

천희영 (고신대학교 인문사회복지대학 아동복지학과) ,  이귀숙 (고신대학교 인문사회복지대학 아동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purpuse of gathering basic information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for parent to become educators of young child for sexual abuse(YCSA) self-protection, 298 mothers of 4- to 6-years old children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to measure their needs for YCSA self-protection education and 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7; Tang & Yan, 2004)을 고려하여, 자녀의 연령과 성, 부모의 인구학적 특성 즉 연령, 교육수준, 가정의 월평균 수입과 부모의 요구 및 특성이 갖는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럼으로써 추후 유아 성학대 자기보호 교육자로 부모를 교육하는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을 두었다.
  • 둘째,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성학대 자기보호 교육에 대한 요구와 성학대 관련 특성이 어떠한지를 유아와 어머니의 인구학적 변인과 관련지어 살펴보았었다. 유아 성학대 관련 특성인 지식의 인식 수준, 신화 및 고정관념 수준과 어머니 연령 변인간의 유의한 관계를 비롯하여 대체로 교육에 대한 요구들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유아의 성 변인이나 연령 변인보다는 어머니의 연령·교육수준·가정수입 등이 조사내용과 유의한 관계를 갖는 것을 더 빈번하게 볼 수 있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 성학대를 만 5세 이하의 유아를 대상으로 가해자가 발달적으로 미성숙한 유아를 자신의 성적인 만족을 위해 신체적·언어적·정신적 폭력을 행하는 행위로 포괄적으로 정의하였다.
  •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의 성학대 자기보호 교육을 직접 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에 공감하며, 이상에서 살펴본 바에 근거하여 부모의 유아 성학대 자기보호 교육에 대한 요구 및 유아 성학대 관련 특성을 조사하는데 직접적인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부모의 유아 성학대 자기보호 교육에 대한 요구로서 교육 실태와 관련 교육적 요구를, 유아 성학대 관련 특성으로서 유아 성학대 관련 지식의 인식과 아동 성학대에 대한 신화와 고정관념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유아 성학대 자기보호 교육에 대한 요구 및 유아 성학대 관련 특성을 알기 위해 부모의 유아 성학대 자기보호 교육의 실태와 관련 교육적 요구, 그리고 유아 성학대 지식의 인식과 아동 성학대에 대한 신화와 고정관념을 조사하였다. 아울러 부모의 요구와 특성이 자녀의 성과 연령 변인, 부모의 인구학적 특성 변인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 부모를 대상으로 한 교육 즉, 유아 성학대 예방교육을 위한 부모교육에 대한 교육적 요구로서 부모교육의 필요 여부와 필요하다면 다루어져야 할 교육내용에 대해 조사하였다. 부모 교육이 ‘필요하다’는 응답자는 277명(98.
  • 셋째, 본 연구는 자녀 성학대 자기보호 교육을 위한 부모 대상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나 어머니만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녀 성학대 예방교육에의 참여에 있어 아버지 보다 어머니의 참여가 높고, 부모의 성에 따라 성학대에 대한 태도와 자녀와의 관련 의사소통에 있어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Chen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 성학대 자기보호 교육의 효과를 검증했던 선행연구들은 대체로 어떤 점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는가? 유아 성학대 자기보호 교육의 효과를 검증했던 선행연구들은 대체로 유아의 성학대와 예방에 관한 개념, 지식 그리고 대응기술이 증진되었으며 성학대 폭로 사실이 증가하였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이영란, 2007; 이혜란, 2005, 이혜란·전영순, 2007). 물론 자기보호 교육 후 유아들이 부정적 정서 반응을 보이거나 개념 이해에 어려움을 보였다는 부정적인 결과를 보고한 연구도 일부 발견되었다(이영란, 2007; 이혜란, 2005; Tutty, 1997).
유아 성학대 예방교육이란 무엇인가? 따라서 유아 성학대 예방교육은 성학대의 발생을 사전에 막는데 초점을 두고 유아가 미래에 성학대가 가능한 상황에 직면했을 때 성학대에 대항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 지식, 태도를 가르치는 교육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이영란, 2007; 지추련, 2005). 그러나 Kenny등 그리고 Runyon(2008)에 의하면, 성학대 예방교육을 통해 모든 연령의 아동들은 자신의 안전에 관한 지식을 획득하고 성학대에 관해 숨기지 않고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될 뿐 아니라 자존감과 자기통제감이 향상될 수 있다고 많은 선행 연구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한다는 점에서 성학대 예방교육은 단순한 예방교육 그 이상의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유아를 대상으로 한 성학대가 아동학대와 관련하여 더욱 복잡하게 논의된 이유는 무엇인가? 성인을 대상으로 한 성학대의 개념이 ‘성적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논의된다면 유아를 대상으로 한 성학대는 아동학대와 관련하여 보다 복잡하게 논의된다(정현옥, 2008). 아동복지법은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에 의한 아동의 성적학대를 금지하는 조항을 명시하고 있으나, 과연 무엇을 성적 행위로 보느냐, 비접촉성 성학대를 아동 성학대의 개념에 포함시킬 것인가의 문제가 아동 대상의 성학대를 개념화 할 때 핵심적인 쟁점이 되기 때문이다. 전자와 관련하여, 발달적으로 미성숙한 아동은 성적 행위에 대한 개념을 이해 못하며 미리 동의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회적 역할의 금기를 위반하는 성적 행위에 개입될 수 있어(Kempe & Kempe, 1984), 가해자의 의도 즉 성적인 만족의 추구 여부가 성학대의 중요한 기준으로 적용된다(Laird & Doris, 1993, 이영란, 2007 재인용).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김오남(2004). 유아 성학대 예방에 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개발. 열린유아교육연구, 9(3), 195-217 

  2. 김우희(2005). 미취학 아동부모의 피양육 경험과 아동학대 인식간의 관계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박명숙.유서구(2004). 아동 성학대에 대한 신화와 고정관념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4(6), 61-79 

  4. 박은미.박호선.권정숙.이자희(2002). 영유아를 위한 성폭력예방교육 프로그램. 서울: 동문사 

  5. 보건복지가족부(2008). 2008년도아동복지사업안내. http://www. mw.go.kr/user.tdf 

  6. 안애선(1996). 성학대에 대한 아동의 지각.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여성가족부(2008). 2008 보육사업안내. http://www.mogef .go.kr 

  8. 오현숙(2003). 아동기 성학대 피해여성의 치료집단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유가효.남정림(1995). 아동성학대의 실태와 관련변인 지방대도시 청년기 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3(5), 221-239 

  10. 윤덕경.정명희(2004). 성폭력 피해 아동 보호대책에 관한 연구. 2004 연구보고서 210-19, 한국여성개발원 

  11. 이영란(2007). 유아 성학대 예방을 위한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기초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정은(2001). 성교육 프로그램(육아시설을 중심으로). 서울:한국성폭력상담소 

  13. 이하린(2008). 아동 성학대위험에 대한 부모의 인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혜란(2005). 유아 성학대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0(4), 225-250 

  15. 이혜란.전영순(2007). 문학적 접근에 기초한 유아 성 학대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1),1-29. 

  16.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2008). 아동학대. http://www.korea1391.org. 

  17. 정소영(2003). 아동학대와 아동보호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인식.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정채옥(2005). 유아를 위한 성학대 예방 교육법. 서울: 한국학술정보 

  19. 정현옥(2008). 아동 성폭력범죄에 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지추련(2005). 유아성폭력 예방교육의 현황 및 방향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채수형(2007). 도시.농촌 영유아교사와 어머니의 아동학대 인식비교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최유경(2002). 유아교육기관의 아동 성학대 예방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현황연구.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한인영.박명숙.유서구.류소영(2008). 아동청소년 성학대 피해증상의 영향요인: 성학대 피해에 대한 부모의 반응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5(7), 327-356 

  24. 홍기형.박혜정.권경안.권기욱(1984). 부모교육프로그램모형 개발연구. 연구보고RR84-20, 한국교육개발원 

  25. Callings, S. J. (1997). Developmen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hild sexual abuse myth scale.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2, 665-674 

  26. Chen, J., Dunne, M. P., & Han, P. (2007). Prevention of child sexual abuse in China: Knowledge, attitudes, and communication practices of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Child Abuse & Neglect, 31, 747-755 

  27. Daro, D. (1988). Confronting child abuse : Research for effective program design. N.Y.: The Free Press 

  28. Deblinger, E., & Runyon, M. K. (2005). Understanding and treating feelings of shame in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maltreatment. Child Maltreatment, 10(4),364-376 

  29. Deblinger, E., Stauffer, L., & Steer, R. (2001). Comparative efficacies of supportive and cognitive behavioral group therapies for children who were sexually abuse and their nonoffending mothers. Child Maltreatment, 6(4), 332-343 

  30. England, L., & Thompson, C. (1988). Counseling child sexual abuse victim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66, 370-373 

  31. Fieldman, J, P., & Crespi, T. D. (2002). Child sexual abuse: Offenders, disclosure, and school-based initiatives. Adolescence, 37, 151-160 

  32. Kemp, R. S., & Kemp. C. H. (1984). Child abus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33. Kenny, M. C., Capri, V., Thakkar-Kolar, R. R., Ryan, E. E., & Runyon, M. K. (2008).Child sexual abuse: From prevention to self-protection. Child Abuse Review,17, 36-54 

  34. Maynard, C., & Wiederman, M. (1997).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f child sexual abuse: Effects of age, sex, and gender-role attitudes. Child Abuse & Neglect, 21, 833-844 

  35. Roberts, J, A., & Miltenberger, R, G. (1999). Emerging issues in the research on 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 Treatment of Children, 22, 84-102 

  36. Swap, S, M. (1993). Developing home-school partnerships from concepts to practice. N.Y.: Teachers College 

  37. Tang, C. S., & Yan, E. C. (2004).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s: A study of Chinese adults in Hong Kong. Child Abuse & Neglect, 28, 1187-1197 

  38. Thomlison, B. (1997).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 child maltreatment. In M. Fraser (Ed.), Risk and resilience in childhood (pp. 50-72). Washington, DC: NASW Press 

  39. Tutty, M. L. (1997). 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s: Evaluation WHO DO YOU TELL. Child Abuse & Neglect, 21(9), 869-881 

  40. Tzeng, C., Jackson, J., & Karlson, H. (1991). Theories of child abuse and neglect: Differential perspectives, summaries, and evaluations. Connecticut: Praeger 

  41. Wurtele, S., Gillispie, E., Currier, L., & Franklin, C. (1992a). A comparison of teachers vs. parents as instructors of a personal safety program for preschoolers. Child Abuse & Neglect, 16, 127-137 

  42. Wurtele, S., Kast, L., & Melzer, A. (1992b).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 comparison of teachers and parents as instructors. Child Abuse &Neglect, 16, 865-876 

  43. Wurtele S., Kvaternick. M., & Franklin, C. (1992c). Sexual abuse prevention for preschoolers: A survey of parents` behaviors, attitudes, and beliefs. Journal of Child Sexual Abuse, 1, 113-12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