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색 식물을 이용한 약초부각용 발효찹쌀풀의 당, 산도, 점도 및 색도 변화
Changes in Sugar Level, Acidity, Viscosity, and Color of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Waxy Rice Paste Containing Colored Agro-food Produ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6 no.2, 2009년, pp.266 - 275  

고영란 (한국전통발효식품연구소) ,  손미예 (한국전통발효식품연구소) ,  정경숙 (반듸영농조합) ,  왕수빈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성구 (한국전통발효식품연구소) ,  박석규 (한국전통발효식품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연색소를 함유한 유색식물체 분말(울금, 복분자, 백련초, 홍피망, 녹차, 단호박, 뽕잎)과 찹쌀분말에 1, 3, 5% 첨가하여 호화시켜 L. lactis 젖산균으로 배양한 약초부각용 발효 찹쌀풀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총당과 환원당은 젖산균으로 발효시킨 발효찹쌀풀이 대조구인 생찹쌀풀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다. 총산도는 유색식물체 분말농도를 증가시킨 젖산균 발효풀에서 점진적으로 증가되었는데, 단호박($1.02{\sim}1.56%$), 홍피망($0.96{\sim}1.87%$)에서 $3{\sim}4$배 크게 나타났다. 점도는 젖산균으로 발효시킨 찹쌀풀에서 모든 비발효 찹쌀풀에 비하여 아주 낮은 값을 나타내었는데, 울금과 백년초의 분말을 이용한 비발효풀의 점도는 $100{\sim}160{\times}10^4mPa{\cdot}s$ 범위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복분자와 녹차는 $40{\times}10^4mPa{\cdot}s$ 이하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색차계 색도의 명도(L)는 대조구인 비발효 찹쌀풀에 비하여 발효찹쌀풀은 약간씩 감소되었고, 황색도(b)는 울금과 단호박이 가장 높았으며 젖산균 발효에 따라서 대부분의 색소분말은 황색도가 약간씩 증가하였다. 그리고 복분자 분말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찹쌀풀은 대조구에 비하여 기공의 형태가 일정하며 기공의 수가 많았다. 발효약초부각은 시판되는 해조류 부각보다 부드럽고 형태와 색상이 개선된 잠재적 기능성부각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new high-quality Yakchobugak, features of Lactococcus lactis-fermented waxy rice paste after addition of some colored powdered agro-food products were investigated. Total and reducing sugars of waxy rice paste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raw waxy 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자들은 전보(13)에서 강한 맛과 딱딱한 조직감의 식용 약초류를 다소비 식품으로서 약초부각을 개발하기 위하여, 찹쌀풀을 젖산균으로 발효시켜 주재료와의 우수한 접착성과 조직감을 부드럽게 할 수 있는 젖산균의 종류와 발효시간, 찹쌀풀의 농도 및 호화온도 등의 몇 가지 특성을 조사하여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약초부각의 기호성과 저장성 증진 및 천연색소의 잠재적 기능성을 부가하기 위하여, 농식품 유색식물체 분말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젖산균으로 발효시킨 찹쌀풀의 총당, 환원당, 산도, 점도, 색도 및 표면구조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자들은 전보(13)에서 강한 맛과 딱딱한 조직감의 식용 약초류를 다소비 식품으로서 약초부각을 개발하기 위하여, 찹쌀풀을 젖산균으로 발효시켜 주재료와의 우수한 접착성과 조직감을 부드럽게 할 수 있는 젖산균의 종류와 발효시간, 찹쌀풀의 농도 및 호화온도 등의 몇 가지 특성을 조사하여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약초부각의 기호성과 저장성 증진 및 천연색소의 잠재적 기능성을 부가하기 위하여, 농식품 유색식물체 분말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젖산균으로 발효시킨 찹쌀풀의 총당, 환원당, 산도, 점도, 색도 및 표면구조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색 식물체 분말(울금, 복분자, 백련초, 홍피망, 녹차, 단호박, 뽕잎)과 찹쌀 분말을 1, 3, 5% 첨가하여 호화시켜 L. lactis 젖산균으로 배양한 약초부각용 발효 찹쌀풀의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lactis 젖산균으로 배양한 약초부각용 발효 찹쌀풀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총당과 환원당은 젖산균으로 발효시킨 발효찹쌀풀이 대조구인 생찹쌀풀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다. 총산도는 유색식물체 분말농도를 증가시킨 젖산균 발효풀에서 점진적으로 증가되었는데, 단 호박(1.02~1.56%), 홍피망(0.96~1.87%)에서 3~4배 크게 나타났다. 점도는 젖산균으로 발효시킨 찹쌀풀에서 모든 비발효 찹쌀풀에 비하여 아주 낮은 값을 나타내었는데, 울금과 백년초의 분말을 이용한 비발효풀의 점도는 100~160×104 mPa․s 범위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복분자와 녹차는 40×104 mPa․s 이하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색차계 색도의 명도(L)는 대조구인 비발효 찹쌀풀에 비하여 발효찹쌀풀은 약간씩 감소되었고, 황색도(b)는 울금과 단호박이 가장 높았으며 젖산균 발효에 따라서 대부분의 색소분말은 황색도가 약간씩 증가하였다. 그리고 복분자 분말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찹쌀풀은 대조구에 비하여 기공의 형태가 일정하며 기공의 수가 많았다. 발효약초부각은 시판되는 해조류 부각보다 부드럽고 형태와 색상이 개선된 잠재적 기능성부각으로 판단된다.
전통부각 제조과정의 특징은 무엇인가? 전통부각은 대부분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된 전분질 찹쌀 풀을 발라 적절하게 건조하였다가 대두유로 160~180℃에서 하얗게 부풀도록 수초 이내로 유탕처리시켜 만들며, 우리나라 대표적인 튀김식품 중의 하나로 식물성 지방을 많이 섭취하게 되는 사찰의 별미음식으로부터 유래되었다(7). 특히 전통부각 제조과정의 특징으로는 유과 및 강정과 마찬가지로 생찹쌀을 전통적으로 2~14일 동안 수침하면서 주기적으로 물을 갈아주는데, 그 과정에서 자연 발효미생물이 생성하는 젖산을 포함한 각종 유기산과 균체외 분비가수분해효소 등의 작용으로 찹쌀가루의 팽화성과 부분적인 조직감을 개선시키게 된다(8,9).
현재까지 일반 전통부각에 대한 연구로는 무엇이 있는가? 현재까지 일반 전통부각에 대한 연구로는 뽕잎 부각의 관능적 및 이화학 특성(1), 전통부각의 제조공정과 저장성향상(5), 녹차추출물의 김부각 산화안정성 및 품질특성(7) 에 관한 극히 일부만 보고되어 있으며, 특히 임상요법으로 오래 동안 식용하여 온 지리산자락 약용식물의 어린잎을 이용한 발효 약초부각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J.M., Kim, J.H. and Lee, J.M. (2002) Sensory and physical attributes of Boogags using mulberry leaf. Korean J. Dietary Culture, 17, 103-110 

  2. Yoon, G.S. (1995)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utilization of Korea traditional basic side dishes I : Jangachies. Korean J. Dietary Culture, 10, 437-463 

  3. Yoon, G.S. and Song, Y.S. (1996)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utilization of Korea traditional basic side dishes I : Dried side dishes and Jabans. Korean J. Dietary Culture, 11, 393-400 

  4. Cho, E.J. and Park, S.H. (1994) A study on eating habits of the Buddist priesthood in Seoul and Kyongnam - I. Dietary pattern and special food. Korean J. Dietary Culture, 9, 111-118 

  5. Park, J.I., Chung, G.H., Kim, B.S. and Hur, J.H. (1994)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Boogags by traditional methods and improvement of preservation. J. Korean Soc. Food Nutr., 23, 986-993 

  6. Jang, H.J. (1989)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main dishes. Korean J. Dietary Culture, 4, 201-209 

  7. Park, B.H., Choi, H.K. and Cho, H.S. (2001) A study on the oxidative stabil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bugak made of aqueous green tea. J. Korean Soc. Food Nutr., 30, 557-564 

  8. Shon, K.H. and Park, J. (1998) Effect of long-term steeping and enzyme treatment of glutinous rice on Yukwa characteristics: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enzyme-treated glutinous rice flour. Korean J. Soc. Food Sci., 14, 225-231 

  9. Lee, Y.H., Kum, J.S. and Ku, K.H. (2001)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glutinous rice during steeping and quality properties of Yukwa.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737-744 

  10. Shon, M.Y., Chung, K.S., Ko, Y.R., Wang, S.B., Lee, K.S. and Park, S.K. (2008)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for Merchandising of Yakchobugak in Sancheong Province. Final report of medicine herb research and development. Sancheong County. p.3-5 

  11. Lyu, E.S., Lee, D.S. and Chung, S.K. (2006) A survey of Korean housewives' on the commercial Korean basic side dishes in the Bu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440-447 

  12. Lee, Y.H. (2007) Current stat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Food Ind. Nutr., 12, 51-62 

  13. Ko, Y.R., Shon, M.Y., Kim, Y.K., Chung, K.S., Wang, S.B. and Park, S.K. (2009) Changes in quality properties of fermented waxy rice paste of Yakchobugak as affected by lactic acid bacteria and waxy rice powder. J. Korean Soc. Food Nutr., 38, 201-210 

  14. Kim, C.R. (2006) Enhancement of liver function by curcuma extract on acute hepatotoxicity in rat.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6, 386-393 

  15. Park, Y.K., Choi, S.H., Kim, S.H., Jang, Y.S., Han, J.G. and Chung, H.G. (2008) Func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from the fruits of Rubus coreanus according to cultivars. Mokchae Konghak, 36, 102-109 

  16. Chung, H.J. (2000)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puntia ficus indica var. Saboten. Korean J. Soc. Food Sci., 16, 160-166 

  17. Kim, S.R., Ha, T.Y., Song, H.N., Kim, Y.S. and Park, Y.K. (2005)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for Kabocha squash and pumpki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71-177 

  18. Dubois, M., Gillers, K.A., Hanilton, J.K., Rebers, P.A. and Smith, F. (1956)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 and related substance. Anal. Chem., 28, 350-356 

  19.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20. Ko, Y.D. (200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ungkugjang prepared with Bacillus megaterium SMY-212. M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eon, Korea, p.3-10 

  21. Duncan, D.B. (199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Biometrics, 47, 11-20 

  22. Kim, S.R., Ha, T.Y., Song, H.N., Kim, Y.S. and Park, Y.K. 2005.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for Kabocha squash and pumpki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71-177 

  23. Shon, K.H. and Park, J. (1998) Effect of long-term steeping and enzyme treatment of glutinous rice on Yukwa characteristics: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enzyme-treated glutinous rice flour. Korean J. Soc. Food Sci., 14, 225-231 

  24. Thomsen, M.H., Guyot, J.P. and Kiel, P. (2007) Batch fermentations and synthetic mixed sugar and starch medium with amylolytic lactic acid bacteria. Appl. Microbiol. Biotechnol., 74, 540-546 

  25. Park, C.S. (2000) Effect of pine needle and green tea Extracts on the survival of pathogenic bacteria. J. Korean Soc. Food Sci., 16, 40-46 

  26. Kim, K., Kang, K.J., Lee, Y.H., Lee, Y.H. and Kim, S.K. (1993) Changes in properties of waxy rice during steeping in water.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86-87 

  27. Kim, K., Lee, Y.H., Kang, K.J. and Kim, S.K. (1993) Effects of steeping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axy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535-540 

  28. Kim, H.S., Woo, J.W., Yoon, K.S. and Hur, M.H. (1985) Physiochemical properties (viscosity) of waxy starch. J. Korean Soc. Appl. Biol. Chem., 28, 219-225 

  29. Olkku, J. and Rah, C.K. (1978) Gelatinization of starch and wheat starch-A review. Food Chem., 3, 293-298 

  30. Tester, R.F. and Morrison, W.R. (1990) Swelling and gelatinization of cereal starches. Cereal Chem., 67, 551-55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