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이 있는 3개월 이하의 영아에서 수막염의 예측에 대한 연구
Predictors of Meningitis in Febrile Infants Aged 3 Months or Younger 원문보기

소아감염 = Korean journal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v.16 no.1, 2009년, pp.40 - 46  

송향순 (전주 예수병원 소아청소년과) ,  김은옥 (전주 예수병원 소아청소년과) ,  장영택 (전주 예수병원 소아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3개월 이하의 열이 있는 영아에서 세균성 수막염의 진단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예측인자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 법: 2003년 1월부터 2008년 4월까지 전주예수병원에 직장 체온으로 $38^{\circ}C$ 이상의 발열을 주소로 내원한 3개월 이하의 영아 652명을 대상으로, 내원 당시 체온, 말초 혈액에서 총 백혈구수, 대호중구수, 절대호중구수, C-반응 단백, 혈액 배양검사를 하였고, 세균성 수막염과 연관있는 인자를 분석하였다. 결 과: 세균성 수막염과 관련된 인자로는 C-반응 단백, 대호중구수, 절대호중구수, 연령의 P value가 각각 0.036, 0.037, 0.036, 0.001로 모두 통계학적인 의의가 있었다. C-반응 단백, 대호중구수, 절대호중구수, 연령의 곡선하면적은 각각 0.969, 0.946, 0.765, 0.235이었으며, C-반응 단백의 민감도, 특이도 및 차단점은 각각 83%, 96%, 8 mg/dL, 대호중구수는 각각 83%, 95%, $2,500/mm^3$, 절대호중구수는 각각 83%, 62%, $5,100/mm^3$이었다. C-반응 단백이 7 mg/dL 미만에서는 우도가 0.17이고, 사후확률은 0.1%, 음성예측도가 91% 이어서 세균성 수막염을 배제할 수 있었으며, C-반응단백이 9 mg/dL 이상인 경우 우도는 20.1로, 대호중구수의 16.6, 절대호중구수의 2.18, 연령의 0.61보다 높아서, 혈청 C-반응 단백이 세균성 수막염을 예측하는데 가장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 론: 3개월 이하의 영아가 발열이 있는 경우 C-반응 단백, 대호중구수, 절대호중구수가 높은 경우에는 세균성 수막염과 관련이 더 많았으며, 특히 혈청 C-반응 단백이 가장 유용한 인자로, 7 mg/dL 미만인 경우는 세균성 수막염을 배제하는데 도움이 되었고, 9 mg/dL 이상인 경우에는 세균성 수막염의 강한 예측인자가 되어 뇌척수액 검사를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useful predictors for diagnosing bacterial meningitis and performing CSF studies in febrile infants three months or younger. Methods : Six hundred and fifty two febrile infants with a rectal temperature ${\geq}38.0^{\circ}C$ presented f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목 적 3개월 이하의 열이 있는 영아에서 세균성 수막염의 진단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예측인자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 그런데 수막염은 어린 아기일수록 신경학적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고, 뇌척수액 검사도 부작용이 생길 수 있는 침습적 방법이기 때문에, 수막염에 대한 검사를 진행해야 할지 여부를 놓고 여러가지 고민을 하게 된다1, 2). 이에 저자들은 3개월 이하의 아이가 열을 주소로 내원하였을 때, 세균성 수막염과 관련된 인자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뇌척수액검사를 반드시 시행해야하는 경우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achur RG, Harper MB. Predictive model for serious bacterial infections among infants younger than 3 months of age. Pediatrics 2001;108:311-6. 

  2. Brik R, Hamissah R, Shehada N, Berant M. Evaluation of febrile infants under 3 months of age: is routine lumbar puncture warranted? Isr J Med Sci 1997;33: 93-7. 

  3. Mintegui Raso S, Benito Fernandez J, Sanchez Echaniz J, Rubio Fernandez G, Vazquez Ronco MA, Navarro de Prado MM, et al. Lumbar puncture in a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something more than a diagnostic technic. An Esp Pediatr 1999;50:25-8. 

  4. Meehan WP, Bachur RG. Predictors of cerebrospinal fluid pleocytosis in febrile infants aged 0 to 90 days. Pediatr Emerg Care 2008;24:287-93. 

  5. Dagan R, Powell KR, Hall CB, Menegus MA. Identification of infants unlikely to have serious bacterial infection although hospitalized for suspected sepsis. J Pediatr 1985;107:855-60. 

  6. Dagan R, Sofer S, Phillip M, Shachak E. Ambulatory care of febrile infants younger than 2 months of age classified as being at low risk for having serious bacterial infections. J Pediatr 1988;112:355-60. 

  7. Baker MD, Avner JR, Bell LM. Failure of infant observation scales in detecting serious illness in febrile, 4-to 8-week-old infants. Pediatrics 1990;85:1040-3. 

  8. Norris CM, Danis PG, Gardner TD. Aseptic meningitis in the newborn and young infant. Am Fam Physician 1999;59:2761-70. 

  9. Jeon YS, Lee SY, Mok HR, Lee JH, Kim JH, Hur JK, et al. The causative organisms of neonatal and pediatric bacterial meningitis in Korea (2000-2005). Korean J Pediatr Infect Dis 2006;13:130-6. 

  10. Kim JS, Jang YT, Kim JD, Park TH, Park JM, Kilgore PE, et al. Incidence of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and other invasive diseases in South Korean children. Vaccine 2004;22:3952-62. 

  11. Rorabaugh ML, Berlin LE, Heldrich F, Roberts K, Rosenberg LA, Doran T, et al. Aseptic meningitis in infants younger than 2 years of age: acute illness and neurologic complications. Pediatrics 1993;92:206-11. 

  12. Baker RC, Kummer AW, Schultz JR, Ho M, Gonzalez del Rey J. Neurodevelopmental outcome of infants with viral meningitis in the first three months of life. Clin Pediatr 1996;35:295-301. 

  13. Pulliam PN, Attia MW, Cronan KM. C-reactive protein in febrile children 1 to 36 months of age with clinically undetectable serious bacterial infection. Pediatrics 2001; 108:1275-9. 

  14. Diculencu D, Miftode E, Turcu T, Buiuc D. The value of C-reactive protein for the differentiation of bacterial meningitis from viral meningitis. Rev Med Chir Soc Med Nat Iasi 1995;99:144-50. 

  15. Maheshwari N. How useful is C-reactive protein in detecting occult bacterial infection in young children with fever without apparent focus? Arch Dis Child 2006;91:533-5. 

  16. The Korean Child Neurology Society. Pediatric neurology. 1st ed. Seoul : Koonja, 2007;331-2. 

  17. Cuello Garca CA, Tamez Gmez L, Valdez Ceballos. Total white blood cell count, erythrosedimentation rate and C-reactive protein for the detection of serious bacterial infections in 0- to 90-day-old infants with fever without a source. An Pediatr (Barc) 2008;68:103- 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