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만성 B형 간염 산모로부터 분만된 신생아에게 주산기 예방조치를 실시하면 모유수유는 권장되어져야한다. 그러나 실지로 국내에서는 높은 비율에서 산모들은 모유수유를 꺼리고 있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 같은 현상이 초래되는 요인을 찾아보았다. 방 법: 질병관리본부가 주관하는 'B형간염수직감염예방사업'에 참여하여 등록된 만성 B형 간염 산모 중 보건소에서 혈액 채취를 위해 보건소를 방문하고 동의서에 서명을 얻은 경우를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 결과를 고지할 때 이들의 모유수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반송봉투와 함께 설문지를 발송하였다. 결 과: 설문지를 발송한 839명 중 주소 이전 등의 이유로 반송된 114명을 제외한 725명이 설문지를 모두 받았다고 가정할 때 응답율은 17% (125명)이었다. 응답자의 수유방법은 모유 65명(52%), 분유 60명(48%)이었다. 모유수유를 한 경우 가장 영향을 미쳤던 요인은 본인 및 가족의 결정 75%, 산부인과 의사 17%이었고, 분유수유를 한 경우는 산부인과 의사 57%, 본인의 결정 28%이었다. 모유수유와 주산기 예방조치 실패간의 관련성에 대한 인식은 '관련이 있다' 45%, '관련이 없다' 50%이었고, 관련이 있다고 했을 때의 관련 정도는 '어느 정도 관련이 있다'가 55%이었다. 모유수유를 한 경우 추후에 모유수유를 하겠다는 답변은 91%이었고, 분유수유를 하였지만 '모유수유가 주산기 예방조치 실패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는 사실이 소개된다면 추후에는 모유수유를 선택하겠다는 경우가 78%이었다. 결 론: 모유수유가 B형 간염 주산기 예방조치의 실패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숫자에서 모유수유를 하지 않고 있는데, 이러한 결정을 하게 된 경우의 대부분이 의료인에 의해서였다. 교육을 통한 의료인들의 개념전환과 국민홍보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Breastfeeding should be recommended for infants born to mothers with chronic hepatitis B Infection after postexposure prophylaxis. However, high proportion of these mothers are reluctant to engage in breastfeeding in Korea. This survey was taken to identify the cause of that reluctance. 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의학적 근거에 부합하지 않는 현상으로 모유수유의 장점을 고려한다면 빠른 시일 내에 수정되어야 할 중대한 사회문제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B형 간염 주산기감염에 있어 모유수유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로 잡기 위해 만성 B형 간염 산모들에게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런 현상이 생기게 된 요인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 설문지의 주요 내용(부록 참고)은 주산기 예방조치를 실시하면 모유수유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모유수유를 꺼리고 있는 국내의 현실에 대해 설명한 후 대상자들의 경험에 대한 다음의 질문을 실시하였다. 질문은 모유 혹은 분유수유 여부, 수유방법 결정에 대해 영향이 컸던 요인, 모유가 주산기 감염의 예방조치 실패와 관련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지, 관련성이 있다고 여기면 얼마나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는 지, 모유수유를 하였다면 다음 출산에도 다시 모유수유를 시행할 것인지, 모유수유를 하지 않은 경우는 모유수유가 예방조치 실패와 관련이 없다는 사실을 소개받는다면 다음 출산에 모유수유를 할 의향이 있는 지에 관한 것들이었다 본 연구에 대한 타당성은 가톨릭대학교 성빈 센트 병원의 임상 연구심사위원회로부터 평가받았다.

가설 설정

  • 질문 1) 모유수유를 하게 된 결정은 누구의 영향이 가장 컸습니까?
  • 질문 2) 모유수유를 하지 않게 된 결정은 누구의 영향이 가장 컸습니까?
  • 질문 3) 모유수유가 수직감염의 예방조치 실패(아기가 보유자가 되는 것)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 질문 6) 모유수유를 하지 않았던 경우 모유수유가 수직감염의 예방조치 실패(아기가 보유자가 되는 것)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는 내용을 소개받는다면 다음 출산에는 모유수유를 하시겠습니까?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Report to WPRO: Achievement of hepatitis B control goal in the Republic of Korea. Seoul: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5-9. 

  2. Regional Office for the Western Pacific, World Health Organization. Guidelines for certification of achievement of hepatitis B control goal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Manil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1-4. 

  3. The Office for Health and Medical Care Policy in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Division of Chronic Disease Surveillance in Korea,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in Korea: Medical Examination Survey. Kwacheon: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6:204-9. 

  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6 Serosurvey of measles, mumps and hepatitis B.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35-40. 

  5. Jun GH, Kim JJ, Shin DH, Yoon SD. A survey of HBs antigenemia among healthy primary and middle school children, pregnant women in Kyungpook Province. J Korean Pediatr Soc 1983;26:30-7. 

  6. Hwang SH, Kim JH, Kang JH, Hur JK, Lee KI, Lee SH, et al. Follow-up of children with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Korean J Pediatr Infect Dis 2004;11: 73-80. 

  7. Seo K, Kim SY, Park O, Lee HJ. Evaluation of antenatal hepatitis B screening and neonatal immunization program of Korean hospitals.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3:13-23. 

  8. Linnemann Jr. CC, Goldberg S. HBsAg in breast milk. Lancet 1974;304:155. 

  9. Boxall EH, Flewett TH, Dane DS, Cameron CH, MacCallum FO, Lee TW. Hepatitis-B surface antigen in breast milk. Lancet 1974;304:1007-8. 

  10. Krugman S. Vertical transmission of hepatitis B and breast-feeding. Lancet 1975;306;916. 

  11. Lee AK, Ip HM, Wong CW. Mechanisms of maternalfetal transmission of hepatitis B virus. J Infect Dis 1978;138:668-71. 

  12. Beasley PR, Stevens CE, Shiao IS, Meng HC. Evidence against breast-feeding as a mechanism for vertical transmission of hepatitis B. Lancet 1975;306:740-1. 

  13. Global Programme for Vaccines and Immunization and the Divisions of Child Health and Development, and Reproductive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hepatitis B and breastfeeding.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6:1-3. 

  14. Woo D, Davies PA, Harvey DR, Hurley R, Waterson AP. Vertical transmission of hepatitis B surface antigen in carrier mothers in two west London hospitals. Arch Child Dis 1979;54:670-5. 

  15. Martino MD, Appendino C, Resti M, Rossi ME, Muccioli AT, Vierucci A. Should hepatitis antigen positive mothers breast feed? Arch Dis Child 1985;60: 972-4. 

  16. Tseng RY, Lam CW, Tam J. Breastfeeding babies of HBsAg-positive mothers. Lancet 1988;332:1032. 

  17. Hill JB, Sheffield JS, Kim MJ, Alexander JM, Sercely B, Wendel GD. Risk of hepatitis B transmission in breast-fed infants of chronic hepatitis B carriers. Obstet Gynecol 2002;99:1049-52. 

  18. Wang JS, Zhu QR, Wang XH. Breastfeeding does not pose any additional risk of immunoprophylaxis failure on infants of HBV carrier mothers. Int J Clin Pract 2003;57:100-2. 

  19. Kim JH, Seo K, Kim TG. The first stage appraisement of perinatal hepatitis B virus transmission control program in Korea and analysis of risk factor in neonates with perinatal prophylaxis failure. Seoul: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4:34-5. 

  20. Gartner LM, Morton J, Lawrence RA, Naylor AJ, O'Hare D, Schanler RJ, et al. Breastfeeding and the use of human milk. Pediatrics 2005;115:496-506. 

  21. Karayiannis P, Novick DM, Lok AS, Fowler MJ, Monjardino J, Thomas HC. Hepatitis B virus DNA in saliva, urine, and seminal fluid of carriers of hepatitis B e antigen. Br Med J (Clin Res Ed) 1985;290:1853-5. 

  22. Lavanchy D. Epidemiology. In : Thomas HC, Lemon S, Zuckerman AJ, editors. Viral hepatitis. 3rd ed. Massachusetts : Blackwell Publishing, Inc, 2005:181- 92. 

  23.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Obstetrics. 4th ed. Seoul : Koonja Pubish Co., 2007:489, 866. 

  24. Cunningham FG, Gant NF, Leveno KJ, Gilstrap III LC, Hauth JC, Wenstrom KD. Williams Obstetrics. 21st ed. New York : McGraw-Hill Co, 2001:412, 1290-1. 

  25. Cunningham FG, Leveno KJ, Bloom SL, Hauth JC, Gilstrap III LC, Wenstrom KD. Williams Obstetrics. 22nd ed. New York : McGraw-Hill Co, 2005:113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