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안시이상에 따른 조절용이의 평가
Assessment of Accommodative Facility in General Binocular Dysfunctions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4 no.3 = no.36, 2009년, pp.51 - 57  

박상철 (부산정보대학 안경광학과)

초록

목적: 이 연구에서는 단안 및 양안의 조절용이 검사가 양안시이상을 진단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방법: 증상을 호소하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포괄적인 눈검사를 통해 선별된 95명을 4개의 집단(조절이상 29명, 버전스이상 28명, 조절이상과 버전스이상 동반 25명, 양안시 기능이 정상 13명)으로 분류하였다. 단안 및 양안의 조절용이 검사는 ${\pm}$2.00 D 플리퍼 렌즈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양안시이상에 따라 단안과 양안의 조절용이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조절이상이나 조절이상과 버전스이상이 동반된 집단은 단안과 양안의 조절용이가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p>0.05), 버전스이상이 있는 집단에서는 양안으로 측정한 조절용이 값이 단안으로 측정한 조절용이 값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1). 그리고 양안시이상이 있는 집단의 단안 및 양안의 평균 조절용이 값이 양안시 기능이 정상인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결론: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단안 및 양안의 조절용이 검사가 양안시기능의 정상여부를 구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양안시이상의 종류도 구별이 가능하므로 양안시이상을 진단하는데 유용한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monocular and binocular accommodative facility tests would be useful in diagnosing general binocular dysfunctions. Methods: 95 symptomatic children, who were selected from comprehensive vision tes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29 subjec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조절 이상과 버전스 이상에서 단안 및 양안의 조절용이 값을 비교해보고, 단안 및 양안의 조절용이가 조절이상이나 버전스 이상을 진단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Eskridge J. B., Amos J. F., and Bartlett J. D., "Clinical procedures in optometry",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Philadelphia, USA, pp. 687-697(1991). 

  2. Liu J. S., Lee M., Jang J., Ciuffreda K. J., Wong J. H., Grisham D., and Stark L., "Objective assessment of accommodation orthoptics. I. Dynamic insufficiency", Am. J. Optom. Physiol. Opt., 56(5):285-294(1979). 

  3. Siderov J. and Johnston A. W., "The Importance of the test parameters in the clinical assessment of accommodative facility", Optom. Vis. Sci., 67(7):551-557(1990). 

  4. Kedzia B., Pieczyrak D., Tondel G., and Maples W. C., "Factors affecting the clinical testing of accommodative facility", Ophthal. Physiol. Opt., 19(1):12-21(1999). 

  5. Scheiman M., Herzberg H., Frantz K., and Margolies M., "Normative study of accommodative facility in elementary schoolchildren", Am. J. Optom. Physiol. Opt., 65(2):127-134(1988). 

  6. Hennessey D., Iosue R. A., and Rouse M. W., "Relation of symptoms to accommodative infacility of school-aged children", Am. J. Optom. Physiol. Opt., 61(3):177-183(1984). 

  7. Russell G. E. and Wick B., "A prospective study of treatment of accommodative insufficiency", Optom. Vis. Sci., 70(2):131-135(1993). 

  8. Scheiman M. and Wick B.,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Heterophoric, accommodative and eye movement disorders", 2nd Ed.,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Philadelphia, USA, pp. 19-24(2002). 

  9. Garca A., Cacho P., Lara F., and Megas R., "The relation between accommodative facility and general binocular dysfunction", Ophthal. Physiol. Opt., 20(2):98-104(2000). 

  10. Shin H. S., Park S. C., and Park C. M., "Relationship between accommodative and vergence dysfunc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primary school children", Ophthal. Physiol. Opt., 29:E-Offprint(2009). 

  11. Lara F., Cacho P., Garca A., and Megas R., "General binocular disorders: Prevalence in a clinic population", Ophthal. Physiol. Opt., 21(1):70-74(2001). 

  12. Garca A., Cacho P., and Lara F., "Evaluating relative accommodations in general binocular dysfunctions", Optom Vis. Sci., 79(12):779-787(2002). 

  13. Harris P., "Learning related visual problems in Baltimore city: A long-term program", J. Optom. Vis. Dev., 33(2):75-115(2002). 

  14. Maples W. C., "Visual factors that significantly impact academic performance", Optometry, 74(1):35-49(2003). 

  15. Goldstand S., Koslowe K. C.. and Parush S., "Vision, visual-information processing, and academic performance among seventh-grade school children: A more significant relationship than we thought?", Am. J. Occup. Ther., 59(4):377-389(2005). 

  16. Sheard C., "Zones of ocular discomfort", Am. J. Optom., 7:9-25(1930). Cited in Scheiman M., Mitchell G. L., Cotter S., Cooper J., Kulp M., Rouse M., Borsting E., London R., Wensveen J. and Convergence Insufficiency Treatment Trial Study Group.,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treatments for convergence insufficiency in children", Arch. Ophthalmol., 123(1):14-24(2005). 

  17. 박현주, "시기능 검사값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안광학회지, 10(4):381-389(2005).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