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이오센서 코팅용 Polydimethylsiloxane의 생체외 세포독성 평가
In vitro Cytotoxicity Evaluation of Polydimethylsiloxane as a Biosensor Coating Material 원문보기

접착 및 계면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v.10 no.2, 2009년, pp.77 - 83  

박수범 (서울대학교 바이오시스템소재학부) ,  이종환 (서울대학교 바이오시스템소재학부) ,  나경아 (서울대학교 바이오시스템소재학부) ,  정재연 (서울대학교 바이오시스템소재학부) ,  김명진 (서울대학교 바이오시스템소재학부) ,  박성재 (서울대학교 바이오시스템소재학부) ,  현진호 (서울대학교 바이오시스템소재학부)

초록

생체적용 센서 코팅 재료로서 polydimethylsiloxane (PDMS)를 선정하였으며 합성 및 성형과정에서 용출될 수 있는 잔류 독성 물질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ISO 10993-5, Biological evaluation of medical devices-Part 5 : Tests for in vitro cytotoxicity (의료기기의 생물 안정성 평가-제5부: 세포 독성 시험-체외시험)를 통하여 세포 독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organo-tin을 사용하였으며 음성 대조군으로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RPMI 1640배지를 사용하였다. 고체 시료의 표면적에 대하여 $125{\mu}L/cm^2$가 되도록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RPMI 1640 배지를 용기에 첨가하였으며 $38^{\circ}C$를 유지하며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세포 독성 평가는 1) NIH 3T3 fibroblast 단일세포층을 형성한 후 추출물을 첨가하는 방법과 2) 세포와 함께 추출물을 넣어 배양하는 방법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세포 형태학적인 변화 관찰과 MTT (tetrazolium dye, 2-(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시험법에 의한 세포 활성 측정을 병행함으로써 고체 시료로부터 추출된 물질의 세포독성 여부와 고체시료의 표면에 대한 세포의 감응성도 함께 관찰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DMS was selected for a coating material of implantable biosensors and the cytotoxicity of extracts released from a polymer was evaluated using ISO 10993-5, Biological evaluation of medical devices-Part 5: Tests for in vitro cytotoxicity. Organo-tin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and a medium with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얻어진 MTT실험 결과이다. MTT시약을 세포 단층에 주입한 후 24 h 동안의 추가 배양이 있었으며 이때 형성된 formazan의 양을 흡광도로 측정하였다.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경화된 PDMS시료의 경우, 단시간 및 장시간에 걸친 추출액에서 세포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 NIH-3T3 fibroblast 단일세포층을 형성한 후 추출물을 첨가하는 방법과 세포와 함께 추출물을 넣어 배양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단일세포층을 형성은 3 X 103/well 개의 세포를 96 well 플레이트에 넣어 37℃, 5% CO2 배양기 내에서 24 h 동안 배양하였다.
  • Young’s modulus의 측정은 인장강도 측정기(MINIMAT, TA Instrument, USA)을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측정에 사용한 PDMS 시료는 두께 1 mm로 필름을 형성하였으며, 제조한 시료는 10 mm X 30 mm 크기로 자른 후 각 시료의 두께는 10 mm로 제조하였으며 calipers (Gans Schmidt & Co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한 후 보정하여 주었다.
  • 또한 가교제를 주입한 경우에 있어서도 비슷한 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보다 직접적인 세포 독성은 배양과정 중의 개별 세포에 있어서 더 민감하게 나타날 것이라 예상할 수 있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배양에 앞서 PDMS prepol­ ymer 와 가교제를 각각 세포 혼합 배지에 일정량을 주입하였다. 이후 배양 시간에 따른 세포의 형태 변화 및 표면 부착 특성을 관찰하였다.
  • 2 cm의 30 mL 유리병은 고압살균기를 이용하여 120℃에서 20 min간 살균하여 사용하였다. 살균된 유리병에 PDMS (Sylgard 184, Dow Corning, USA) 용액을 1.5 g씩 넣어 실온에서 4일 간 건조시켜 주었다. Polyethylene (PE, Sigma-Aldrich, USA)은 유리병에 1.
  • 또한 상온에서 가교반응을 시킨 시료의 경우에도 60℃ 에서 가교가 형성된 시료에 비하여 Young’s modulus의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시간별로 38℃ 에서 추출한 PDMS 에 대하여 ISO 10993-5, Biological evaluation of medical devices-Part 5 : Tests for in vitro cytotoxicity (의료기기의 생물 안정성 평가­ 제 5부: 세포 독성 시험-체외시험)에서 제시하는 기준에 맞추어 생체 외 세포 독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PDMS 의 경우 장시간에 걸쳐 추출한 추출물에 대해서도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한 세포의 형태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MTT분석법으로 세포의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에 있어서도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 독성을 관찰할 수 없었다.
  • 475 gL 넣어 125 gL/cm2가 되도록 하여 38℃ 배양기내에 일정 시간 동안 보관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시료마다 각 추출 시간에 대하여 3개의 추출액이 얻어졌으며 추출 시간은 시간별(2〜24시간), 일별(1〜7일), 주별(1〜6주)로 구분하였고 생체독성 평가 시에만 개봉되어 즉시 사용되었다. 추출 온도는 표준 생체 체온을 감안하여 38℃로 하였다.
  • 그러나 PDMS 를 이용한 생체주입형 바이오센서의 코팅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많지 않으며, 지속적인 연구 및 응용에 앞서 체계적인 생체적합성, 특히 세포독성에 대한 국제기준에 준하는 평가 방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연구에서는 국제기준으로서 ISO 10993-5, Biological eval­ uation of medical devices-Part 5 : Tests for in vitro cyto­ toxicity (의료기기의 생물 안정성 평가- 제5부: 세포독성 시험-체외시험)를 채택하여 세포 독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이와 함께 코팅 소재 표면에 부착하여 성장하는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생체적합성 여부를 판단하였다 [6-9].
  • 보다 직접적인 세포 독성은 배양과정 중의 개별 세포에 있어서 더 민감하게 나타날 것이라 예상할 수 있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배양에 앞서 PDMS prepol­ ymer 와 가교제를 각각 세포 혼합 배지에 일정량을 주입하였다. 이후 배양 시간에 따른 세포의 형태 변화 및 표면 부착 특성을 관찰하였다. Figure 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세포의 표면 부착은 매우 안정적이었으며, 정도의 차이가 다소 있으나 세포의 성장 및 분화 또한 정상적이었다.
  • 시료는 25℃와 60℃에서 12 h 동안 경화시킨 후 준비하였다. 인장속도는 10 mm/min로 하였으며, 5개의 시료를 이용하여 평균값을 대표 값으로 하였다. 각각의 시료들은 실험에 사용되기 최소 24 h 동안 항온항습실(25℃, 60% RH)에서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사용하였다.
  • 추출된 용액은 UV-visible 흡광도계 (Power­ wave XS, Biotek, USA)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정성적 평가를 위하여 위상차 광학현미경(Nikon ECLIPSE TS100, Japan)를 이용하여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CCD (Watec WAT- 202B, Japan)를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얻어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대상 데이터

  • NIH-3T3 fibroblast 세포(ATCC)를 RPMI-1640에서 최소한 1회 이상 계대 배양한 후 세포독성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NIH-3T3 fibroblast 세포는 세포배양 용기에 1 X 104개의 세포를 10%의 fetal bovine serum (FBS)가 포함된 RPMI 배지와 함께 3일 간 배양한 후, 트립신으로 처리하여 96 well 플레이트에 3 X 103/well의 세포를 넣어 37℃, 5% CO2 배양기 내에서 24 h 동안 배양한 후 MTT 시험에 사용하였다.
  • 국제기준인 ISO 10993-5 에 있어서도 세포독성 평가를 위한 세포주를 지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기존에 발표된 연구논문들을 토대로 하여 비교적 널리 확립되어 있는 세포주 중에서 안정적이며, 신뢰할 수 있는 세포주인 NIH-3T3 fibroblast를 선정하였다.
  • 실험에 사용된 NIH-3T3 fibroblast 세포는 세포배양 용기에 1 X 104개의 세포를 10%의 fetal bovine serum (FBS)가 포함된 RPMI 배지와 함께 3일 간 배양한 후, 트립신으로 처리하여 96 well 플레이트에 3 X 103/well의 세포를 넣어 37℃, 5% CO2 배양기 내에서 24 h 동안 배양한 후 MTT 시험에 사용하였다.
  • 음성 대조군은 서술된 절차에 의해 시험되었을 때 시험체계에서 재현 가능하고 적절한 음성의 반응성 또는 비반응성을 가져오는 재료와 물질로서 본 실험에서는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를 사용하였다. 양성 대조군은 서술된 절차에 의해 시험되었을 때 시험체계에서 재현 가능하고 적절한 양성의 반응성을 가져오는 재료와 물질로서 본 실험의 양성 대조군으로는 orga- no-tin 첨가제 50 mg/mL를 사용하였다.
  • 이 실험에서는 생체적용 코팅 소재로서 PDMS 를 선정하였다. 가교제의 혼합비를 조절하여 센서에 코팅하고자 하는 PDMS의 Young’s modulus를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가교제가 20%일 때 가장 높은 modulus 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생체적용 코팅 소재로 polydimethylsi­ loxane (PDMS)를 선정하였다[5]. PDMS는 다양한 의료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재이며, 고온에서뿐만 아니라 상온에서도 경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열에 민감한 전자소자들의 코팅 소재로 적합하다.
  • 4)로 세 번 세척한 후 UV로 30 min 간 살균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혈청이 없는 RPMI 1640 배양액을 추출매개체로 사용하였다. 살균 소독된 유리병에 혈청이 없는 RPMI 배지를 0.
  • 세포와 함께 추출물을 넣어 배양하는 방법은 배양용기 내에 3 X 103/well의 세포와 PDMS 용출물 50 uL와 serum 10% 를 함유한 RPMI배지 50 uL를 넣은 후 37℃, 5% CO2 배양기 내에서 24 h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정량적 세포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3-MTT (4, 5-dimethylthi- azol-2-yl-2, 5-diphenyltetrazolium bromide) (Sigma-Aldrich, USA)을 PBS에 녹여서 5 mg/mL 농도의 용액을 준비하였다. Well 마다 MTT 용액 25 uL와 serum 10%를 함유한 RPMI배지 100 gL를 넣은 후 37℃, 5% CO2 배양기 내에서 4 h 동안 더 배양하여 불용성 formazan 이 세포내부에 형성되도록 하였다.
  • 측정에 사용한 PDMS 시료는 두께 1 mm로 필름을 형성하였으며, 제조한 시료는 10 mm X 30 mm 크기로 자른 후 각 시료의 두께는 10 mm로 제조하였으며 calipers (Gans Schmidt & Co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한 후 보정하여 주었다. 시료는 25℃와 60℃에서 12 h 동안 경화시킨 후 준비하였다.
  • 현재 생물학적 시험의 평가에 사용 가능한 인증된 대조군은 없으나, 양성 또는 음성 대조군으로 세포 독성 시험에 널리 사용되는 재료를 선택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서술된 절차에 의해 시험되었을 때 시험체계에서 재현 가능하고 적절한 음성의 반응성 또는 비반응성을 가져오는 재료와 물질로서 본 실험에서는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를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시료와 대조군에 대하여 최소 6개 이상의 중복 배지를 이용하였으며 이들로부터 얻어진 결과의 평균으로 대표 값을 정하였다.

이론/모형

  • 기존에 알려진 생체적합성 평가 방법 중 ISO 10993-5 에 따라 생체적합성 평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료와 대조군에 대하여 최소 6개 이상의 중복 배지를 이용하였으며 이들로부터 얻어진 결과의 평균으로 대표 값을 정하였다.
  • 정량적 평가를 위해서 MTT 시험법을 이용하여 NIH- 3T3 fibroblast 세포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10-12]. 살아있는 세포의 경우, MTT시약을 넣어 주면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탈수소 효소인 succinate-tetrazolium- reductase 가 활성을 띠어 formazan색소를 생성하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Y. J. Ji and K. S. Park, J. Inst. Electron. Eng. Korea S, 32, 1520 (2005). 

  2. S. H. Ellozy, A. Carroccio, R. A. Lookstein, M. E. Minor, C. M. Sheahan, J. Juta, A. Cha, R. Valenzuela, Addis, T. S. Jacobs, V. J. Teodorescu, and M. L. Marin, J. Nasc. Surg., 40, 405 (2004). 

  3. T. M. Wadas, Critical Care Nurse., 25, 14 (2005). 

  4. G. S. Jang, J. M. Lee, and H. B. Lee, Polym. Sci. Tech., 12, 698 (2001). 

  5. Z. Song, J. Jenkins, M. Burke, and R. Arzbaecher, J. Electrocardiol., 37, 174 (2004). 

  6. ISO document, Biological compatibility of medical devices. Part 5. Tests for cytotoxicity: in vitro methods, International Organisation of Standardisation, Geneva (1992). 

  7. E. Briganti, P. Losi, A. Raffi, M. Scoccianti, A. Munao, and G. Soldani, J. Mater. Sci. Mater. Med.,17, 259 (2006). 

  8. E. A. E. Van Tienhoven, D. Korbee, L. Schipper, H. W. Verharen, and W. H. De Jong, J. Biomed. Mater. Res. A, 78, 157 (2006). 

  9. C. Coppi, C. P Devincenzi, S. Bortolini, U. Consolo, and R. Tiozzo, J, Biomater. Appl., 22, 83 (2007). 

  10. H. J. Johnson, S. J. Northup, P. A. Seagraves, M. Atallah, P. J. Garvin, L. Lin, and T. D. Darby, J. Biomed. Mater., 19, 489 (1985). 

  11. J. A. Plumb, R. Milroy, and S. B. Kaye, Cancer Res., 15, 4435 (1989). 

  12. A. A. Ignatius and L. E. Claes, Biomaterials, 17, 831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