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민 건강증진을 위한 신체활동 지침
Health-enhancing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Koreans: the Status and Directions for Revision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6 no.2, 2009년, pp.103 - 117  

김완수 (대구대학교 운동처방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re have been no specific as well as evidence-based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issued on the governmental level. There just have been physical activity recommendations and guidelines released from governmental agencies or organizations as well as individual researchers and these a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요인들이 연대기적 신체활동 권고안 변화의 주된 축을 이룬 요인이었다는 것은, 신체활동 지침에 상기 요인들을 반영하여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뒷받침할 과학적 근거가 있는지를 또한 고려해야 하므로, 본 단락에서는 이들 각각의 요인들이 중요하게 부각되었던 배경과 그 타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거-중심적 신체활동 지침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필수 요소들의 구체적 내용 및 그 근거를 제시하고 현재 우리나라 신체활동 지침의 문제점과 향후 개선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가적으로는 효율적 신체활동 사업을 위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 국민 개개인에게는 효과적이면서 실행가능하고 안전한 신체활동 참여율을 증가시킴으로서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신체활동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새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내용 중 신체활동 활성화 사업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국가 주도의 근거-중심적 신체활동 지침 작성 및 배포가 현 시점에서 필수적이라는 결론 하에 그 개선 방향을 제안할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론에서 살펴 본 것처럼 현재까지 발표된 신체활동 지침 및 권고안의 연대기적 진화 과정을 심층 분석한 결과 진화의 배경에는 신체활동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 변화와 실행가능성이 주요 요인이었으며, 더불어 신체활동 시 안전성을 고려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거-중심적 신체활동 지침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필수 요소들의 구체적 내용 및 그 근거를 제시하고 현재 우리나라 신체활동 지침의 문제점과 향후 개선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가적으로는 효율적 신체활동 사업을 위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 국민 개개인에게는 효과적이면서 실행가능하고 안전한 신체활동 참여율을 증가시킴으로서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신체활동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 차원에서 배포되는 신체활동 지침이 근거-중심적이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그 중에서도 "건강증진을 위한 신체활동 가이드라인 제정 및 홍보 실시 사업" (보건복지부, 2007) 하에 국가 차원에서 배포되는 신체활동 지침이 근거-중심적(evidence-based) 이어야 한다. 그 이유는 과학적 증거에 근거한 구체적 지침 없이는 여가시간 증가로 인해 신체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국민이 증가하고 있다는 기회 요소가 최대로 활용될 수 없고, 오히려 운동 방법을 알지 못해서 운동을 하지 않거나 효과성이나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운동을 하는 등의 문제들로 인해 활용도가 최소화되거나 심지어 위기요소로도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현재, 국가 차원에서 작성ㆍ배포된 지침이 근거-중심의 구체적인 신체활동 권고안이라 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으며, 더불어 단편적으로 배포되고 있는 리플릿과 포스터 또한 일관성이 없다는 것을 발견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기 때문이다.
신체활동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 변화에서 관점은 어떻게 바뀌었나요? 신체활동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 변화에서 가장 획기적 변화 요인은 신체활동을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심폐체력(cardiorespiratory fitness) 향상으로 생각하던 초기 관점이 건강상의 이점(health benefits)을 중요한 신체활동의 효과로 보는 관점으로 변화되었다는 것이다. 미국스포츠의학회(ACSM)가 1975년에 최초로 신체활동 권고안을 발표 한 후 1990년 까지의 권고안에서는 신체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주요 효과를 심폐체력 위주로 하고 있으며, 그 결과 고강도(vigorous-intensity) 신체활동(즉, 예비심박수의 50~90% 강도로 15~60분, 주 3~5일)을 권고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신체활동 활성화 사업이 2002년과 2006년에는 무엇에 이르면서, 어떤 목적하에 활발히 진행되고 있나요? 신체활동 및 운동(이하 신체활동) 부족으로 인한 개인의 건강문제와 국가의 의료비 문제(Morris 등, 1953; Lalonde, 1974; AHA, 1992)가 보고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신체활동 참여율 향상을 위한 노력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분위기를 배경으로 하여 우리나라에서도 신체활동 활성화 사업이 1995년 국민건강증진법 제정과 더불어 본격화되었고, 2002년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ealth Plan 2010)과 2006년 수정ㆍ보완된 새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New Health Plan 2010)에 이르면서 만성질환 위험인자 감소와 건강 체력 향상이라는 목적 하에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제 4기 국민건강ㆍ영양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의 규칙적 신체활동 실천율(만 19세 이상)은 점점 감소〔걷기 실천율 : 7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김완수. 임상운동생리학개론.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9 

  2. 김완수, 이미라.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생애주기별 신체활동 지침 : 현황 및 개선 방향. 2007년 한국보건교육.건 증진학회 추계학술대회 연제집,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7 

  3. 김완수, 주기찬, 강현주.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노인 운동지도 인력에 관한 연구. 건양대학교.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6 

  4. 건강길라잡이. http://www.hp.go.kr/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년 접속 

  5. 보건복지가족부.질병관리본부. 2007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중간결과 발표. 보도자료 2008년 11월 18일자 

  6. 보건복지부. 2007년도 건강생활실천사업 안내서. 서울: 보건복지부, 2007 

  7. 보건복지부(보건정책팀). 30세 이상 인구 1/3이 심?뇌혈관질환의 고위험군 - 에너지 섭취는 늘고, 비만은 증가하고, 고혈압, 당뇨병 유병률은 높다.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06년 6월 

  8. 보건복지부. 건강증진을 위한 신체활동 활성화 방안. 서울: 보건복지부, 2005 

  9. 보건복지부. 2001 국민건강.영양조사. 보건복지부. 서울: 보건복지부, 2002 

  10. 이미라. 운동을 통한 중년여성의 건강증진을 위한 연구: 운동행위 측정, 운동 장애성 분석, 개인적 특성에 따른 운동의 TG 및 HDL-C 개선효과 분석〔석사학위논문〕. 논산: 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06 

  11. 일본 국립 건강.영양연구소. 건강증진을 위한 운동기준 2006, 보고서 : 신체활동.운동.체력. 운동소요량.운동지침의 책정 검토회, 2006. 7 

  12. 정호영 등.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결정요인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13. ftp://ftp.cdc.gov/pub/Health_Statistics/NCHS/Survey_Questionnaires/NHIS/2004/english/QADULT.pdf. 2008년 접속 

  14. http:/www.cdc.gov/nchs/data/nhanes/nhanes_03_04/sp_paq_c.pdf.2008년 접속 

  15. http:/www.cdc.gov/brfss/questionnaires/pdf-ques/2005brfss.pdf. 2008년 접속 

  16. http://www.cdc.gov/nccdphp/dnpa/physical/terms/index.htm. 2008년접속 

  17. www.healthypeople.gov/Document/pdf/Volume2/22physical.pdf. 2008년 접속 

  18. www.ipaq.ki.se/ipaq.htm. 2008년 접속 

  19. http://www.who.int/chp/steps/GPAQ%20Instrument%20and%20Analysis%20Guide%20vs.pdf. 2008년 접속 

  20.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Guidelines for graded exercise testing and exercise prescription. Philadelphia: Lea & Febiger. 1975 

  21.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CSM position statement on the recommended quantity and quality of exercise for developing and maintaining fitness in healthy adult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Exercise 1978; 10: 7-10 

  22.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position statement. The recommended quantity and quality of exercise for developing and maintaining cardiorespiratory and muscular fitness in healthy adult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Exercise 1990; 22: 265-274 

  23.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position stand.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for older adult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Exercise 1998; 30(6): 975-991 

  24.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sixth edition. Philadelphia :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0 

  25.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seventh edition. Philadelphia :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6 

  26.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eighth edition. Philadelphia :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0 

  27. American Heart Association. Medical/scientific statement on exercise: benefits and recommendations for physical activity for all Americans. Circulation 1992; 85(1): 2726-2730 

  28. Bouchard C, Blair N, Haskell WL.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Human Kinetics. 2007 

  29. Braith RW, Stewart KJ.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its role in the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Circulation 2006; 113:2642-2650 

  30. Burke AP, Farb A, Malcom Y-h, Liang JES, Virman R. Plaque rupture and sudden death related to exercise in men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999; 281: 921-956 

  31. Carpinelli, RN, Otto, RM, Winett, RA. A critical analysis of the ACSM position stand in resistance training: insufficient evidence to support recommended training protocols. Journal of Exercise Physiology 2004; online: 7(3) 

  32. Donnelly JE, Jacobsen DJ, Heelan Snyder KS, Seip R, Smith S. The effects of 18 months of intermittent vs continuous exercise on aerobic capacity, body weight and composition, and metabolic fitness in previously sedentary, moderately obese female.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and Related Metabolic Disorders 2000; 24: 566-572 

  33. Duscha, BD, Slentz, CA, Johnson, JL, Houmard, JA. et al.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amount and intensity on peak oxygen consumption in middle-age men and women at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 CHEST 2005; 128: 2788-2793 

  34. Haskell WL, Lee I-M, Pate RR, Powell KE, Blair SN, Franklin BA, Macera CA, Heath GW, Thompson PD, Bauman A. Physical activity and public health: updated recommendation for adults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nd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07; 116:1081-1093 

  35. Hill JO, Wyatt HR. Role of physical activity in preventing and treating obesity.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2005; 99(2):765-770 

  36. Institute of Medicine of the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energy, carbohydrate, fiber, fat, fatty acids, cholesterol, protein, and amino acids (macronutrient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02 

  37. Lalonde. A new perspective on the health of canadians : a working document. Ottawa, Government. 1974 

  38. Lee IM, Sesso HD, Oguma Y, Paffenbarger RS. Relative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Circulation 2003; 107: 1110-1116 

  39. Miller WC, Wallace JP, Eggert KE. Predicting max HR and the HR- $VO_2$ relationship for exercise prescription of obesity.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Exercise 1993; 25:1077-1081 

  40. Morris JN, Heady JA, Raffle PA, Roberts CG, Parks JW. Coronary heart-disease and physical activity of work. Lancet 1953; 265:1111-1120 

  41.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hysical activity and cardiovascular health. NIH consensus statement. December 18-20; 13(3), 1-33. 1995 

  42. Nishida Y, Suzuki H, Wang DH, Kira S. Psychological determinants of physical activity in Japanese female employee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2003; 45(1): 15-22 

  43. Pate RR, Pratt, MP, Blair SN, Haskell WL, Macera CA, Bouchard, Buchner D, Ettinger W, Health GW, King AC. et al. Physical activity and public health: a recommendation from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995; 273(5): 402-407 

  44. Pollock ML, Franklin BA, Balady GJ, Chaitman BL, Fleg JL, Fletcher B, Limacher M, Pina IL, Stein RA, Williams M, Bazzarre T. Resistance exercise i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cardiovascular disease : benefits, rationale, safety, and prescription. An advisory from the committee on exercise, rehabilitation, and prevention, council on clinical cardiology,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00; 101: 828-833 

  45. Sallis JF, Patrick K, Long BJ. International consensus conference on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adolescents. Pediatric Exercise Science 1994; 6(4): 299-301 

  46. Saris WH, Blair SN, van Baak MA, Eaton SB, Davies PS, Pietro L, Fogelholm M, Rissanen A, Schoeller D, Swinburn B, Tremblay A, Westerterp KR, Wyatt H. How much physical activity is enough to prevent unhealthy weight gain? Outcome of the IASO 1st Stock Conference and consensus statement. Obesity Review 2003; 4: 101-114 

  47. Schoeller DA, Shay K, Kushner RF. How much physical activity is needed to minimize weight gain in previously obese women?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1997;. 66: 551-556 

  48. Sigal RJ, Wasserman DH, Kenny GP, Castaneda-Sceppa C. Physical activity/exercise and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004;27(10): 2518-2539 

  49. Siscovick DS, Weiss NS, Fletcher RH, Lasky T. The incidence of primary cardiac arrest during vigorous exercis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984; 311: 874-877 

  50. Swain DP, Franklin BA. Comparison of cardioprotective benefits of vigorous versus moderate intensity aerobic exercis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2006; 97: 141-147 

  51. Tudor-Locke C, Williams JE, Reis JP, Pluto D. Utility of pedometers for assessing physical activity: convergent validity. Sports Medicine 2002; 32: 795?808 

  52.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Atlanta, GA: US Department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Center for Chronic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1996 

  53.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nd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2005. 6th ed., Washington, DC :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5 

  54.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8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Americans. 2008 

  55. Votruba SB, Horvitz MA, Schoeller DA. The role of exercise in the treatment of obesity. Nutrition 2000; 16: 179-188 

  56. World Health Organization. Health and development through physical activity and sport. Noncommunicable Diseases and Mental Health, Noncommunicable Diseases and Health Promotion, 2003; p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